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기관 종사자의 유연근무제 채택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공단의 경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in Public Agen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4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개인적 요인(자녀양육, 통근시간 및 비용 절감, 자기개발, 소득감소)과 비개인적 요인(인사 상 불이익방지 시스템 도입, 대면결재 필요성, 장시간 노동 관행, 일자리 질적 저하 우려)의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도로교통공단 종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부차적으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성별, 직종별, 직급별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자녀양육, 자기개발, 통근시간 및 비용 절감이 유연근무제 채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감소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유연근무제를확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직문화 및 관리운영 상의 관행 개선, 인사 상 불이익에 대한 우려 불식, 근무형태의 체계적 관리, 인사규칙 등 내부법제 정비, 공공기관 경영평가와의 연계 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개인적 요인(자녀양육, 통근시간 ...

      본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연근무제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개인적 요인(자녀양육, 통근시간 및 비용 절감, 자기개발, 소득감소)과 비개인적 요인(인사 상 불이익방지 시스템 도입, 대면결재 필요성, 장시간 노동 관행, 일자리 질적 저하 우려)의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도로교통공단 종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부차적으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성별, 직종별, 직급별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자녀양육, 자기개발, 통근시간 및 비용 절감이 유연근무제 채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감소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유연근무제를확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직문화 및 관리운영 상의 관행 개선, 인사 상 불이익에 대한 우려 불식, 근무형태의 체계적 관리, 인사규칙 등 내부법제 정비, 공공기관 경영평가와의 연계 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석준, "한국행정과 조직문화" 대영문화사 2004

      2 황순옥, "춘천시 공무원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2 (22): 71-93, 2013

      3 장현주, "참여정부의 가족친화적 근무제도에 대한 평가 : 재택 및 탄력근무제에 대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8 (8): 121-154, 2009

      4 김순양, "지방정부조직내부의사결정과정의신속성제고방안:결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93-213, 2002

      5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6 이선경,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245-262, 2014

      7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8 양건모, "유연근무제도의 평가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165-193, 2010

      9 한영선,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26, 2014

      10 민경률, "유연근무제가 조직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5 (25): 1211-1248, 2013

      1 조석준, "한국행정과 조직문화" 대영문화사 2004

      2 황순옥, "춘천시 공무원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2 (22): 71-93, 2013

      3 장현주, "참여정부의 가족친화적 근무제도에 대한 평가 : 재택 및 탄력근무제에 대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8 (8): 121-154, 2009

      4 김순양, "지방정부조직내부의사결정과정의신속성제고방안:결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6 (36): 193-213, 2002

      5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통계분석-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6 이선경,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245-262, 2014

      7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8 양건모, "유연근무제도의 평가에 관한 연구 : 공무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165-193, 2010

      9 한영선,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1-26, 2014

      10 민경률, "유연근무제가 조직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5 (25): 1211-1248, 2013

      11 곽임근, "유연근무제 확대 및 스마트워크센터 이용활성화 방안" 18 (18): 59-72, 2011

      12 행정자치부, "유연근무제 운영지침"

      13 황순옥, "유연근무제 시행이 만족도와 효능감,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춘천시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391-414, 2013

      14 이호근, "유연근무법제 현황과 여성고용정책 성공의 조건"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101-141, 2011

      15 오석홍,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진로" 서울행정학회 19 (19): 1-15, 2008

      16 진종순, "영국과 우리나라 공공부문 유연근무제의 비교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6 (26): 155-186, 2012

      17 정진택, "스마트 유연근무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69-175, 2013

      18 국미애, "노동 시간과 성 (불)평등 정치로서의 유연 근무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9 양인숙,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여성정책연구원 2011

      20 이정석, "공직자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영향 요인 탐색 : 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315-336, 2014

      21 진종순, "공직사회 유연근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9 (9): 29-55, 2010

      22 김용운, "공무원의 스마트워크 참여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117-135, 2013

      23 배귀희, "공무원 유연근무제 정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탄력근무, 시간제근무 및 재택근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125-153, 2011

      24 곽임근, "공무원 유연근무 활성화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스마트워크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25 문미경, "공공부문 시간제 근무와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 인력 활용과의 연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26 성욱준,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정책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워크센터 사용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2 (22): 331-360, 2013

      27 박한준, "공공기관 유형별 유연근무제 활성화 방안" 한국조세연구원 2012

      28 이자성,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현황 및 경상남도의 활성화 방안" 경남발전연구원 2013

      29 박한준,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도입에 대한 소고"

      30 Abigail G., "Work–life Balance: A Matter of Choice?" 16 (16): 1-13, 2009

      31 Tammy D. A., "Work–Family Conflic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De-constructing Flexibility" 66 : 345-376, 2013

      32 Kettle, D. F., "The Global Revolution in Public Management; Driving Themes, Missing Links" 16 (16): 446-462, 2007

      33 Shelley J. C., "Redesigning, Redefining Work" 41 (41): 3-17, 2014

      34 Munsch, C. L., "Pluralistic Ignorance and the Flexibility Bias: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Flextime and Flexplace Bias at Work" 41 (41): 40-62, 2014

      35 Solanki, K. R., "Flextime association with job satisfaction, work productivity, motivation & employees stress levels" 1 (1): 9-14, 2013

      36 Byron Y. L., "Flextime and Profitability" 51 (51): 298-315, 2012

      37 Liechty J. M., "Flexible Workplace Policies: Lessons From the Federal Alternative Work Schedules Act" 56 (56): 304-317, 2007

      38 Starvrou, E. T., "Flexible Work Bundles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A Cross-National Study of the European Work Context" 26 : 923-947, 2005

      39 Hayman, J. R., "Flexible Work Arrangements: Exploring the Linkages Between Perceived Usability of Flexible Work 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12 (12): 327-338, 2009

      40 Eldridge D., "Employee and Organizational Impacts of Flexitime Work Arrangements" 66 (66): 213-234, 2011

      41 Ezra M.,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56 (56): 174-179, 1996

      42 기획재정부, "2013년도 1/4분기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현황"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지역발전연구소 ->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for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IPAID
      KCI등재후보
      2009-06-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Area Studies and Development -> Institute for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7 0.711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