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혜석 문학의 공간과 젠더지리학 = The Space and Gender-Geography of the Works of Na Hye-seok Focusing on Her Fiction and Dram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나혜석의 소설과 희곡에 설정된 공간을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나혜석은 「경희」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집을 탈주하는 여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집을 탈주한 신여성은 「회생한 손녀에게」의 자취방, 「어머니와 딸」과 「현숙」의 여관과 같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거주한다. 그리고 「파리의 그 여자」의 경우 도 일시적인 여행지에 머문다. 하지만 그들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민족의식을 자각 하고 소설을 쓰며, 사람들과 친밀감을 나누고 서로를 보살피며, 사랑을 나누고 이별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가부장적 집의 허울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에서 벗어나 일시적 체류지지만 보다 더 넓은 공간에서 허울뿐인 안도감이 아니라 열린 안도감을 획득한다. 반면 「원한」과 「규원」에서 가부장적 집은 여성이 정절을 상실하자 그녀를 추방한다. 집으로부터 축출된 구여성은 자신만의 공간을 갖지 못한 채 남의 집 삼간대청이 나 더부살이 단칸방에서 장소상실을 경험하며 타자화 된 삶을 살아간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뿐 허울뿐인 집과 허울 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가부장제의 허위의식을 통찰할 수 있는 근대교육을 받지 못한 구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녀들은 장소상실에 빠져 있을 뿐 일시적 체류지를 위험한 공간이 아니라 보호공간으로 만들며 참된 거주를 실현할 수 없다. 바로 여기에서 신여성과 구여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신여성이든 구여성이든 근대의 시기에 집이라는 공간은 여성이 진정으로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신여성이 집이 아닌 자취방, 여관과 같은 일시 적인 체류지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불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한 신여성들은 기꺼이 일시적이고 불안정한 공간을 그녀들의 자유와 주체성을 실현할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반면 가부장제 의 피해자이면서도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하지 못한 구여성들은 허울뿐인 집과 허울뿐인 안도감에 집착할 뿐 참된 거주를 위한 노력을 결여한 채 신세한탄에 빠져 있을 뿐이다. 나혜석의 문학적 공간은 모두 일시적인 체류지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자발적으 로 집을 나온 신여성은 그곳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한 반면 집에서 강제로 축출된 구여성은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었다. 렐프의 장소개념에 의한다면 신여성이 머무는 자취방, 여관, 여행지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진정한 장소감을 일으키는 장소지만, 구여성이 머무는 행랑채와 단칸방은 수동적이거나 강제적이며 비진정한 장소감(장소상실)을 일으키는 장소일 뿐이다. 나혜석은 신여성의 집으로부터의 자발적 탈주를 통해 가부장주의에 저항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지만 강제적으로 집에서 축출된 구여성을 통해서는 가부장주의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나혜석의 소설과 희곡에 설정된 공간을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나혜석은 「경희」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집을 탈주하는 여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

      이 논문은 나혜석의 소설과 희곡에 설정된 공간을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나혜석은 「경희」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지배하는 집을 탈주하는 여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집을 탈주한 신여성은 「회생한 손녀에게」의 자취방, 「어머니와 딸」과 「현숙」의 여관과 같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거주한다. 그리고 「파리의 그 여자」의 경우 도 일시적인 여행지에 머문다. 하지만 그들은 임시적인 체류지에서 민족의식을 자각 하고 소설을 쓰며, 사람들과 친밀감을 나누고 서로를 보살피며, 사랑을 나누고 이별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가부장적 집의 허울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에서 벗어나 일시적 체류지지만 보다 더 넓은 공간에서 허울뿐인 안도감이 아니라 열린 안도감을 획득한다. 반면 「원한」과 「규원」에서 가부장적 집은 여성이 정절을 상실하자 그녀를 추방한다. 집으로부터 축출된 구여성은 자신만의 공간을 갖지 못한 채 남의 집 삼간대청이 나 더부살이 단칸방에서 장소상실을 경험하며 타자화 된 삶을 살아간다. 그녀들은 자신들의 억울함만을 호소할 뿐 허울뿐인 집과 허울 뿐의 안도감에 집착하는 허상을 벗어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녀들은 가부장제의 허위의식을 통찰할 수 있는 근대교육을 받지 못한 구여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녀들은 장소상실에 빠져 있을 뿐 일시적 체류지를 위험한 공간이 아니라 보호공간으로 만들며 참된 거주를 실현할 수 없다. 바로 여기에서 신여성과 구여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신여성이든 구여성이든 근대의 시기에 집이라는 공간은 여성이 진정으로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는 공간이었다. 신여성이 집이 아닌 자취방, 여관과 같은 일시 적인 체류지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불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한 신여성들은 기꺼이 일시적이고 불안정한 공간을 그녀들의 자유와 주체성을 실현할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갔다. 반면 가부장제 의 피해자이면서도 가부장제의 허상을 통찰하지 못한 구여성들은 허울뿐인 집과 허울뿐인 안도감에 집착할 뿐 참된 거주를 위한 노력을 결여한 채 신세한탄에 빠져 있을 뿐이다. 나혜석의 문학적 공간은 모두 일시적인 체류지라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자발적으 로 집을 나온 신여성은 그곳에서 주체성과 자유를 추구한 반면 집에서 강제로 축출된 구여성은 주체성과 자유를 실현할 수 없었다. 렐프의 장소개념에 의한다면 신여성이 머무는 자취방, 여관, 여행지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진정한 장소감을 일으키는 장소지만, 구여성이 머무는 행랑채와 단칸방은 수동적이거나 강제적이며 비진정한 장소감(장소상실)을 일으키는 장소일 뿐이다. 나혜석은 신여성의 집으로부터의 자발적 탈주를 통해 가부장주의에 저항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지만 강제적으로 집에서 축출된 구여성을 통해서는 가부장주의를 비판하는 페미니즘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pace set in the short stories and plays of Na Hye-seok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geography. In “Gyeong-hee(경희)”, Na Hye-seok portrayed a woman who escapes from the home where the patriarchal order of the father dominates. However,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the home lives in a rented room in Japan as shown in “To the Grand Dauter Who Revived(회생한 손녀에게)”, or in the poor and temporary places of sojourn like an inn as depicted in “Mother and Daughter(어머니와 딸)” and “hyeunsook(현숙)”. And in “The Woman in Paris(파리의 그 여자)”, too, the woman stays in momentary places in Paris, New York, and Wonsan Beach. But in those places of temporary sojourn, which are communities not bound by blood, they awake to national consciousness, write novels, get intimate with people, care for each other, and put open marriage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they realiz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re. On the other hand, in “Sorrow of Woman(규원)” and “Resentment(원한)” the patriarchal home banishes the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The old-fashioned women banished from home cannot find their own spaces, and live their lives as complete others in spaces like the floored room of someone else’s house or a small room as a resident servant. What the spaces in the works of Na Hye-seok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all temporary places of sojourn. But while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home of their own free will pursu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 old-fashioned women who have been forced out of their home experience alienation and otherness. That the modern women could not take root in a place, but sought independence and freedom in temporary places of sojourn such as rented rooms, inns, or holiday places shows the instability of their lives. But the old-fashioned women, who are expelled from home and live in servants’ quarters of someone else’s house or in small rooms as resident servants, experience far worse alienation and instability than the modern women. According to Edward Relph’s concept of place, the rented room, inn, holiday place where the modern women stay are places that arouse an active, independent and authentic sense of place; yet the servants quarters and small rented room where the old-fashioned women stay are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assive, enforced and inauthentic sense of place, that is,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lacelessness.
      Through the voluntary escape of the modern women, Na Hye-seok showed a feminism that resists patriarchalism; yet through the old-fashioned women who were forced to get out of the home, she showed a feminism that criticizes patriarchalism.
      번역하기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pace set in the short stories and plays of Na Hye-seok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geography. In “Gyeong-hee(경희)”, Na Hye-seok portrayed a woman who escapes from the home where the patriarchal order of the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space set in the short stories and plays of Na Hye-seok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geography. In “Gyeong-hee(경희)”, Na Hye-seok portrayed a woman who escapes from the home where the patriarchal order of the father dominates. However,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the home lives in a rented room in Japan as shown in “To the Grand Dauter Who Revived(회생한 손녀에게)”, or in the poor and temporary places of sojourn like an inn as depicted in “Mother and Daughter(어머니와 딸)” and “hyeunsook(현숙)”. And in “The Woman in Paris(파리의 그 여자)”, too, the woman stays in momentary places in Paris, New York, and Wonsan Beach. But in those places of temporary sojourn, which are communities not bound by blood, they awake to national consciousness, write novels, get intimate with people, care for each other, and put open marriage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they realiz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re. On the other hand, in “Sorrow of Woman(규원)” and “Resentment(원한)” the patriarchal home banishes the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The old-fashioned women banished from home cannot find their own spaces, and live their lives as complete others in spaces like the floored room of someone else’s house or a small room as a resident servant. What the spaces in the works of Na Hye-seok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all temporary places of sojourn. But while the modern women who have escaped from home of their own free will pursue independence and freedom, the old-fashioned women who have been forced out of their home experience alienation and otherness. That the modern women could not take root in a place, but sought independence and freedom in temporary places of sojourn such as rented rooms, inns, or holiday places shows the instability of their lives. But the old-fashioned women, who are expelled from home and live in servants’ quarters of someone else’s house or in small rooms as resident servants, experience far worse alienation and instability than the modern women. According to Edward Relph’s concept of place, the rented room, inn, holiday place where the modern women stay are places that arouse an active, independent and authentic sense of place; yet the servants quarters and small rented room where the old-fashioned women stay are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assive, enforced and inauthentic sense of place, that is, places in which they experience placelessness.
      Through the voluntary escape of the modern women, Na Hye-seok showed a feminism that resists patriarchalism; yet through the old-fashioned women who were forced to get out of the home, she showed a feminism that criticizes patriarch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나혜석 문학에 재현된 공간과 젠더지리학
      • 1. 집으로부터의 탈주와 집 떠난 여학생의 방
      • 2. 비혈연 대안가족을 모색하는 일시적 체류지
      • 3. 집에서 축출당한 구여성의 불안정한 공간
      • Ⅰ. 서론
      • Ⅱ. 나혜석 문학에 재현된 공간과 젠더지리학
      • 1. 집으로부터의 탈주와 집 떠난 여학생의 방
      • 2. 비혈연 대안가족을 모색하는 일시적 체류지
      • 3. 집에서 축출당한 구여성의 불안정한 공간
      • Ⅲ.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인, "현대소설의 이해" 문학사상사 , 1998

      2 송명희, "페미니즘 비평" 한국문화사 , 2012

      3 전갑생, "청구 김우영의 ‘정치적 활동’과 나혜석" 나혜석연구 2 , 2013

      4 김복순, "조선적 특수의 제 방식과 아나카페미니즘의 신여성 계보 - 나혜석의경우" 나혜석연구 (1) , 2012

      5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 , 2010

      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 2005

      7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Mensch und Raum)" 에코 리브르 , 2011

      8 송명희, "여성과 공간 - 현상학적 공간이론과 젠더정치학 -" 배달말 (43) : 21 ~ 48 , 2008

      9 베아트리츠 콜로미나, "섹슈얼리티와 공간" 동녘 , 2005

      10 질 발렌타인, "사회지리학" 논형 , 2009

      1 이재인, "현대소설의 이해" 문학사상사 , 1998

      2 송명희, "페미니즘 비평" 한국문화사 , 2012

      3 전갑생, "청구 김우영의 ‘정치적 활동’과 나혜석" 나혜석연구 2 , 2013

      4 김복순, "조선적 특수의 제 방식과 아나카페미니즘의 신여성 계보 - 나혜석의경우" 나혜석연구 (1) , 2012

      5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 , 2010

      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 2005

      7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Mensch und Raum)" 에코 리브르 , 2011

      8 송명희, "여성과 공간 - 현상학적 공간이론과 젠더정치학 -" 배달말 (43) : 21 ~ 48 , 2008

      9 베아트리츠 콜로미나, "섹슈얼리티와 공간" 동녘 , 2005

      10 질 발렌타인, "사회지리학" 논형 , 2009

      11 진설아, "떠도는 근대 여성, 그가 꿈꾸는 ‘거주’에의 욕망과 실패 -나혜석의 소설과 수필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50 : 515 ~ 538 , 2012

      12 김왕배, "도시, 공간, 생활세계" 한울 , 2000

      13 유진월, "나혜석의 탈주 욕망과 헤테로토피아" 인문과학연구 (35) : 25 ~ 51 , 2012

      14 김경애, "나혜석의 여성해방론의 실현과 갈등" 여성과 역사 (19) : 263 ~ 297 , 2013

      15 송명희, "나혜석의 어머니와 딸과 대화주의" 내러티브 (8) , 2004

      16 조미숙, "나혜석의 문학의 공간의식 연구" 인문과학연구 (39) , 2013

      17 송명희, "나혜석의 급진적 페미니즘과 개방결혼 모티프" 인문학연구 47 (1) : 177 ~ 209 , 2014

      18 이상경, "나혜석 전집" 태학사 , 2000

      19 정미숙, "나혜석 소설의 ‘여성’과 젠더수사학 ―「경희」, 「원한」, 「현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46) : 201 ~ 220 , 2011

      20 송명희, "나혜석 문학연구의 현황과 과제" 현대문학이론연구 (46) : 71 ~ 95 , 2011

      21 송명희, "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여성 모티프" 인문사회과학연구 11 (2) , 2011

      22 조미숙, "‘여성의 상태’와 나혜석의 글쓰기 - ‘경계’와 ‘아브젝트’ 체험의 표현 -" 한국문예비평연구 (42) : 371 ~ 398 , 2013

      23 Ellen Moers, "Literay Women" Doubleday Com. ,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