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년창업기업의 애로사항과 사업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 연구 = Companies an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Maximize Corporate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19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창업자가 창업 시 고려해야할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기업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업내부요인과 기업외부요인이 존...

      본 연구는 청년창업자가 창업 시 고려해야할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기업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업내부요인과 기업외부요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기업내부요인으로 대표이사의 창업 전 경험과 역량, 기업요소인 Value Chain 상의 요인이 있고, 기업외부요인으로 투자/융자, 컨설팅/교육 등 지원하는 정부정책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 미치는 요인이 창업기업의 사업성과 극대화에 영향은 기업성장 단계별, 창업기업 특성에 따라 요인 우선순위 중요도를 창업 3년 이내, 만 39세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성과에 미치는 중요도 분석하기 위해 AHP기법을 이용하였다. AHP기법의 계층구조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기존 국내연구자와 해외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4계층으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는데 제2계층은 2요인, 제3계층에서 3요인, 제4계층에서는 12요인을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각 요인들의 비교평가와 분석과정에서의 결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창업센터 전문컨설턴트, 창업컨설턴트의 토론을 통한 의견을 수렴하여 요인들을 선정하는데 반영하였으며, 결과의 분석 도구로는 AHP기법 전용 전문 소프트웨어인 “I MAKE IT”솔루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창업자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사업성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기업내부요인보다 기업외부요인이 다소 높아 기업외부요인이 기업성과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최하위요인 순위도에 의하면 정부의 투/융자지원이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로는 기업내부요인 대표이사의 관련 산업경험, 그 다음 순서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면서 마케팅지원, 컨설팅/교육지원순위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창업자는 창업에 소요되는 자금조달이 압도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관련 산업경험이 대표이사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느끼고 있으며, 또한 마케팅지원과 사업전반에 관한 교육지원과 컨설팅이 창업초기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2단계 상대적 중요도(기여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기업내부요인 중 대표이사 역량이 기업요소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대표이사의 준비해야할 창업 전 경험이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고, 기업요소는 기업이 일정수준의 성장 후 관리적 개념이 내포되어 있어 창업초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신규 청년창업자의 창업 시와 정부가 청년창업자의 정책을 입안 과정에 수요자인 청년창업자의 애로사항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청년창업자가 창업 후 경영경력이 3년 내외로 조사한 결과가 경영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데 한계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이어 조직전반의 이해도가 높고 경력이 풍부한 컨설턴트, 경영자 등의 전문가의 동일 설문을 조사하여 AHP기법을 이용하여 창업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 분석을 포함시킨다면 좀 더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young startup entrepreneur found a busin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business of a company, corporate internal factors and ...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young startup entrepreneur found a busin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business of a company, corporate internal factors and corporate external factors exist. Corporate internal factors include a CEO’s experience and capability before starting a business and the factors in value chain, the corporate factor. Corporate external factors include government policies which support investment & financing and consulting &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mpanies based on their influence on the maximization of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according to company growth s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startup busines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entrepreneurs aged 39 who had started their businesses no more than three years ag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generate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In the stud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s for the hierarchy structure of AHP technique, a variety of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were designed into a four-hierarchy structure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ers at home and abroad. The second hierarchy consisted of two factors, the third hierarch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and the fourth hierarchy consisted of 12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factors, results from the discussion between specialized consultants in the youth startup center of Small &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nd consultants specialized in starting up a business were reflected in selecting the factors. As for the tool employed i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 MAKE IT”solution program, the software exclusively for AHP technique,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rporate external factors were higher than corporate internal factors when young startup entrepreneurs maximized their corporate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corporate external factors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earlier than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lowest ranks of factors, investment and financing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importance in terms of th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 CEO’s relevant industrial experience, one of corporate internal factors, took the second place, followed by marketing support and consulting & education with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startup entrepreneurs thought that financing for a startup was dominantly important. In addition, they believed that relevant industrial experience increased a CEO’s possibility to succeed and that marketing support, education support on overall business and consulting should be provided from the outside at the early stage of starting up a busi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two stage relative importance (contribution) in th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 CEO’s capability, one of corporate internal factors, was slightly higher than corporate factors. This indicates that the experience a CEO should prepare before starting up a business is important and that, as corporate factors include managerial concepts after a company has grown to a certain level, there is a low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arly stage of starting up a busines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when a young startup entrepreneur founds a business or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s a policy for youth startup entrepreneurs with the consideration of youth startup entrepreneurs’ difficulties an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as the young startup entrepreneu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l had about three-year experience of management after founding a bus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limitations in determining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maximize management performance. If a follow-up study conducts a survey involving experts including consultants and managers with good understanding of an organization in general and abundant experience and contains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startup entrepreneurs and experts using AHP technique, the study will be more valu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ⅰ
      • 표 목 차 ⅱ
      • 그림목차 ⅲ
      • Ⅰ. 서 론 01
      • 목 차 ⅰ
      • 표 목 차 ⅱ
      • 그림목차 ⅲ
      • Ⅰ. 서 론 0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1
      • Ⅱ. 이론적 배경 03
      • 1. 청년창업의 개념 03
      • 2. 청년창업지원정책 03
      • 1)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창업지원 현황 04
      • 2) 중앙부처의 청년창업지원 현황 17
      • 3. 창업특성 21
      • 1) 청년창업자의 창업특성 21
      • 2) 청년창업자 창업활성과 영향요인 21
      • 4. 청년창업 애로사항과 실패요인 22
      • 5. 청년창업 생태계 개념 25
      • 1) 청년창업 생태계 특징 25
      • 2) 벤처생태계 모형 26
      • 6. 연구의 필요성 30
      • Ⅲ. 창업기업의 사업성과 31
      • 1. 사업성과 31
      • 2.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33
      • Ⅳ. 연구 방법 37
      • 1. 기존 문헌연구 37
      • 2. 연구 설계 40
      • 1) AHP이론 40
      • 2) AHP이론적 배경 41
      • 3) AHP의 전제조건 41
      • 4) AHP의 분석과정 42
      • 5) AHP의 특징 43
      • 2. 연구 모형설계 45
      • 1) 연구모형의 설정 45
      • 2) 연구범위 50
      • 3) 조사대상 및 방법 50
      • 4) 자료수집과 표본의 특성 52
      • V. 연구 결과 54
      • 1. 중요도 기반 우선순위 평가 54
      • 1) 기업내부요인과 기업외부요인의 쌍대비교 결과 54
      • 2) 대표이사와 기업요소의 쌍대비교 결과 56
      • 3) 대표이사 하위요인 쌍대비교 결과 57
      • 4) 기업요소 하위요인 쌍대비교 결과 58
      • 5) 창업생태계 하위요인 쌍대비교 결과 59
      • 6) 2단계 하위요인 및 최하위 중요도 종합 순위 결과 60
      • 2. 중요도 기반 표본 특성별 우선순위 평가 62
      • 1) 학력 석사학위 출신 최하위요인 중요도 결과 63
      • 2) 관련분야 경험 10~15년 이상 최하위요인 중요도 결과 64
      • 3) 업력 3년 초과 최하위요인 중요도 결과 65
      • 4) 매출액 1억 원 미만 최하위요인 중요도 결과 66
      • Ⅵ. 결 론 67
      • 참 고 문 헌 70
      • 영 문 초 록 75
      • 설 문 지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