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수목원의 유형화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arboret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2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boreta in Korea have achieved a rapid growth during the last 20 years, which is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has been raised at the same time such as standardized formation, absence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measures, absence of long-term development plan, lack of field experts, poor financial state and others that need to be resolve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paradigm which entails strengthening functions such as network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recre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towards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the need for conservation.
      To resolve this eff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categorize arboreta according to the group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o introduce suitable problem-solving strategy,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new paradigm adaptation strategy for each category respective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Ph. D. of Agriculture in June 2012
      This research classified various types of arboreta in Ko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segmentalized problem-solving and manag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
      1. In order to classify arboreta types with the demand aspect, 22 out of 27 arboreta visitors were surveyed about their motives of visiting. When the motiv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key findings, four types were classified; ‘Intermediate type arboreta’ that do not have clear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the motivation for visiting, ‘Multi-purpose recreation arboreta’ that absorb all the motivators by powerfully embracing recreation and health motivators, and approach and low cost motivators, and the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ourism motivator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matic tourism arboreta’ that embrace the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elements among the powerful tourism motivators, and ‘Learning and appreciation arboreta’ that embrace strong experience and learning motivators and middle level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motivators.
      2.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location, usability,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of the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was studied to classify types, using the supply aspect as standard. When materialize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nto five types of subsection; ‘Region specialized arboreta’ that have characteristics only at the specific categories among the detailed index categories that comprise the elements but no clear common characteristics detected in case of the elements extracted for categorization, ‘Multi-purpose arboreta’ with the ability to carry out diverse functions of the arboreta effectively since there are many plant types retained including the garden plants that has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elements from diverse aspect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conservation and others,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with the highest communication potential and number of visitors since they have powerful demand and responsiveness due to the extensiv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employees and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that have high potential usability since they are located close to an urban area and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park-like traits since operation capability and horticulture theme elements are low although demand and responsiveness are strong, an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that offer diverse entertainments due to the share of garden plants and many different plant types retained, that have visitors from all the regions nationwide, and that are characterized by strong demand and responsiveness.
      3. Types of 22 arboreta were categorized both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were compared, which demonstrated that 15 arboreta manifest congruity in terms of the type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Thu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is some conformity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However, seven arboreta did not manifest congruity. Like wise, a process for the acclimatization of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to suit the arboretum characteristics or for establishing arboretum’s new identity by factoring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is needed.
      4.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housewives and visitors who are at least in their 50s are high in case of the ‘Urban area recreation arboreta’ and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in their 20s or less are high. In case of the ‘Multi-purpose arboreta,’ share of the group visitors are high.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verage visitor spending are the highest. Likewise, diverse implications that ar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visitors going forth were drawn out. Moreover, majority of the visitors to the arboreta were motivated by recreation, health and tourism motivators. Going forth, strategy for the specialization of operation and for the characterization needs to actively embrace the change in conditions that require arboreta to communicate even more with the general public.
      5.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y all types of current statuses by each type. This in turn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types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However,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individual arboretum’s focus on work for the 24 key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demonstrated tha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y the type of arboreta. Thus, it was confirmed indirectly that there is a lack of the awareness and willingness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arboretum managers and operators’ work domains. Moreover, average for all the arboreta in Korea for the level of focus on the 24 key work domains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less than average (3) was manifested in 12 work domains, which is half of the domains. Thus,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work domains of all the arboreta lean considerably to one side. Nationwide,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arboreta that pursue after differentiation by focusing on specific areas among the 24 domains or work domains that go beyond. Because they will turn into the capability of the entire nation that synthesizes their capabilities into ideal capability when the arboreta do not lean to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6. Detailed management measures by the type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the secondary characterization from the operation aspect even more oriented on the specific index category that offers advantages when it comes to the ‘Region specialized arboreta.’ Meanwhile, ‘Multi-purpose arboreta’ are the model for the arboreta in Korea that offer specific level of capability that calls for the activ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the arboretum oper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nation’s overall capability by increasing the share of work for the following;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orresponds to the domain in which the nation’s overall concentration level falls significantly among the 24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research on the environment-friendly disease and (insect) pest and weed control, development of cityscape plan, and evaluation of effect on the environment.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requir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s or groups based on strong demand and conformity and oper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ey have to play the role of helping to build consensu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need for conservation while general public enjoys while pioneering into new cultural domai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all types of art areas such as music and art in addition to plant.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have a demand level characteristic that is similar to those of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However, their other competence tend to be rather weak since they are comprised of the arboreta that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short operation period compared to others after the opening. When the demand level characteristics and arboretum capability are factored in, strategy for setting up the direction for long-term growth based on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form and for mending shortcomings is neede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re the place where diverse visitors from the nation visit. Thus, it is very well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nd offers diverse entertainments oriented on garden plants. By leveraging these strength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garden plant oriented divers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rogram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llect the garden plants that are worthy of viewing for characterization, and to carry out research that increase evaluation and publicity of new plant types and to increase their usability.
      번역하기

      Arboreta in Korea have achieved a rapid growth during the last 20 years, which is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has been raised at the same time such as standardized formation, absence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a...

      Arboreta in Korea have achieved a rapid growth during the last 20 years, which is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has been raised at the same time such as standardized formation, absence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measures, absence of long-term development plan, lack of field experts, poor financial state and others that need to be resolve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paradigm which entails strengthening functions such as network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recre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towards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the need for conservation.
      To resolve this effectively, it is recommended to categorize arboreta according to the group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o introduce suitable problem-solving strategy,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new paradigm adaptation strategy for each category respective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Ph. D. of Agriculture in June 2012
      This research classified various types of arboreta in Kore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segmentalized problem-solving and manag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
      1. In order to classify arboreta types with the demand aspect, 22 out of 27 arboreta visitors were surveyed about their motives of visiting. When the motiv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key findings, four types were classified; ‘Intermediate type arboreta’ that do not have clear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the motivation for visiting, ‘Multi-purpose recreation arboreta’ that absorb all the motivators by powerfully embracing recreation and health motivators, and approach and low cost motivators, and the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ourism motivators as well at the same time, ‘Thematic tourism arboreta’ that embrace the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elements among the powerful tourism motivators, and ‘Learning and appreciation arboreta’ that embrace strong experience and learning motivators and middle level plant and scenery appreciation motivators.
      2.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location, usability,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of the management, operation, resources and facility was studied to classify types, using the supply aspect as standard. When materialize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nto five types of subsection; ‘Region specialized arboreta’ that have characteristics only at the specific categories among the detailed index categories that comprise the elements but no clear common characteristics detected in case of the elements extracted for categorization, ‘Multi-purpose arboreta’ with the ability to carry out diverse functions of the arboreta effectively since there are many plant types retained including the garden plants that has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elements from diverse aspects such as education, research and conservation and others,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with the highest communication potential and number of visitors since they have powerful demand and responsiveness due to the extensiv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employees and powerful arboretum operation capability,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that have high potential usability since they are located close to an urban area and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park-like traits since operation capability and horticulture theme elements are low although demand and responsiveness are strong, an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that offer diverse entertainments due to the share of garden plants and many different plant types retained, that have visitors from all the regions nationwide, and that are characterized by strong demand and responsiveness.
      3. Types of 22 arboreta were categorized both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and were compared, which demonstrated that 15 arboreta manifest congruity in terms of the type from the demand and supply aspects. Thu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is some conformity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However, seven arboreta did not manifest congruity. Like wise, a process for the acclimatization of the visitors’ motivation for visiting to suit the arboretum characteristics or for establishing arboretum’s new identity by factoring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is needed.
      4.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housewives and visitors who are at least in their 50s are high in case of the ‘Urban area recreation arboreta’ and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share of the visitors who are in their 20s or less are high. In case of the ‘Multi-purpose arboreta,’ share of the group visitors are high. In case of the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verage visitor spending are the highest. Likewise, diverse implications that ar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visitors going forth were drawn out. Moreover, majority of the visitors to the arboreta were motivated by recreation, health and tourism motivators. Going forth, strategy for the specialization of operation and for the characterization needs to actively embrace the change in conditions that require arboreta to communicate even more with the general public.
      5. Difference in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among the types of arboreta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analyzed, which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y all types of current statuses by each type. This in turn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types of this research is meaningful. However,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vel of individual arboretum’s focus on work for the 24 key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demonstrated tha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y the type of arboreta. Thus, it was confirmed indirectly that there is a lack of the awareness and willingness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arboretum managers and operators’ work domains. Moreover, average for all the arboreta in Korea for the level of focus on the 24 key work domains was analyzed, which demonstrated that less than average (3) was manifested in 12 work domains, which is half of the domains. Thus,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work domains of all the arboreta lean considerably to one side. Nationwide,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arboreta that pursue after differentiation by focusing on specific areas among the 24 domains or work domains that go beyond. Because they will turn into the capability of the entire nation that synthesizes their capabilities into ideal capability when the arboreta do not lean to specific a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6. Detailed management measures by the type classified using the supply aspect as the standard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the secondary characterization from the operation aspect even more oriented on the specific index category that offers advantages when it comes to the ‘Region specialized arboreta.’ Meanwhile, ‘Multi-purpose arboreta’ are the model for the arboreta in Korea that offer specific level of capability that calls for the activ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the arboretum oper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nation’s overall capability by increasing the share of work for the following; introduction of new agricultural products, which corresponds to the domain in which the nation’s overall concentration level falls significantly among the 24 work domains presented by the BGCI,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research on the environment-friendly disease and (insect) pest and weed control, development of cityscape plan, and evaluation of effect on the environment.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require strengthening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s or groups based on strong demand and conformity and operation capability. In addition, they have to play the role of helping to build consensu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lant diversity and need for conservation while general public enjoys while pioneering into new cultural domain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all types of art areas such as music and art in addition to plant.
      ‘City relaxation oriented arboreta’ have a demand level characteristic that is similar to those of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However, their other competence tend to be rather weak since they are comprised of the arboreta that a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short operation period compared to others after the opening. When the demand level characteristics and arboretum capability are factored in, strategy for setting up the direction for long-term growth based on the ‘Communication oriented arboreta’ form and for mending shortcomings is needed.
      ‘Ornamental thematic arboreta’ are the place where diverse visitors from the nation visit. Thus, it is very well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nd offers diverse entertainments oriented on garden plants. By leveraging these strengths,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garden plant oriented diverse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rogram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llect the garden plants that are worthy of viewing for characterization, and to carry out research that increase evaluation and publicity of new plant types and to increase their us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 약

      우리나라의 수목원은 최근 20여 년간 단시간에 급속도의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 과정에서 획일적인 조성, 차별화된 관리·운영방안 부재, 장기발전 계획 부재, 현장전문가 부족, 재정상태 열악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으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필요성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네트워킹·소통·교육·휴양 등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야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목원을 특성이 유사한 그룹별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각기 다른 문제 해결 전략, 차별화 전략, 새로운 패러다임 적응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목원을 수요와 공급측면 특성을 중심으로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문제 해결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수요측면을 기준으로 수목원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 중 22개 수목원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방문동기에서 뚜렷한 특성이 없는 ‘중간형 수목원’, 휴양 및 건강 동기요인과 접근 및 저비용 동기요인을 강하게 수용하고 동시에 체험 및 학습과 관광 동기요인도 수용하여 모든 동기요인을 흡수하고 있는 ‘다목적 휴양형 수목원’, 강한 관광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요인을 수용하는 ‘테마관광형 수목원’, 강한 체험 및 학습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동기요인을 수용하는 ‘학습 및 감상형 수목원’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의 입지·이용성, 관리·운영, 자원·시설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유형화를 위해 추출된 요인에서는 뚜렷한 공통 특성을 발견할 수 없고,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지표항목 중 특정 항목에서만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 전문형 수목원’, 교육·연구·보전 등 다방면의 수목원 운영역량 요인이 강하고 원예식물을 포함한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수목원의 다양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역량을 갖춘 ‘다목적형 수목원’, 방문객 수와 직원 수가 많아 수요 및 대응력이 강하고 수목원 운영역량도 강해 방문객과 소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통중심형 수목원’, 도시 근교에 위치해 잠재이용성이 높고 수요 및 대응성도 강하지만 운영역량과 원예테마 요인이 낮아 공원적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는 ‘도시휴양형 수목원’, 원예식물 비중과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볼거리가 다양하고, 방문객이 전국 모든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수요 및 대응력 또한 강한 ‘관상테마형 수목원’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화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진 22개 수목원의 수요와 공급측면 유형을 대응시킨 결과, 15개의 수목원은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의 일치성이 있어, 방문객의 방문동기와 수목원의 현황특성이 어느 정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수목원은 일치성을 보이지 않아 방문객 특성을 고려하여 수목원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거나, 수목원 특성에 맞게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순화시켜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 방문객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도시휴양형 수목원’과 ‘소통중심형 수목원’에 는 주부 방문객과 50대 이상 방문객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에는 20대 이하의 방문객 비율이 높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에는 단체견학 비율이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 방문객의 평균사용경비가 가장 많은 등 향후 방문객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목원에는 휴양 및 건강 동기와 관광 동기를 가진 방문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운영 전문화·특성화 전략은 수목원이 대중과 더 많은 소통을 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여건 변화를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의 수목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형 별로 각종 현황에서 차이가 존재해 본 연구의 유형분류 결과가 의미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BGCI에서 제시한 수목원의 24개 주요 업무영역에 대한 개별 수목원의 업무 집중 정도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수목원 유형별 집중분야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수목원 관리·운영자들이 업무영역을 달리함으로서 수목원의 특성화·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인식과 의지가 부족함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24개 주요 업무영역 집중 정도에 대한 우리나라 수목원 전체 평균을 분석한 결과 절반인 12개 업무영역에서 보통(3)이하로 나타나 전체 수목원의 업무영역이 상당히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 전체적으로는 24개 업무영역 중 특정 분야에 집중하여 차별성을 추구하는 수목원이 다수 존재하고, 이들의 역량을 종합한 국가 전체의 역량은 분야별로 치우침이 없어야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대책마련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유형 별로 세부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전문형 수목원’은 강점을 가진 특정 지표항목을 중심으로 운영측면에서의 2차 특성화를 보다 더 진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은 일정 능력 이상을 갖춘 우리나라 수목원의 모델로써, 지속가능성 개념을 수목원 운영에 적극 도입해야 하며, 또한 BGCI에서 제시한 업무영역 24개 중 국가 전체적인 집중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영역인 새로운 농작물 신품종 소개 및 특성평가, 친환경 병해충 및 잡초방제 연구, 도시경관계획 수립,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한 업무 비중을 높여 국가 전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소통중심형 수목원’은 강한 수요 및 대응력과 운영역량을 토대로 지역민 또는 단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식물뿐만 아니라 음악·미술 등 각종 예술 분야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화영역을 개척하는 등 대중들이 즐기는 가운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도시휴양형 수목원’은 잠재이용성이 높아 ‘소통중심형 수목원’으로 발전할 수요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원 후 운영기간이 타 유형에 비해 짧은 편에 속하는 수목원들로 구성되어 있어 나머지 역량이 다소 약한 편이다. 수요적 특성과 수목원 역량을 감안해 볼 때, ‘소통중심형 수목원’ 형태로 장기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관상테마형 수목원’은 전국에서 다양한 방문객이 찾는 곳으로, 대국민 인지도가 높고 원예식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볼거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원예식물 중심의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식물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특성화하고 새로운 신품종의 평가 및 홍보와 이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요 약 우리나라의 수목원은 최근 20여 년간 단시간에 급속도의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 과정에서 획일적인 조성, 차별화된 관리·운영방안 부재, 장기발전 계획 부재, 현장전문가 부족, ...

      요 약

      우리나라의 수목원은 최근 20여 년간 단시간에 급속도의 성장을 이루었으나, 이 과정에서 획일적인 조성, 차별화된 관리·운영방안 부재, 장기발전 계획 부재, 현장전문가 부족, 재정상태 열악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으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필요성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네트워킹·소통·교육·휴양 등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야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목원을 특성이 유사한 그룹별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각기 다른 문제 해결 전략, 차별화 전략, 새로운 패러다임 적응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목원을 수요와 공급측면 특성을 중심으로 몇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문제 해결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수요측면을 기준으로 수목원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 중 22개 수목원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방문동기에서 뚜렷한 특성이 없는 ‘중간형 수목원’, 휴양 및 건강 동기요인과 접근 및 저비용 동기요인을 강하게 수용하고 동시에 체험 및 학습과 관광 동기요인도 수용하여 모든 동기요인을 흡수하고 있는 ‘다목적 휴양형 수목원’, 강한 관광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요인을 수용하는 ‘테마관광형 수목원’, 강한 체험 및 학습 동기요인과 중 정도의 식물 및 경관감상 동기요인을 수용하는 ‘학습 및 감상형 수목원’ 등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연구대상 27개 수목원의 입지·이용성, 관리·운영, 자원·시설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화한 결과, 유형화를 위해 추출된 요인에서는 뚜렷한 공통 특성을 발견할 수 없고,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지표항목 중 특정 항목에서만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 전문형 수목원’, 교육·연구·보전 등 다방면의 수목원 운영역량 요인이 강하고 원예식물을 포함한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수목원의 다양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역량을 갖춘 ‘다목적형 수목원’, 방문객 수와 직원 수가 많아 수요 및 대응력이 강하고 수목원 운영역량도 강해 방문객과 소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통중심형 수목원’, 도시 근교에 위치해 잠재이용성이 높고 수요 및 대응성도 강하지만 운영역량과 원예테마 요인이 낮아 공원적 성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는 ‘도시휴양형 수목원’, 원예식물 비중과 보유식물 종수가 많아 볼거리가 다양하고, 방문객이 전국 모든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수요 및 대응력 또한 강한 ‘관상테마형 수목원’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셋째,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화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진 22개 수목원의 수요와 공급측면 유형을 대응시킨 결과, 15개의 수목원은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유형의 일치성이 있어, 방문객의 방문동기와 수목원의 현황특성이 어느 정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수목원은 일치성을 보이지 않아 방문객 특성을 고려하여 수목원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거나, 수목원 특성에 맞게 방문객들의 방문동기를 순화시켜 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 방문객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도시휴양형 수목원’과 ‘소통중심형 수목원’에 는 주부 방문객과 50대 이상 방문객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에는 20대 이하의 방문객 비율이 높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에는 단체견학 비율이 높고, ‘관상테마형 수목원’ 방문객의 평균사용경비가 가장 많은 등 향후 방문객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수목원에는 휴양 및 건강 동기와 관광 동기를 가진 방문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운영 전문화·특성화 전략은 수목원이 대중과 더 많은 소통을 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여건 변화를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수목원 유형 간의 수목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형 별로 각종 현황에서 차이가 존재해 본 연구의 유형분류 결과가 의미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BGCI에서 제시한 수목원의 24개 주요 업무영역에 대한 개별 수목원의 업무 집중 정도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수목원 유형별 집중분야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수목원 관리·운영자들이 업무영역을 달리함으로서 수목원의 특성화·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인식과 의지가 부족함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24개 주요 업무영역 집중 정도에 대한 우리나라 수목원 전체 평균을 분석한 결과 절반인 12개 업무영역에서 보통(3)이하로 나타나 전체 수목원의 업무영역이 상당히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 전체적으로는 24개 업무영역 중 특정 분야에 집중하여 차별성을 추구하는 수목원이 다수 존재하고, 이들의 역량을 종합한 국가 전체의 역량은 분야별로 치우침이 없어야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와 대책마련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급측면을 기준으로 구분한 유형 별로 세부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전문형 수목원’은 강점을 가진 특정 지표항목을 중심으로 운영측면에서의 2차 특성화를 보다 더 진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다목적형 수목원’은 일정 능력 이상을 갖춘 우리나라 수목원의 모델로써, 지속가능성 개념을 수목원 운영에 적극 도입해야 하며, 또한 BGCI에서 제시한 업무영역 24개 중 국가 전체적인 집중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영역인 새로운 농작물 신품종 소개 및 특성평가, 친환경 병해충 및 잡초방제 연구, 도시경관계획 수립,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한 업무 비중을 높여 국가 전체적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소통중심형 수목원’은 강한 수요 및 대응력과 운영역량을 토대로 지역민 또는 단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식물뿐만 아니라 음악·미술 등 각종 예술 분야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화영역을 개척하는 등 대중들이 즐기는 가운데 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도시휴양형 수목원’은 잠재이용성이 높아 ‘소통중심형 수목원’으로 발전할 수요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원 후 운영기간이 타 유형에 비해 짧은 편에 속하는 수목원들로 구성되어 있어 나머지 역량이 다소 약한 편이다. 수요적 특성과 수목원 역량을 감안해 볼 때, ‘소통중심형 수목원’ 형태로 장기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관상테마형 수목원’은 전국에서 다양한 방문객이 찾는 곳으로, 대국민 인지도가 높고 원예식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볼거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원예식물 중심의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관상가치가 높은 원예식물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특성화하고 새로운 신품종의 평가 및 홍보와 이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범위 및 내용 4
      • 4. 연 구 사 6
      • 가. 수목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6
      • 나. 유형화에 관한 연구 15
      • Ⅱ. 수목원의 개요 및 현황분석 23
      • 1. 수목원의 개념 및 기능 23
      • 가. 수목원의 개념 23
      • 나. 수목원의 기능 24
      • 2. 수목원의 변천과정 29
      • 가. 16∼17세기 : 근대적 의미의 수목원 출현 29
      • 나. 18세기 : 활발한 식물수집과 식물과학의 발달 30
      • 다. 19세기 : 열강 식민지 중심의 수목원 팽창 30
      • 라. 20세기 : 지역민과 연계 및 식물 보전 31
      • 마. 미 래 : 식물과 사람 그리고 수목원의 지속가능성 32
      • 3. 수목원 관련 법제도 33
      • 가. 국제협약 33
      • 나. 국내 상위계획 39
      • 다. 관련 법률 42
      • 4. 국내 수목원 현황 45
      • 가. 국·공립 수목원 현황 46
      • 나. 사립 수목원 현황 49
      • 다. 학교 수목원 현황 52
      • Ⅲ. 조사 및 방법 53
      • 1. 수목원의 유형화 53
      • 가. 연구대상지 선정 53
      • 나. 수요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 56
      • 다. 공급을 기준으로 한 유형화 58
      • 2. 유형별 특성 분석 69
      • 3. 분석기법 검토 69
      • 가. 요인분석 70
      • 나. 군집분석 71
      • Ⅳ. 유형화 및 특성 분석 76
      • 1. 수목원의 유형화 76
      • 가. 수요를 기준으로 한 유형화 76
      • 나. 공급을 기준으로 한 유형화 84
      • 다. 유형화 결과 비교 98
      • 2. 유형별 특성분석 103
      • 가. 방문객 특성 분석 103
      • 나. 수목원 특성 분석 108
      • Ⅴ. 유형별 관리방안 114
      • 1. 지역전문형 수목원 114
      • 2. 다목적형 수목원 117
      • 3. 소통중심형 수목원 119
      • 4. 도시휴양형 수목원 121
      • 5. 관상테마형 수목원 122
      • 6. 관리방안 종합 124
      • Ⅵ. 결론 및 제언 127
      • 1. 결 론 127
      • 2. 제 언 131
      • 요 약 134
      • 인용문헌 138
      • 영문초록 146
      • 부 록 1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