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시대 공법 논쟁에서 나타난 조세개혁과 인정(仁政)의 관계, 그리고 그 범주 및 의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세종 12년(1430)과 20년(1438) 전후에 있었던 조세개혁과 그에 관한 찬반 논쟁 속에서 당대인들이 생각했던 제도적 공정성과 인정(仁政), 즉 백성을 편안히 하는 통치[安民]의 의미가 ...

      본 논문은 세종 12년(1430)과 20년(1438) 전후에 있었던 조세개혁과 그에 관한 찬반 논쟁 속에서 당대인들이 생각했던 제도적 공정성과 인정(仁政), 즉 백성을 편안히 하는 통치[安民]의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논하는 것이다. 세종의 공법(貢法)이 당시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관료제 하에서 관료 재량권의 확대 및 부패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미 세종 이전이 태조와 태종대에 이미 두 번의 조세개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또다시 전면적인 조세개혁을 한다는 것은 국가로서 큰 부담이었다. 게다가 세종이 시행하고자 한 공법은 맹자에 의해 악법으로 비판받았던 정액세제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세종은 전국적 수준의 여론조사를 통해 공법시행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며, 공법을 시행하기 위해 2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논쟁을 전개한다. 세종은 결국 그가 최초에 기획했던 공법을 제도적으로 실현하는 데 실패하고 공법이라는 이름 하에 그가 비판한 답험손실법을 유지하게 된다. 공법시행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그 논쟁 과정에서 좋은 정치와 공정한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당대인들의 사유가 그들의 정치수사를 통해 드러난다. 또 세종이 반대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동원한 논리들이 어떻게 결과적으로 그의 정치행위를 제약하게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종대의 공법논쟁은 당대의 정치를 구성하는 언어와 메커니즘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good politics (仁政) in the tax reform controversy King Sejong Period. Sejong‘s tax reform (貢法) was designed to prevent the expansion of bureaucrats’ discretion and corruption under the limited bureaucracy ...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good politics (仁政) in the tax reform controversy King Sejong Period. Sejong‘s tax reform (貢法) was designed to prevent the expansion of bureaucrats’ discretion and corruption under the limited bureaucracy which was not fully developed. However, it was a great burden for the nation to undertake a full-fledged tax reform with two tax reforms already made before King Sejong period. In addition, Gongbub, the tax reform that King Sejong enforced was a flat tax that was criticized by Mencius as an evil law. For this reason, Sejong sought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implementation of Gongbub through nationwide public opinion polls, and had examined the controversy over Gongbub for nearly 20 years to implement it. In the end, King Sejong failed to systematically realize the originally planned tax system. The amount of collected tax under Gongbub was more than twice as that of the government had taken before, which made his tax reform lost its legitimacy. However, the controversy over Gongbub is an important sourc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good politics (仁政)” in early fifteenth century Korea. The people who took part in the debates used various political rhetorics to persuade the opponents, and their rhetoric revealed the concrete meaning and linguistic context of good poli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안민을 보장하고 관료제의 부패를 막아줄 제도적 장치로서 공법의 제안
      • III. 인정(仁政)의 의미: 관료제의 한계와 조세의 공평성
      • IV. 인정(仁政)의 제도적 정당성: 다수결 대 역사적 경험
      • V. 결론
      • I. 서론
      • II. 안민을 보장하고 관료제의 부패를 막아줄 제도적 장치로서 공법의 제안
      • III. 인정(仁政)의 의미: 관료제의 한계와 조세의 공평성
      • IV. 인정(仁政)의 제도적 정당성: 다수결 대 역사적 경험
      • V.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장우, "조선초기 전세제도와 국가재정" 일조각 1998

      2 강제훈, "조선초기 전세제도 연구 : 답험법에서 공법 세제로의 전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3 강제훈, "조선초기 전세제 개혁과 그 성격" 19 : 29-55, 2001

      4 박수경, "조선조 토지개혁사상과 토지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3) : 213-241, 2013

      5 김기평, "조선전기 전세(田稅)제도의 조세 정책적 시사점" 한국산업경제학회 20 (20): 2035-2053, 2007

      6 고동원, "조선전기 재정행정체계 확립을 위한 회계제도의 정립" 한국행정사학회 (26) : 25-44, 2010

      7 이태진, "조선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8 김옥근, "조선왕조재정사 연구 : 조선전기 재정정책의 전개과정분석-전세 및 공물정책의 전개" 부산수산대학교 1970

      9 "조선왕조 재정사 연구(2) : 조선전기 재정정책의 전개과정분석 - 전세 및 공물정책의 전개" 5 : 1970

      10 강제훈, "조선시대 재무제도 연구" 2005

      1 이장우, "조선초기 전세제도와 국가재정" 일조각 1998

      2 강제훈, "조선초기 전세제도 연구 : 답험법에서 공법 세제로의 전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3 강제훈, "조선초기 전세제 개혁과 그 성격" 19 : 29-55, 2001

      4 박수경, "조선조 토지개혁사상과 토지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3) : 213-241, 2013

      5 김기평, "조선전기 전세(田稅)제도의 조세 정책적 시사점" 한국산업경제학회 20 (20): 2035-2053, 2007

      6 고동원, "조선전기 재정행정체계 확립을 위한 회계제도의 정립" 한국행정사학회 (26) : 25-44, 2010

      7 이태진, "조선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8 김옥근, "조선왕조재정사 연구 : 조선전기 재정정책의 전개과정분석-전세 및 공물정책의 전개" 부산수산대학교 1970

      9 "조선왕조 재정사 연구(2) : 조선전기 재정정책의 전개과정분석 - 전세 및 공물정책의 전개" 5 : 1970

      10 강제훈, "조선시대 재무제도 연구" 2005

      11 유영옥, "조선시대 『尙書』 <禹貢>이해의 정치경제적 시각" 동양한문학회 37 (37): 119-149, 2013

      12 이관후, "정치적 정당성의 기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 동의, 정의, 토의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소 8 (8): 97-123, 2015

      13 이관후, "정당성은 빌려올 수 있는가" 한국정치사상학회 21 (21): 89-114, 2015

      14 소진형, "인조의 호패법 시행과정을 통해 본 권력의 정당성문제와 그 한계"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7 (17): 97-126, 2018

      15 최윤오, "세종조 공법의 원리와 그 성격" 106 : 3-30, 1999

      16 오기수, "세종대왕의 조세사상과 공법(貢法) 연구 -조세법 측면에서-" 한국세무학회 28 (28): 369-405, 2011

      17 손보기, "세종대왕의 민본정신을 되살리자면" 8 : 13-17, 1993

      18 오기수, "세종 공법의 핵심인 전분6등법 연구" 한국세무학회 32 (32): 9-33, 2015

      19 강제훈, "세종 12년 정액 공법의 제안과 찬반론" 6 : 63-92, 2002

      20 존 킨, "민주주의의 삶과 죽음 : 대의민주주의에서 파수꾼 민주주의로" 교양인 2017

      21 정요근,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역사문제연구소 (120) : 40-74, 2017

      22 송웅섭, "고려 말~조선 전기 ‘정치 세력의 이해’ 다시 보기" 역사문제연구소 (120) : 12-39, 2017

      23 이민우, "고려 말 조선 초 토지제도 개혁과 사회 변화" 역사문제연구소 (120) : 75-104, 2017

      24 소순규, "고려 말 조선 초 재정 구조의 연속성과 공납제 운영" 역사문제연구소 (120) : 105-129, 2017

      25 "高麗史"

      26 강제훈, "踏驗損實法의 시행과 田品制의 변화" 고려사학회 (8) : 293-334, 2000

      27 강제훈, "朝鮮 太宗ㆍ世宗代 田稅의 부과와 수취" 고려사학회 (6) : 237-270, 1999

      28 "孟子"

      29 "太宗實錄"

      30 "大學"

      31 "世宗實錄"

      32 "三峯集"

      33 소진형, "『대학』의 평천하(平天下) 개념과 성리학적 정치공동체"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4 (24): 1-2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1 2.11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