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와 청자높임법(2) -중국 조선족자치주 육진방언의 청유법과 명령법- = The Hearer Honorific Final Endings in Yukjin Dialect(2)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endings of Yukjin Dialect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3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scribe sentence final endings and the addressee-honorific expression of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of Yukjin dialect. I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speech levels as 'haapso(하압소)', 'hao(하오)', 'haera(해라)' and 'pa...

      This paper aims to describe sentence final endings and the addressee-honorific expression of the imperative and propositive of Yukjin dialect. I classified them into the four speech levels as 'haapso(하압소)', 'hao(하오)', 'haera(해라)' and 'panmal(반말)'. There are '-kipso(-깁소)', '-kepso(-겝소)', '-kipsyə(-깁셔)', '-kepsyə(-겝셔)', '-kipsyo(-깁쇼)', '-kepsyo(-겝쇼)' in the propositive of haapso style. The '-kipso(-깁소)', '-kepso(-겝소)' synchronically are analyzed to combination of adverbial ending '-ki(-기)', -ke(-게)' and the imperative '-ɨpso'(-읍소), '-ɨpsyə'(-읍셔-). This suggests that the propositive endings of the haapso style developed from the causative imperative.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we can assume that it was grammaticalized from '-kɨy hɐpso(-긔 소)'. The '-kipsyo', '-kepsyo' and '-kipsyə', '-kepsyə' are used in expressions more polite than '-kipso', '-kepso'. Meanwhile, because subject honorific prefinal-ending '-si-' has been used extensive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 language, various haapso style endings have appeared newly. So '-kisio', '-kisyo' which '-si-' is inserted, are used firmly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re are '-ɨpsesa(-읍세사)', '-ɨpsyə/-sɨpsyə(-읍셔/-습셔)', ‘-ɨpso(-읍소)/-sɨpso(-습소)', '-ɨpkwani(-읍꽈니)/-sɨpkwani(-습꽈니)', '-(ɨ)syo(-(으)쇼'(haapso style) and '-o(-오)/-so(-소)', '-ɨpkwe(-읍궤/-sɨpkwe(-습궤)'(hao style) in the imperative endings. The ending ‘-ɨpsesa’ is used in the optative sentence and '-ɨpsyə/-sɨpsyə' are used in expression more polite than '-ɨpso/-sɨpso'. And the imperative endings are gradually leveling as '-ɨpso-', '-ɨpkwe' etc. The ending ‘-(ɨ)syo’ that '-si-' was inserted, is used in the younger generation as like '-kisyo' of the propositive. Among '-ɨpkwe(-읍궤)/-sɨpkwe(-습궤)', '-o(-오)/-so(-소)' of the hao style endings, the later is more formal than the formmer. And there are ‘-nara(-나라)~-na(-나), -kara(-가라)~-kəra(-거라), -ara(-아라/-əra(-어라)’ in the haera style. The '-(ɨ)rani((-으)라니’ is used in panmal style. Finally, the mood tend to realize depending on intonation in the non-elder generation, and such a tendency is strongly and steadily expan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깁소, -겝소’,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가 있다. 이 방언의 부사형 어미는 ‘-긔’로부터 ‘-기’, ‘-게’로 변화하였다는 점과 위 어미의 첫...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깁소, -겝소’,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가 있다. 이 방언의 부사형 어미는 ‘-긔’로부터 ‘-기’, ‘-게’로 변화하였다는 점과 위 어미의 첫음절이 하강조로 실현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깁소, -겝소’를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기’, ‘-게’와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 ‘-읍소’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유법의 하압소체 어미들이 본디 간접 사동 명령의 구성 형식으로부터 문법화한 것임을 시사한다. 즉, 통시적으로 ‘-긔 소’가 문법화한 것이다. 그리고 ‘-깁셔, -겝셔’(또는 ‘-깁쇼, -겝쇼’)는 ‘-긔 시오’가 문법화한 것이다. 때문에 ‘-깁셔, -겝셔’는 ‘-깁소, -겝소’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깁셔, -겝셔’와 명령법 어미 ‘-읍셔/-습셔’의 ‘셔’는 ‘쇼’의 변이로 보인다. 또 청자존대(화자겸양)의 ‘-읍/-습’에 위축되어 종전에 잘 쓰이지 않던 ‘-(으)시-’가 표준어의 영향으로 활발하게 쓰이면서 다양한 어미들이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 ‘-기시오’, ‘-기쇼’가 비노년층의 청유법 어미로 자리를 잡았다.
      명령법의 하압소체 어미로는 ‘-읍세사’, ‘-읍셔/-습셔’, ‘-읍쇼/-습쇼’, ‘-읍소/-습소’, ‘-읍꽈니/-습꽈니’, ‘-(으)쇼’ 등이 있다. ‘-읍세사’는 기원문에 쓰인다. ‘-읍소/-습소’를 기준으로 할 때 ‘-읍셔/-습셔’(또는 ‘-읍쇼/-습쇼’)는 그보다 더 공손한 표현에, ‘-읍꽈니/-습꽈니’는 그보다 덜 공손한 표현에 쓰인다. 그리고 ‘-읍소/-습소’에 ‘-읍시-’와 ‘-옵시-’가 결합된 ‘-읍십소’, ‘-옵십소’는 한층 더 공손한 표현을 나타낸다. 한편, ‘-읍소/-습소’, ‘-읍궤/-습궤’는 각각 ‘-읍소’, ‘-읍궤’로 점차 단일화(paradigmatic leveling)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노년층에서는 그 단일화 경향이 현저하다. ‘-(으)쇼’는 청유법의 ‘-기쇼’처럼 젊은이들의 명령법 어미로 자리를 굳혔는데 이 역시 ‘-(으)시-’가 삽입되어 생성된 어미이다. 하오체의 어미로는 ‘-읍궤/-습궤’, ‘-오/-소’ 등이 있는데 후자는 좀 더 격식적인 발화에서 쓰인다. 해라체 어미로는 ‘-나라~-나, -가라~-거라, -아라/-어라’가 있으며 ‘-(으)라니’ 따위는 반말체 어미로 쓰인다.
      한편, 도시 지역의 비노년층에서는 억양에 의하여 서법을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18-157, 1974

      2 배은나, "현대국어 통합형 종결어미 연구 : 인용 구성과 접속어미의 융합 형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3 박재연, "현대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5 남명옥, "함경북도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6 정용호, "함경도방언연구" 교육도서출판사 1988

      7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민족출판사 1985

      8 이홍란, "중국 연변 지역어의 청자대우법 사용 양상 연구- 희극 소품, 드라마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3 : 5-38, 2015

      9 박경래, "중국 연변 정암촌 방언의 상대경어법" 이중언어학회 (23) : 43-66, 2003

      10 정향란, "중국 연변 용정 지역 한국어의 곡용과 활용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종결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118-157, 1974

      2 배은나, "현대국어 통합형 종결어미 연구 : 인용 구성과 접속어미의 융합 형식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3 박재연, "현대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5 남명옥, "함경북도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6 정용호, "함경도방언연구" 교육도서출판사 1988

      7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민족출판사 1985

      8 이홍란, "중국 연변 지역어의 청자대우법 사용 양상 연구- 희극 소품, 드라마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3 : 5-38, 2015

      9 박경래, "중국 연변 정암촌 방언의 상대경어법" 이중언어학회 (23) : 43-66, 2003

      10 정향란, "중국 연변 용정 지역 한국어의 곡용과 활용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11 왕한석, "중국 길림성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996

      12 김병제, "조선어방언학개요(중)" 과학원출판사 1965

      13 박경래, "재중 동포 언어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2

      14 곽충구, "재외동포의 언어 연구" 한국어문학회 69 : 1-41, 2000

      15 곽충구,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와 청자높임법 ― 중국 조선족자치주 육진방언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0) : 195-234, 2014

      16 서향란, "용정 지역 조선어의 세대별 상대경어법과 그 변화" 서강대 2013

      17 방채암,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18 김선희, "연변 방언 연구 -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4) : 71-98, 2013

      19 소신애, "수의적 교체를 통한 점진적 음운 변화- 함북 육진 방언의 진행 중인 변화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8) : 101-124, 2006

      20 정향란, "삼합지역어의 종결어미에 대하여" 한국방언학회 5 : 139-172, 2007

      21 임지룡, "방언학과 국어학(김영태 교수 회갑기념 논총)" 461-484, 1998

      22 안귀남, "방언에서의 청자존대법 연구" 국어학회 (47) : 449-507, 2006

      23 김영배, "박태권선생회갑기념논총" 태학사 91-99, 1984

      24 곽충구, "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 선생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985-1028, 1998

      25 서정목, "명령법어미와 공손법의 등급"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8 : 213-246, 1983

      26 황대화, "동해안방언연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6

      27 남미정, "근대국어 청자경어법 연구" 태학사 2011

      28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론" 태학사 2003

      29 경원군민회, "경원군지"

      30 오춘희, "延邊方言의 <하오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9) : 131-172, 2015

      31 小倉進平, "咸鏡南北道 方言" 朝鮮語硏究會 2 : 1-24, 1927

      32 고광모, "-게 하-'로부터 발달한 종결어미들"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6) : 61-7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