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부지원사업 평가지표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Assistant Program: Focus on Social Welfare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2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다른 사업 분야에 비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이나 효과성을 중심으로 사업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정부지원사업 중 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

      본 논문은 상대적으로 다른 사업 분야에 비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이나 효과성을 중심으로 사업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정부지원사업 중 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시스템 및 모델에 대하여 논의한다. 특히 최근 들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하여 사업에 대한 성과가 다각적으로 검토하여야 되는 분야인 사회복지사업 중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평가 및 성과관리 모델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사업 중 바우처 사업은 전통적인 정부중심의 지원 시스템과는 달리 해당 사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와 제공기관, 정부에서의 지원이 연결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정부지원사업으로 이에 대한 평가 및 성과에 대한 논의 역시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행정기관 중심으로 논의된 전통적인 복지정책과는 달리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서비스 수혜자 간의 다층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서비스 사업을 대상으로 향후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성과관리에 대한 적절한 모델에 대하여 논의한다. 또한 사업의 특성 및 방향을 고려한 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개선점 도출을 위하여 바우처 사업 중 지역투자 사업을 대상으로 특정 지역의 사업제공자와 업무담당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 바우처 사업 평가에서의 적절한 지표구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possible evaluation model in welfare services focus on voucher system. As public services contain many sub-fields and recipients, the one-size-fit-all approach in evaluation system does not fit into each policy fi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possible evaluation model in welfare services focus on voucher system. As public services contain many sub-fields and recipients, the one-size-fit-all approach in evaluation system does not fit into each policy field, it is need to reconsider evaluation model that includes diverse stakeholder and recipients in welfare program.. As there is huge demand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the costs and effects of social services preoccupy main stakeholders. Many local governments need to meet with regards to welfare services, and the demands of social services increase. Because welfare is no longer domain for the socio-economic base, there are basic, diverse requirements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 sector to fill with.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in welfare system suggests that possible set of evaluative criteria should be considered. The public sector or the general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other performance-based service management objectives and methods are required. As governments spending on welfare increases, the needs to make a comprehensive model of welfare program evaluation is also required. However, the diverse and complex set of welfare cannot be solved as one approach of evaluation model. Therefore, evaluation system in welfare program should include possible sets of dashboard to fit into each environment and surrounding in detailed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한욱, "재정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장 원리 활용 방안: 바우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개발 연구원 2006

      2 최재성, "장애인복지관 평가사업의 특성과 준비" 14 : 17-18, 1999

      3 윤영진, "사회서비스의 개념 및 성격에 관한 논고" 1 (1): 9-32, 2010

      4 이재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대영문화사 2008

      5 김은정, "사회서비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정책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35): 141-168, 2008

      6 강혜규, "사회서비스 성과지표 개발 및 시범 성과평가 연구" 사회서비스관리센터 2008

      7 장영인, "보육재정 지원방식으로서의 보육바우처의 재조명: 아동권리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189-217, 2009

      8 김형식,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17 : 27-55, 1999

      9 정광호, "바우처 연구" 법문사 2008

      10 변창진, "교육평가" 학지사 1994

      1 유한욱, "재정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장 원리 활용 방안: 바우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개발 연구원 2006

      2 최재성, "장애인복지관 평가사업의 특성과 준비" 14 : 17-18, 1999

      3 윤영진, "사회서비스의 개념 및 성격에 관한 논고" 1 (1): 9-32, 2010

      4 이재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대영문화사 2008

      5 김은정, "사회서비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정책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35): 141-168, 2008

      6 강혜규, "사회서비스 성과지표 개발 및 시범 성과평가 연구" 사회서비스관리센터 2008

      7 장영인, "보육재정 지원방식으로서의 보육바우처의 재조명: 아동권리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58): 189-217, 2009

      8 김형식,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질적 평가" 17 : 27-55, 1999

      9 정광호, "바우처 연구" 법문사 2008

      10 변창진, "교육평가" 학지사 1994

      11 Behn, R. D., "Why measure performance? Different purposes require different measures" 63 (63): 586-606, 2003

      12 Martin, L. L.,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human service programs" Sage 1996

      13 Sherman, H. D., "Managing productivity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32 : 31-46, 1986

      14 Kravchuk, R. S., "Designing effective performance-measurement systems under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of 1993" 34 : 8-35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69 1.39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