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성재,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효과적인 협력 학습을 위한 위키의 활용"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399-417, 2013
2 이옥주,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21-343, 2012
3 박혜옥, "프로젝트(Project)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91-210, 2007
4 정명화,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87-301, 2004
5 Leadbeater, C.,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 북스 2008
6 김세미, "집단지성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과학지식 형성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963-980, 2013
7 Levy, P.,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8 김다원,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787-804, 2013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7
10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 박성재,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효과적인 협력 학습을 위한 위키의 활용"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399-417, 2013
2 이옥주,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21-343, 2012
3 박혜옥, "프로젝트(Project)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91-210, 2007
4 정명화,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87-301, 2004
5 Leadbeater, C.,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 북스 2008
6 김세미, "집단지성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과학지식 형성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963-980, 2013
7 Levy, P.,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8 김다원,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787-804, 2013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7
10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1 "위키백과사전"
12 정가윤, "예비교사의 과학수업개발을 위한 협동적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5 (15): 1061-1080, 2011
13 장경원, "문제중심학습의 소집단 구성방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31-260, 2012
14 "두산백과사전"
15 김병무, "대학수학 학습에서 그룹프로젝트의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1043-1058, 2009
16 김도헌, "대학교육에서 집단지성형 수업을 위한 블로그와 위키의 통합적 활용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0 (10): 83-107, 2014
17 이한빛, "대학교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의 소통 증진을 위한 구글 플러스(Google+) 활용방안" 교육공학연구소 7 (7): 73-92, 2013
18 Surowiecki, J., "대중의 지혜" 랜덤하우스 중앙 2005
19 박일우, "교양교육에서 인터넷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73-206, 2012
20 전종희, "공과대학 대학원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양상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1-34, 2013
21 박재천, "Web2.0기반 이러닝 협동학습 시스템 구축과 집단지성 발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63-17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