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의 디자인교육에 대한 방향모색 = A Study for a Course of Design Education of The Digital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8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ign education needs to change into an education to meet harmoniously the masses' mental and physical desire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ves from a technical education to satisfy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companies which have focused on beauty and usability of industrial times in the past. The goal of design education is to improve essentially the masses' aesthetic level and quality of life by enhancing their formative abilities on the basis of creativity. Viewed in this light, the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ew times, the changes in design environment and the factors of the changes. First of all, the paper raises the problems about its goal and study necessity and explores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in a view of constructionism and the changes in its role. In addition, it presents the basic course of design education by searching and inferring today's problems of design education and its contents and roles as a mass educ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design education for the masses should consist of new knowledge with which the masses, who are the ordinary subjects of recognition, can understand the things to learn within a framework of recognition and interconnect them in themselves.
      번역하기

      Design education needs to change into an education to meet harmoniously the masses' mental and physical desire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ves from a technical education to satisfy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companies which have focused on be...

      Design education needs to change into an education to meet harmoniously the masses' mental and physical desire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ves from a technical education to satisfy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companies which have focused on beauty and usability of industrial times in the past. The goal of design education is to improve essentially the masses' aesthetic level and quality of life by enhancing their formative abilities on the basis of creativity. Viewed in this light, the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ew times, the changes in design environment and the factors of the changes. First of all, the paper raises the problems about its goal and study necessity and explores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in a view of constructionism and the changes in its role. In addition, it presents the basic course of design education by searching and inferring today's problems of design education and its contents and roles as a mass educ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design education for the masses should consist of new knowledge with which the masses, who are the ordinary subjects of recognition, can understand the things to learn within a framework of recognition and interconnect them in themsel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자인 교육은 과거 산업시대의 아름다움과 유용성을 목적으로 한 기업의 생산과 소비에 이르는 활동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만을 가르치는 역할에서, 모든 대중의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를 조화 있게 충족시켜 인간다운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대중의 미적수준을 향상시키고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조형능력 향상을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따른 특징 및 디자인 환경 변화와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논제의 목적과 연구 필요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육과 디자인교육의 개념 및 역할의 변화에 대한 탐색을 하였다. 또한 오늘날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대중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의 내용 및 역할에 대한 탐색과 추론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대중을 위한 디자인교육은 일상적인 인식주체인 대중이 그 인식의 틀 안에서 배운 것을 이해하고 자기 자신 안에서 그 배운 것을 연결해 갈 수 있는 지식으로 새롭게 구성되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디자인 교육은 과거 산업시대의 아름다움과 유용성을 목적으로 한 기업의 생산과 소비에 이르는 활동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만을 가르치는 역할에서, 모든 대중의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

      디자인 교육은 과거 산업시대의 아름다움과 유용성을 목적으로 한 기업의 생산과 소비에 이르는 활동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만을 가르치는 역할에서, 모든 대중의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를 조화 있게 충족시켜 인간다운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디자인 교육은 본질적으로 대중의 미적수준을 향상시키고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조형능력 향상을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따른 특징 및 디자인 환경 변화와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논제의 목적과 연구 필요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육과 디자인교육의 개념 및 역할의 변화에 대한 탐색을 하였다. 또한 오늘날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대중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의 내용 및 역할에 대한 탐색과 추론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대중을 위한 디자인교육은 일상적인 인식주체인 대중이 그 인식의 틀 안에서 배운 것을 이해하고 자기 자신 안에서 그 배운 것을 연결해 갈 수 있는 지식으로 새롭게 구성되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힌극디자인교육의 현황과 과제" 디자인교육 2001

      2 "정보화 사회의 산업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1997

      3 "변화하는 세계를 위한 디자인교육 (1)" 233 (233): 165-, 1997

      4 "모홀로 나기의 시카고에서의 디자인 교육학 (1937~46)" 2001

      5 "Web 기반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6 "21세기 한국디자인교육의 대전제" 한국미술교육학회 1997

      1 "힌극디자인교육의 현황과 과제" 디자인교육 2001

      2 "정보화 사회의 산업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1997

      3 "변화하는 세계를 위한 디자인교육 (1)" 233 (233): 165-, 1997

      4 "모홀로 나기의 시카고에서의 디자인 교육학 (1937~46)" 2001

      5 "Web 기반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6 "21세기 한국디자인교육의 대전제" 한국미술교육학회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