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animal rights was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50s, focusing on Son Chang-seop’s “A Chick and Hyun-joo,” “A Blind Dog,” and “Returned Seri” This study was able to conf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60733
장수경 (목원대학교)
2023
Korean
손창섭 ; 동물 ; 인간 ; 동물해방 ; 동물권 ; 1950년대 ; 동화 ; Son Chang-seop ; Animal ; Human ; Animal Liberation ; Animal Rights ; 1950s ; Children’s Narrative
KCI등재
학술저널
201-22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animal rights was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50s, focusing on Son Chang-seop’s “A Chick and Hyun-joo,” “A Blind Dog,” and “Returned Seri” This study was able to conf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animal rights was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50s, focusing on Son Chang-seop’s “A Chick and Hyun-joo,” “A Blind Dog,” and “Returned Seri”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ree facts.
First, “A Chick and Hyeonju”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human selfish way of thinking that treats and resources edible animals such as chickens only as instrumental beings in human life.
Second, the “A Blind Dog” visualizes that vulnerable animals with disabilities are born with natural rights to life like humans. This narrative emphasizes that in order to share the sensitivity of animals to the right to life, human empathy needs to be extended to other animals.
Third, the “Returned Seri” describes that humans should be recognized as beings with voices that listen to animals while interacting with them, pay emotional attention, and take the truth that animals want to express seriously.
Son Chang-seop’s narrative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is expanding beyond the relationship of dominating and dominated to understanding and empathy. Thi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an opportunity to expand empathy for animals and seek coexistence while opposing species discrimin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today.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창섭, "「꼬마와 현주」(『새벗』, 1955.11, 2). 「장님 강아지」(『새벗』, 1958.1). 「돌아온 세리」( 새벗』, 1958.11)"
2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3 송다금, "한국 서사장르의 동물 담론 연구-비판적 동물연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 2023
4 문선영 ; 유지안,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89-113, 2021
5 오한나,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 등장인물의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09-144, 2021
6 수나우라 테일러, "짐을 끄는 짐승들" 오월의 봄 2020
7 조은숙, "어린이문학과 인권 감수성, 쟁점과 과제" 한국방정환재단 29-39, 2023
8 김기흥 ; 천명선, "수잔 맥휴(Susan McHugh)와의 인터뷰" 한국과학기술학회 21 (21): 218-230, 2021
9 서상혁, "서상혁 수의사의 동물과 사회-동물은 물건이 아닙니다"
10 피터 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1 손창섭, "「꼬마와 현주」(『새벗』, 1955.11, 2). 「장님 강아지」(『새벗』, 1958.1). 「돌아온 세리」( 새벗』, 1958.11)"
2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3 송다금, "한국 서사장르의 동물 담론 연구-비판적 동물연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 2023
4 문선영 ; 유지안,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89-113, 2021
5 오한나,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 등장인물의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109-144, 2021
6 수나우라 테일러, "짐을 끄는 짐승들" 오월의 봄 2020
7 조은숙, "어린이문학과 인권 감수성, 쟁점과 과제" 한국방정환재단 29-39, 2023
8 김기흥 ; 천명선, "수잔 맥휴(Susan McHugh)와의 인터뷰" 한국과학기술학회 21 (21): 218-230, 2021
9 서상혁, "서상혁 수의사의 동물과 사회-동물은 물건이 아닙니다"
10 피터 싱어, "동물해방" 연암서가 2012
11 헨리 S. 솔트, "동물의 권리" 지에이소프트 2017
12 심아정, "동물의 ‘곁’에서 무엇을 어떻게 선언할 것인가-세 개의 선언과 ‘다른 삶’의 가능성"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79 : 313-329, 2020
13 임종식, "동물권 논쟁-피터싱어・탐 레건 그리고 제3의 해법" 경진출판 2022
14 안점옥, "동물 의인화 서사의 변화 양상 - 김태호 단편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0) : 7-39, 2022
15 김지은, "다양성의 공동체-아동청소년문학과 그림책의 변화" 창작과비평사 74 : 21-33, 2021
16 이순성, "공감, 지구적 정의, 동물권리" 한국환경철학회 (18) : 61-90, 2014
17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창비 2023
『문예운동』 특집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시’에 나타나는 청소년 문학의 양상과 의미
오규원 동시 속 ‘길’의 구현 양상 - 『나무 속의 자동차』를 중심으로 -
장애와 공간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중심으로 -
제 1회 인간질병 극복을 위한 최신 실험동물기법 국제심포지움
경북대학교 Tadashi Yamashita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