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학에서의 사회자본 논의에 대한 비판적 탐색  :  가정의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 The Critical Review on the Social Capital in Educational Dis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5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ly the educational discourse to social capital.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in pedagogy, second, explored critically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ly the educational discourse to social capital.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in pedagogy, second, explored critically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 the level of analysis, a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upper class. The discourses of social capital in pedagogy argue that this concept contribute to explaining family's influence on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declining socio-economic inequality between poverty and upper class. But, social capital in educational discourse has following problems. 1) a conceptual confusion 2)the level of analysis overlooking unequal power relationship in the existing society 3)pay not attention to excessive social capital of upper class in korea society. On account of these problems, many previous studies failed to comprehend 1)the processing of family affect to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2)difference of the process of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between poverty and upper class. And, 3)many previous studies had unexpectedly justified socio-economic inequality by the cause of difference of educational achievement between poverty and upper class owing to family. Hence,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capital in educational discourse need to be explored precise meaning of this concept, criticall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power relations, and recovering publicity of this concep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학 영역에서의 사회자본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학에서 사회자본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사회자본이 가정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

      본 연구는 교육학 영역에서의 사회자본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학에서 사회자본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사회자본이 가정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을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유용성과 빈곤계층의 사회자본 축적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생산성을 가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개념의 혼란, 거시적 분석의 결여, 논리적 순환론이 야기하는 문제에 대한 관심은 소홀한 편이다. 이로 인해 오히려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가정의 영향력을 구조적․맥락적으로 이해하는 데 실패하였으며 학업성취 의 차이를 가정에 둠으로써 오히려 사회불평등의 정당화라는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념의 명확한 정의, 계층 간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고려한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사회자본의 공공재적 성격의 회복을 위한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