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독서교육과 중등 독서교육의 연결 방안 모색 -통합플랫폼의 활용- = Seeking a way to connect university and secondary reading education - Utilizing an integrated platform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사이에 ‘중등교육 연계프로그램’, ‘고교학점제’ 등 ‘후기중등 교육’이라고 부를 만한 프로그램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완전히 분리되었던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은 평생교육 체계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고등교육은 과거와 달리 ‘전단계’ 중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를 살펴보고 ‘다음 단계’로서의 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유기적 관계에 관심을 둔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분야의 독서교육을 ‘중등 - 후기 중등 - 고등 교육’으로 이어지는 연속 구간의 일부분으로 보고, 대학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위해서는 초ㆍ중등교육 과정 및 시스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출발하였다. 대학 진학 전 학습자들이 받아온 중등교육과정의 독서교육 실태를파악하고 해당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대학의 독서교육을 도모할 것인지탐구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대학교양교육에서 독서교육의 의미는 무엇이며 독서교육이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중등교육과정 독서교육의 현황을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먼저 중등교육과정에서 ‘독서’ 교과의 맥락과 운영방식을 탐구하였고, 다음으로 초ㆍ중등교육과정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교육 플랫폼의 등장과 변화과정을 탐구하였다. 결론에서는 독서교육에서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유기적 연결이 필요한 이유를 찾고 연결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번역하기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사이에 ‘중등교육 연계프로그램’, ‘고교학점제’ 등 ‘후기중등 교육’이라고 부를 만한 프로그램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완전히 분리되었던 중등교육과 ...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사이에 ‘중등교육 연계프로그램’, ‘고교학점제’ 등 ‘후기중등 교육’이라고 부를 만한 프로그램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완전히 분리되었던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은 평생교육 체계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새로운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고등교육은 과거와 달리 ‘전단계’ 중등교육의 성공과 실패를 살펴보고 ‘다음 단계’로서의 교육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유기적 관계에 관심을 둔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분야의 독서교육을 ‘중등 - 후기 중등 - 고등 교육’으로 이어지는 연속 구간의 일부분으로 보고, 대학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위해서는 초ㆍ중등교육 과정 및 시스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출발하였다. 대학 진학 전 학습자들이 받아온 중등교육과정의 독서교육 실태를파악하고 해당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대학의 독서교육을 도모할 것인지탐구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대학교양교육에서 독서교육의 의미는 무엇이며 독서교육이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중등교육과정 독서교육의 현황을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먼저 중등교육과정에서 ‘독서’ 교과의 맥락과 운영방식을 탐구하였고, 다음으로 초ㆍ중등교육과정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교육 플랫폼의 등장과 변화과정을 탐구하였다. 결론에서는 독서교육에서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유기적 연결이 필요한 이유를 찾고 연결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re emerging between secondaryand higher education, and each curriculum is organically linked on thelifelong education system.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which usedto be separated, are form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and next stages of education. If so, higher education, unlike in thepast, must exa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secondary education,which is the previous stage of education, and plan the next stage.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pproaches rea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universityliberal arts education as part of the section that runs throughoutsecondary - upper secondary - higher education. Furthermore, todevelop a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firstunderst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and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education insecondary education received by learners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explores how to provide reading education to these learners atuniversities. In the main text, we first examine the meaning of reading education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Next, we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from two perspectives. We first explore the history and operationmethod of the ‘reading’ subject in secondary education and then theemergence and changes in the reading education platform operated in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stly, we look into the reasons why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s necessary in reading education andexplore ways to connect them.
      번역하기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re emerging between secondaryand higher education, and each curriculum is organically linked on thelifelong education system.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which usedto be separated, are forming a new relationship ...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are emerging between secondaryand higher education, and each curriculum is organically linked on thelifelong education system.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which usedto be separated, are form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and next stages of education. If so, higher education, unlike in thepast, must exa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secondary education,which is the previous stage of education, and plan the next stage.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pproaches read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universityliberal arts education as part of the section that runs throughoutsecondary - upper secondary - higher education. Furthermore, todevelop a university reading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firstunderst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and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education insecondary education received by learners before entering university andexplores how to provide reading education to these learners atuniversities. In the main text, we first examine the meaning of reading education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Next, we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from two perspectives. We first explore the history and operationmethod of the ‘reading’ subject in secondary education and then theemergence and changes in the reading education platform operated in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stly, we look into the reasons why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s necessary in reading education andexplore ways to connect th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