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재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목 중 교수가 일방적으로 설명 하는 다수의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이 주도하는 조별 토론식 수업에 의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재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목 중 교수가 일방적으로 설명 하는 다수의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이 주도하는 조별 토론식 수업에 의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재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목 중 교수가 일방적으로 설명 하는 다수의 강의식 수업이 학생들이 주도하는 조별 토론식 수업에 의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토론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식은 학회에 서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발표 - 논평’ 형식을 본따 적용한 것으로, ‘발표 - 논평 - 답변 - 자유토론 - 교수 강평’의 5단계로 이뤄진다. 이 모형에 따른 토론 식 수업의 성공을 위해 필자는 ‘발표-논평’ 중심으로 이뤄지는 학회의 토론이 성 공을 거둘 수 있게 만드는 형식적 장치들을 찾아 그것들을 학생들의 발표-토론식 수업에 맞게 적용해 보려 했다. 그 장치의 핵심은 학회 운영진이 책임지고 발표 문과 토론문이 기한 내에 나올 수 있도록 모든 일정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그렇 다면 ‘발표-논평’ 수업의 성공을 위해서도 교수는 책임지고 발표조와 논평조 학생 들로부터 일정 수준의 발표문과 논평문이 나올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그 구체적인 조치들로 주별 발표조와 논평조 편성, 발표-논평 수 업 준비과정 짜기, 온라인 카페 활용 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 로 대학 차원에서 토론식 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로 발표문과 논평문 작성 법을 가르치는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및 글쓰기 교육 센터 운영을 제시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a model of discussion class, which helps those who want to change from lecture to discussion led by students to teach textbook-centered subjects. This model imitates the ‘presentation - comments’ form generally performed in sym...
This paper suggests a model of discussion class, which helps those who want to change from lecture to discussion led by students to teach textbook-centered subjects. This model imitates the ‘presentation - comments’ form generally performed in symposium, and has five steps of presentation, comments, reply, free discussion, and professor's comments. In order for a discussion of this model to be successful it is important to adopt a key-factor which helps scholars' symposium successful. This factor is that the executives administrate all the process of the symposium thoroughly with responsibility, especially ensure all the appointed statements and comments to be ready. Similarly, a professor who want to succeed in discussion class has to administrate all the process of the class thoroughly with responsibility from the preparation to the finish, especially he has to ensure all the appointed statements and comments to reach to a reliable level. This paper suggests such concrete preparations as grouping of weekly presentations and weekly comments, framing the steps of preparation by presentaion groups and comment groups, and opening on-line cafe and posting notices there, and so on. And lastly suggests, as a support from the university, opening a compulsory subject for freshmen to teach writing skills for statements and comments, and operating writing education center to help students who want to improve their writing capacity every da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희, "학술적 글쓰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2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3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 "세상을 바꾸는 발표와 토론"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4 신희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문학독서토론> 수업 사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6, 2012
5 전제응, "교육대학 토론 수업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좋은 강의 실천 모임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교육연구원 22 (22): 301-316, 2011
6 하병학, "교육(수업)조교제도를 통한 교양교육의 내실화 : 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33-256, 2007
7 Brookfield, Stephen D,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Democratic Classrooms" John Wiley &Sons Inc 2005
1 이승희, "학술적 글쓰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2 김성진, "토론 중심 교양수업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7-60, 2014
3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 "세상을 바꾸는 발표와 토론"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4 신희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문학독서토론> 수업 사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6, 2012
5 전제응, "교육대학 토론 수업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좋은 강의 실천 모임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교육연구원 22 (22): 301-316, 2011
6 하병학, "교육(수업)조교제도를 통한 교양교육의 내실화 : 가톨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33-256, 2007
7 Brookfield, Stephen D,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Democratic Classrooms" John Wiley &Sons Inc 2005
말하기, 글쓰기에 있어서 거짓과 진실의 문제 -소설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와 영화 <스모크>를 중심으로-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협상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영화 ‘네고시에이터’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0-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inking and Communication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0-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고와표현학회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63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