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plan syllabus of‘College Korean’ class by theme-oriented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class organizing plan of college teaching material for foreign students. To this, survey on lerner’s need has been performed to analy...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40596
유해준 (서원대학교)
2015
Korean
대학 교양 ; 주제중심 ; 한국어교육 ; 교재 개발 ; 교수요목 ; 요구분석 ; academic purpose ; general purpose ; text ; theme-based ; corpu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3-106(34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lan syllabus of‘College Korean’ class by theme-oriented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class organizing plan of college teaching material for foreign students. To this, survey on lerner’s need has been performed to analy...
This study is to plan syllabus of‘College Korean’ class by theme-oriented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class organizing plan of college teaching material for foreign students. To this, survey on lerner’s need has been performed to analysis and to be applied for basic data for ‘College Korean’materials.
Currently, many foreign students in domestic college failed to adapt to Korean college life and gave up graduation.
That means even though the foreign students has completed the fixed language education process, most of them are incapable to go to college and take classes in Korean, Despite finishing Koran class of general objective, foreign learners need to take college-aimed Korean classes to study in college Because of this, colleges are opening Korean classes for their foreign learners.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domestic college is growing, it becomes necessary for them to offer education on college liberal arts, teaching method and materials.
All college ‘foreign language’ classes for Korean students are consist of well organized syllabus and materials. However, “Korean class’ for foreigners, the objective of class is uncertain mostly and no material has developed in many cases. For this reason, this manuscript is developing syllabus for ‘college Korean class’offered in college and mentioning the necessary of material development upon this and trying to discuss the organizing plan on thi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제중심 언어교육을 통해 ‘대학 교양 한국어’수업의 교수요목을 설 계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수업 교재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주제중심 언어교육을 통해 ‘대학 교양 한국어’수업의 교수요목을 설 계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수업 교재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대학 교양 한국어’교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였다. 현재 국내 대학의 많은 외국 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대학 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졸업을 포기하고 있 는 실정이다. 이것은 외국인 학생들이 대학 부설 언어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언어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진학해서 한국어로 수업을 들을 정 도의 실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 목적의 한국어 과정을 거쳤다고 하더라도 외국인 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수업을 듣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의 한국어 학습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가 있는 대학들은 교양 한 국어 수업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유학생 을 위한 대학 교양 수업에 대한 교육 과정, 교수법, 교재 등이 필요하게 된 것이 다. 현재 한국의 학생들에게 이루어지는 대학 교양 외국어 수업들은 잘 구성된 교수요목과 교재들이 개발되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 에 대한 ‘대학 교양 한국어’수업은 그 목적이 불분명한 경우도 많고, 교재 또한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대학에 개설되어 있 는 ‘대학 교양 한국어’수업의 교수요목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貞淑,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 이해영, "학문 연구를 위한 한국어 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교수요목" 2003
3 강현화, "학문 목적의 병존 언어 교수 모델 적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2, 2004
4 김인규,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2003
5 유해준, "학문 목적 한국어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내용 중심 언어 교육(CBLT)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39) : 71-90, 2008
6 유해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7-164, 2004
8 전수정, "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김진숙,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학습자 요구 분석: 기업체 근무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김경자, "일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 金貞淑,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 이해영, "학문 연구를 위한 한국어 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교수요목" 2003
3 강현화, "학문 목적의 병존 언어 교수 모델 적용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2, 2004
4 김인규,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2003
5 유해준, "학문 목적 한국어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내용 중심 언어 교육(CBLT)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39) : 71-90, 2008
6 유해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7 이해영,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37-164, 2004
8 전수정, "학문 목적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김진숙,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학습자 요구 분석: 기업체 근무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김경자, "일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1 이덕희, "요구 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2 김민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내용중심 대학예비교육과정 설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최연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이해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회 (18) : 279-302, 2001
15 용재은,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학문적 텍스트의 분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오선경,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강의 담화의 특질과 듣기 전략 적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이준호, "대학 수학 목적의 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 보고서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이정희, "내용중심 한국어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9-232, 2003
19 구지민, "강의 담화표지의 학습이 강의 청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말하기, 글쓰기에 있어서 거짓과 진실의 문제 -소설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와 영화 <스모크>를 중심으로-
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협상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영화 ‘네고시에이터’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0-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inking and Communication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0-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고와표현학회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63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