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자위의 구조와 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Principleof Waterwheel(Mujaw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9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orea is an agricultural country, securing and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has been extremely important. It has been failed despite efforts to popularize water-wheels in various ways until Mujawi became commonplace throughout the country in mod...

      Since Korea is an agricultural country, securing and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has been extremely important. It has been failed despite efforts to popularize water-wheels in various ways until Mujawi became commonplace throughout the country in modern times.
      Waterwheels that are now seen at the Folk and Agricultural Museum in Korea are called “Mujawi” in terms of pumping up water. The waterwheels were introduced after opening the ports, but the term ‘Mujawi’ was recorded in a variety of books in the 16th century. Thus, it seems that the term has been used from old times and it is regarded as a pure Korean word that refers to the waterwheel, but not a specific object.
      Commercialization of irrigation waterwheel produced by domestic unique technology was not realized, but Korea’s machin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comparable to that of China and Japan. Mujawi can be divided into wheel and wheel well. And there are many scientific principles in this instrument, such as the principle of leverage, the law of the energy conservation, and the dispersion of force by truss structure. Mujaw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to farmland and seawater to salt fields during the 70 to 80 years of moder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농업을 생업으로 하는 국가이므로 농수(農水)의 확보 및 공급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근대에 전국적으로 무자위가 상용화되기 전까지, 수차를 보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

      우리나라는 농업을 생업으로 하는 국가이므로 농수(農水)의 확보 및 공급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근대에 전국적으로 무자위가 상용화되기 전까지, 수차를 보급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하였다. 그러나 수차의 보급 노력은 물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실예라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민속‧농업 박물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수차(水車)는 “물을 자아올린다”는 의미에서 ‘무자위’라 불린다. 이 수차는 개항 이후에 도입되었으나, 이 용어는 16세기의 다양한 서적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사용되던 용어로, 어떤 한 물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차를 지칭하는 순수 우리말로 사료된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독자적인 기술로 제작된 관개용 수차의 상용화가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당대 우리나라의 기계 제작 기술이 중국 및 일본에 비해 현저히 낮았던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무자위(답차)는 차륜과 바퀴 집(축대 포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기구 속에는 ‘지렛대의 원리와 역학적 에너지 법칙, 트러스 구조에 의한 힘의 분산 등 다양한 과학원리가 내제되어 있다. 이러한 무자위는 우리나라 근대 70~80년 동안 전답과 염전에 농수와 해수를 공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촌진흥청, "한국의 전통농기구:농업과학관 전시물로 이해하는" 휴먼컬처아리랑 2015

      2 이춘영, "한국의 물레방아" 서울대출판부 1986

      3 김동욱, "한국의 농기구" 13 : 1970

      4 박호석, "한국의 농기구" 어문각 2001

      5 한국관개배수위원회, "한국수리사" 서라벌인쇄사 1996

      6 "표해록(漂海錄)"

      7 "천공개물(天工開物)"

      8 염정섭, "중·근세의 농법과수리시설" 중앙문화재연구원 (10) : 99-151, 2012

      9 최원규, "조선후기 간척과 수리" 민속원 2010

      10 문중양, "조선후기 水車" 15 : 1994

      1 농촌진흥청, "한국의 전통농기구:농업과학관 전시물로 이해하는" 휴먼컬처아리랑 2015

      2 이춘영, "한국의 물레방아" 서울대출판부 1986

      3 김동욱, "한국의 농기구" 13 : 1970

      4 박호석, "한국의 농기구" 어문각 2001

      5 한국관개배수위원회, "한국수리사" 서라벌인쇄사 1996

      6 "표해록(漂海錄)"

      7 "천공개물(天工開物)"

      8 염정섭, "중·근세의 농법과수리시설" 중앙문화재연구원 (10) : 99-151, 2012

      9 최원규, "조선후기 간척과 수리" 민속원 2010

      10 문중양, "조선후기 水車" 15 : 1994

      11 문중양,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 집문당 2000

      12 김동진, "조선의 생태환경사" 푸른역사 2017

      13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14 염정섭, "조선 초기의 水利 정책과 김제 벽골제" 한국농업사학회 6 (6): 79-105, 2007

      1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16 정혜선, "일본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1

      17 김광린, "이조수리사" 한국연구도서관 1961

      18 장권렬, "우리나라 고농서에 나타난 농기구와 농수리에 관한 고찰1" 16 : 1991

      19 김순제, "용두레질소리" 민속원 2009

      20 김재호, "외래문화인 수차와 민속문화인 물레방아의 관계" 실천민속학회 4 : 2002

      21 이현혜, "삼한사회의 농업생산과 철제농기구" 126 : 1990

      22 "삼국사기(三國史記)"

      23 "북학의(北學議)"

      24 "본리지(本利志)"

      25 김재호, "물레방아의 전승기술적 의미와 사회경제적 의의"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7

      26 김영진, "무자위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 탐구" 국립중앙과학관 2000

      27 김광언, "무자위[水車]고" 경기대학교 4 : 1994

      28 김충식, "목화꽃과 그 일본인" 메디치미디어 2015

      29 김재호, "농업용수의 이용과 전통농법의 관계, 1 :논농사에서 물의 이용과 전통 농법" 흙살림연구소 75 : 2006

      30 신영순, "농기구 제작기술과 그 과학성"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 2 : 1995

      31 박대순, "농기구" 대원사 2004

      32 이순수, "농기구" 보리 2009

      33 李承鎭, "在來農器具에 對한 文和人類學的 硏究 : 農耕勞動과 道具의 機能을 中心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6

      34 이영학, "1880년대 조선정부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소 (40) : 335-368, 2016

      35 廉定燮, "15-16세기 水田農法의 전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