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반촌마을 유교식 동제의 특징과 성격 = 19세기~20세기 초 충청지역의 산신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3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반촌에서 전승되는 유교식 산신제의 성격을 마을문서에 의거하여 살펴본 시론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9세기~20세기 초 산신제가 전승되는 마을에서 제사를 주도하는 계층이 기록으...

      이 글은 반촌에서 전승되는 유교식 산신제의 성격을 마을문서에 의거하여 살펴본 시론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9세기~20세기 초 산신제가 전승되는 마을에서 제사를 주도하는 계층이 기록으로 남긴 문서를 중심으로 입론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유교식 동제의 전형을 보여주는 반촌의 산신제는 향론을 지배하는 집단이나 계층이 주도적으로 제사권을 행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재지사족이나 반촌에서 동제에 소극적이었거나 금기시했을 것이라는 선입견은 고정관념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마을에 따라서는 사족들이 무속적인 성격이 짙은 당제나 온갖 잡희와 풍물놀이가 수반되는 축제형 동제를 꺼려하거나 불참하는 사례도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마을문서에 기록된 내용을 분석해 볼 때 유교식 제례절차가 중시되는 산신제의 경우 오히려 반촌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이것이 예하의 민촌에 영향을 끼쳐 널리 확산된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반촌에서 유교식 산신제에 대하여 능동적인 입장을 견지한 것은 조선의 집권층이 줄기차게 추진해온 음사 금단책을 어느 정도 수용한 타협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이와 더불어 유교식 관념체계가 조선 전기부터 가례의 보급을 통해 체계적으로 민간에 확산되면서 동제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는 해마다 주기적인 의례를 통해 지배계층 중심의 마을 질서와 통합을 강화하기 정치적인 포석이 일정하게 내재된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iece of writing is an essay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that is passed down in Banchon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village docwnents. For the sake of this, I have developed the argu...

      This piece of writing is an essay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that is passed down in Banchon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village docwnents. For the sake of this, I have developed the argument while focusing on the documents that are left by the class who led the ancestral rites in the village where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was passed down in th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of that,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of Banchon that shows the example of the communal ancestral rites in the Confucian mode was led by the group or the class who dominated the public opinion of the village.
      Therefore, the prejudice that the noblemen of late Chosun were passive about the communal ancestral rites or that they treated them as taboo is nothing but the stereotype. There, of course, were cases in some villages in which the noble class avoids or is absent from the communal ancestral rites in the form of festivities that involve various trivial trick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lay or from the ancestral rites for the village god that is very shamanistic. However, when the contents written in the village documents are analyzed, it is understood that, as for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that emphasizes the Confucian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t was accepted rather actively in Banchon and was widely spread into the commoner’s village.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this to be a product of compromise in which the forbiddance of religious ritual for the corrupt spirits that is incessantly pushed forward by the power class of Chosun is to some degree embraced that people in Banchon held an active stance toward the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of the Confucian mode. Along with this, as the Confucian conceptual system was diffused systematically among the people through the propagation of the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since the early Chosun era, it is judged to have influenced the communal ancestral rite. Moreover, behind all these, the political groundwork was constantly inherent for strengthening the order and the integration of the ruling class-centered village through periodical ceremonies each ye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교식 산신제의 성립과 확산배경
      • Ⅲ. 반촌마을 산신제의 제관과 상하민의 역할
      • Ⅳ. 반촌마을 산신제의 특징과 성격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교식 산신제의 성립과 확산배경
      • Ⅲ. 반촌마을 산신제의 제관과 상하민의 역할
      • Ⅳ. 반촌마을 산신제의 특징과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