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문화 콘텐츠로써 스포츠의 가능성과 가치 = Possibility and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50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heoretical base of sports contents by finding possibility and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The study could check implications in change of recognition about sports contents getting an unkind treatment socially and the possibility of sports contents as a part of culture contents. Namely, sports in modern societ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culture contents and securing their position as a core cause of social structural change. To objectify such sides, the study suggested possibility and conditions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utility form and ground of social contex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review on their possibility, when the study reviewed their value, the study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is a tool of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Second, it is a means to pull down boundaries among countries and ethnic races. Third, it is a medium of contents integration. Fourth, it is an existence of social transfer and context. Fifth, the core of sports contents is creativity and emotion. As above, the range of sports has the possibility and value as culture contents diversely. However, sports as culture contents are still not enough too much. To make sports play a lot of roles in the market of culture contents, it is urgent to improve investment in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weak investment environ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heoretical base of sports contents by finding possibility and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The study could check implications in change of recognition about sports contents getting an unkind treatment socially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heoretical base of sports contents by finding possibility and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The study could check implications in change of recognition about sports contents getting an unkind treatment socially and the possibility of sports contents as a part of culture contents. Namely, sports in modern societ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culture contents and securing their position as a core cause of social structural change. To objectify such sides, the study suggested possibility and conditions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utility form and ground of social contex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review on their possibility, when the study reviewed their value, the study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value of sports as culture contents is a tool of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Second, it is a means to pull down boundaries among countries and ethnic races. Third, it is a medium of contents integration. Fourth, it is an existence of social transfer and context. Fifth, the core of sports contents is creativity and emotion. As above, the range of sports has the possibility and value as culture contents diversely. However, sports as culture contents are still not enough too much. To make sports play a lot of roles in the market of culture contents, it is urgent to improve investment in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weak investment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맹이섭, "프로스포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콘텐츠 DB항목 개발" 한국체육학회 49 (49): 65-77, 2010

      2 안중호, "콘텐츠 산업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240 : 60-63, 1998

      3 윤희중, "정보사회와 뉴미디어의 인식변화" 5-16, 1999

      4 목진자, "정보사회에서 디지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전망" 2 (2): 84-98, 1999

      5 장노현, "인문학적 문화콘텐츠와 창의성" 한민족문화학회 18 (18): 1-22, 2006

      6 조성식, "스포츠콘텐츠 가치 분석을 위한 기준항목 개발 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103-114, 2009

      7 김종, "스포츠이벤트에 ‘지역 콘텐츠’ 담자"

      8 김동규, "스포츠실천의 진보: 상생과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17 (17): 51-69, 2009

      9 신규리, "스포츠관광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5 (35): 471-478, 2009

      10 최영환, "스포츠 콘텐츠 장르 이용에 따른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42 (42): 501-512, 2010

      1 맹이섭, "프로스포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콘텐츠 DB항목 개발" 한국체육학회 49 (49): 65-77, 2010

      2 안중호, "콘텐츠 산업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240 : 60-63, 1998

      3 윤희중, "정보사회와 뉴미디어의 인식변화" 5-16, 1999

      4 목진자, "정보사회에서 디지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전망" 2 (2): 84-98, 1999

      5 장노현, "인문학적 문화콘텐츠와 창의성" 한민족문화학회 18 (18): 1-22, 2006

      6 조성식, "스포츠콘텐츠 가치 분석을 위한 기준항목 개발 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103-114, 2009

      7 김종, "스포츠이벤트에 ‘지역 콘텐츠’ 담자"

      8 김동규, "스포츠실천의 진보: 상생과 소통" 한국체육철학회 17 (17): 51-69, 2009

      9 신규리, "스포츠관광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5 (35): 471-478, 2009

      10 최영환, "스포츠 콘텐츠 장르 이용에 따른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42 (42): 501-512, 2010

      11 최영환, "스포츠 콘텐츠 이용요인의 크로스 미디어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5 (35): 549-560, 2009

      12 김방출, "스포츠 민족주의 재인식: 전지구화, 스포츠, 기업 민족주의"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8 (18): 75-85, 2007

      13 유호근, "소프트 파워로서의 스포츠" 비교민주주의학회 5 (5): 135-161, 2010

      14 허원순, "세계화 상업화 가장 앞선 분야 ‘축구’" (763) : 2010

      15 김태길, "변혁시대의 사회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7

      16 조성식, "미디어 스포츠콘텐츠 수용자의 기대가치와 이용충족 비교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77-86, 2009

      17 주수현, "문화콘텐츠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한국관광학회 30 (30): 181-200, 2006

      1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산업 산업분류 연구" 2004

      19 최성모,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과 법, 제도적 환경조성" 7 : 63-75, 2003

      20 권의웅, "문화콘텐츠 비즈니스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8 : 285-304, 2004

      21 김용, "롯데 선수들, 지고도 기립박수 받은 이유"

      22 김종갑,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문화콘텐츠산업의 동향" 4 (4): 3-19, 2002

      23 유재구, "개인 가치특성에 따른 스포츠콘텐츠이용 연구" 한국체육학회 49 (49): 255-270, 2010

      24 김주완, "‘제 9구단’ 엔씨소프트 영화같이 드라마틱한 야구하겠다"

      25 Maguire, J, "Global sport: Identities, societies, civilizations" Polity Press 1999

      26 Miller, k, "Communication Theories: Perspectives. Processes, and Contexts(2nd ed.)" McGraw-Hill Companies 256-260,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