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문화행사 관람형태의 변화 연구 ╶ 원격관람객과 현장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Patterns of Cultural Event Viewing due to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Remote Audience and L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8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viewing patterns that have occurred as the number of on-site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sporting events decreased and remote viewing in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size of the livenes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view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temporal aspects of the pandemic, site visits before the pandemic, non-face-to-face remote viewing in 2020, and parallel on-site and remote viewing, centered on those who completed vaccinations from 2021. Live broadcasting of sporting events was common before the pandemic, and although performances were broadcast live, remote viewing of exhibitions and expositions was known as a pandemic. The size of the liveness in this viewing culture has a hierarchy according to spatial coexistence, temporal simultaneity, and viewing method. On-site audiences are allowed only to a few who can afford the economic cost and time, so they play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However, as the number of special effects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difficult to see in on-site viewing, and video assistant referees in sports events are increasing, the status of on-site viewing and remote viewing is gradually chang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viewing patterns that have occurred as the number of on-site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sporting events decreased and remote viewing in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viewing patterns that have occurred as the number of on-site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sporting events decreased and remote viewing in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size of the livenes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view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temporal aspects of the pandemic, site visits before the pandemic, non-face-to-face remote viewing in 2020, and parallel on-site and remote viewing, centered on those who completed vaccinations from 2021. Live broadcasting of sporting events was common before the pandemic, and although performances were broadcast live, remote viewing of exhibitions and expositions was known as a pandemic. The size of the liveness in this viewing culture has a hierarchy according to spatial coexistence, temporal simultaneity, and viewing method. On-site audiences are allowed only to a few who can afford the economic cost and time, so they play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However, as the number of special effects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difficult to see in on-site viewing, and video assistant referees in sports events are increasing, the status of on-site viewing and remote viewing is gradually chang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공연, 전시, 스포츠 경기의 현장관람이 감소하고, 원격관람이 증가하며 나타난 관람형태의 변화와 특징을 현장감의 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팬데믹의 시기별 양상에 따른 관람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팬데믹 이전의 현장관람과 코로나19 팬데믹이 기승을 부리던 2020년에 알려진 비대면 원격관람 그리고 2021년부터 백신접종 완료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장관람과 원격관람의 병행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스포츠 경기의 생중계는 팬데믹 이전부터 보편적이었고, 공연분야에서는 실황중계가 있었지만, 전시, 박람회의 원격관람은 팬데믹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관람문화에서의 현장감의 크기는 공간적 공존, 시간적 동시성, 관람방법에 따라 위계를 갖는다. 현장관람은 경제적 비용과 시간적 여유가 있는 소수에게 허용되므로 문화자본의 역할도 하지만, 현장관람에서 보기가 어려운 증강현실을 활용한 특수효과와 스포츠 경기에서의 비디오 판독 등이 늘면서 현장관람과 원격관람의 지위에는 차츰 변화가 생기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공연, 전시, 스포츠 경기의 현장관람이 감소하고, 원격관람이 증가하며 나타난 관람형태의 변화와 특징을 현장감의 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

      이 논문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공연, 전시, 스포츠 경기의 현장관람이 감소하고, 원격관람이 증가하며 나타난 관람형태의 변화와 특징을 현장감의 크기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팬데믹의 시기별 양상에 따른 관람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팬데믹 이전의 현장관람과 코로나19 팬데믹이 기승을 부리던 2020년에 알려진 비대면 원격관람 그리고 2021년부터 백신접종 완료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장관람과 원격관람의 병행으로 구분하였다. 한편, 스포츠 경기의 생중계는 팬데믹 이전부터 보편적이었고, 공연분야에서는 실황중계가 있었지만, 전시, 박람회의 원격관람은 팬데믹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관람문화에서의 현장감의 크기는 공간적 공존, 시간적 동시성, 관람방법에 따라 위계를 갖는다. 현장관람은 경제적 비용과 시간적 여유가 있는 소수에게 허용되므로 문화자본의 역할도 하지만, 현장관람에서 보기가 어려운 증강현실을 활용한 특수효과와 스포츠 경기에서의 비디오 판독 등이 늘면서 현장관람과 원격관람의 지위에는 차츰 변화가 생기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영,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무용 공연 : 라이브니스(Liveness)의 확장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9 (79): 41-55, 2021

      2 연규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AR(증강현실)전시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264-273, 2021

      3 조정아, "팝음악의 결정적 순간들 : 103가지 이야기" 돋을새김 2004

      4 이지혜, "클래식, 가슴으로 듣고 마음으로 담아내다 : 클래식 해설가 이지혜의 음악 이야기" 문예마당 2012

      5 김태극, "언택트 공연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온라인 기반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21

      6 지혜원, "디지털 시대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재난-문화-인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20-249, 2021

      7 Benjamin, W.,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12

      8 Rowe, D., "글로벌 미디어 스포츠: 흐름, 형태 그리고 미래" 명인문화사 2017

      9 장지영, "공연은 계속돼야 한다.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재난-문화-인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50-289, 2021

      10 Wurtzler, S., "She sang live, but the microphone was turned off: the live, the recorded, and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Sound Theory Sound Practice" Routledge 87-103, 1992

      1 박수영,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무용 공연 : 라이브니스(Liveness)의 확장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9 (79): 41-55, 2021

      2 연규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AR(증강현실)전시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264-273, 2021

      3 조정아, "팝음악의 결정적 순간들 : 103가지 이야기" 돋을새김 2004

      4 이지혜, "클래식, 가슴으로 듣고 마음으로 담아내다 : 클래식 해설가 이지혜의 음악 이야기" 문예마당 2012

      5 김태극, "언택트 공연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온라인 기반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2021

      6 지혜원, "디지털 시대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재난-문화-인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20-249, 2021

      7 Benjamin, W.,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12

      8 Rowe, D., "글로벌 미디어 스포츠: 흐름, 형태 그리고 미래" 명인문화사 2017

      9 장지영, "공연은 계속돼야 한다.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재난-문화-인간」"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50-289, 2021

      10 Wurtzler, S., "She sang live, but the microphone was turned off: the live, the recorded, and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Sound Theory Sound Practice" Routledge 87-103, 1992

      11 Couldry, N, "Liveness, "Reality, "and the Mediated Habitus from Television to the Mobile Phone" 7 (7): 353-361, 2004

      12 Auslander, P., "Live from cyberspace : or, I was sitting at my computer this guy appeared he thought I was a hot" 24 (24): 16-21, 2002

      13 Bourdieu, P., "La distinction : critique sociale du jugement" Éditions de Minuit 1979

      14 Auslander, P, "Digital Liveness : A Historico-Philosophical Perspective" 34 (34): 3-1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8-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연구원 -> 예술디자인연구원
      영문명 : Design Research Institute Kyunghee University -> Art·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