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기숙사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0123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 부동산학과 , 2012. 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3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University Dormitory : Kyung Hee University Seoul Campus

      • 형태사항

        xi, 16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성근
        참고문헌 : p. 149-155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외국 유학생의 증가 등으로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에서 생활해야 하는 학생들과 원룸 전·월세값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여건의 어려움 등으로 기숙사 이�...

      대학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외국 유학생의 증가 등으로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에서 생활해야 하는 학생들과 원룸 전·월세값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여건의 어려움 등으로 기숙사 이용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비싼 등록금과 물가상승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커진 대학생들은 학교 주변 원룸이나 하숙집, 자취방 등을 막론하고 거주비용까지 상승한 탓에 삼중고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더구나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꺾일 줄 모르고 확산되고 있는 ‘전세대란’의 여파가 대학가까지 미처 학교 주변에는 전세물량이 줄어들고, 월세마져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높은 전·월세금에 부담을 느끼는 대학생들이 학교 기숙사로 몰리면서 ‘입실전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기숙사 수용시설은 부족해 대기자가 넘쳐난다.
      대학기숙사는 학생들에게 잠자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공간의 연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기숙사 거주는 사용자의 요구와 행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대학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국내 대학기숙사는 단순숙식 기능 외에는 큰 의미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나 최근 들어 국내 대학에서도 외국대학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 시설과 편의시설을 도입하고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시설들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대학기숙사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대학 기숙사를 대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학기숙사는 각기 다른 문화, 계층,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로써 숙박, 문화교류, 정보전달 및 스포츠, 레저 등 다양하고 복잡한 시설을 갖춘 커뮤니티의 장으로서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다기능적인 대학기숙사 건축계획이 요구됨에 따라 대학기숙사에 관한 건축 계획적 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 에서는 앞으로 대학기숙사 시설을 개선하고 확충하며 만족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분석, 비교하여 연구해 보았다. 특히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에는 노후 된 구 기숙사와 최근 신축된 신 기숙사가 있어 연구하기에 적합하였다.
      구 기숙사의 경우에 침실은 거주인원이 많아서, 독서실과 식당은 불편한 가구, 세탁실은 세탁기수 부족, 휴게실은 삭막한 환경을 불편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비용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신 기숙사의 경우에는 침실은 가구 불편, 화장실은 좁아서, 독서실은 소음, 세탁실은 세탁기수 부족, 식당과 휴게실은 위치를 불편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비용은 과다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기숙사 비용에 대한 생각은 성별과 전공을 제외하고 소속 기숙사, 거주기간, 학년 별로 차이를 보였다.
      침실의 경우 방음부분을 제일 개선해야 하며, 화장실과 실내운동시설은 면적, 세탁실은 위치, 독서실은 난방, 휴게실과 식당은 방음부분에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듯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은 방음 부분인데 이는 개인공간확보가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의 생각과 느낌이 반영된 결과였다. 구 기숙사와 신 기숙사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침실 만족도에서 평균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식당이나 독서실에서 만족도 차이가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개인실 사용 목적이 주로 취침이기 때문에 침실의 면적이나 난방 및 방음이 구 기숙사 일수록 노후화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응답자들의 불만이 나타난 결과이다. 반면 식당은 시설보다는 음식의 맛과 질이 만족도에서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독서실은 기숙사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전체 학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만족도에서 별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이 분석한 내용들은 구기숙사와 신기숙사의 문제점 해결 방안 마련과 기숙사 시설이 노후 되었다고 하여 무조건 신축을 할 수 없는 현실에 대처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1년 건설경기 연착륙을 위한 ‘5·1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국립대 기숙사 BTL을 재추진하기로 하면서 구체적인 물량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립대 기숙사 BTL은 지난 2008년 이후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경희대학교 등 일부 사립대학이 BTL을 추진했지만 국립대 기숙사에 대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정부는 현재 국립대 기숙사 BTL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총 14개교 가량을 정부 단위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이렇게 적절한 시기에 좀 더 기숙사의 단점을 보완한 실용적인 대학기숙사들이 신축되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urban concentration of university population, the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have to live far away from their home, and the financial difficulty following the rise of rental costs, the demand for the university dormitor...

      With the urban concentration of university population, the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have to live far away from their home, and the financial difficulty following the rise of rental costs, the demand for the university dormitory is increasing.
      The students who have to go through the financial burden due to the soaring tuition and price are suffering from the triple distress because the rental cost is increased regardless of a studio apartment or a lodging house around the school. Moreover, the aftermath of the untiring 'rental crisi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is having influences around the university town and the number of rental nearby the school has been decreased while the monthly rental fee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the students who felt pressure for the high rental costs have rushed into the school dormitory the school is now facing the ‘admission battle’ and a number of students have to be on the waiting list as the accommodation is insufficient to house them all.
      The university dormitory has to function as an extended educational space to provide the positive value system as well as offering the bed for the students. Therefore, while the dormitory must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types of the users, it ultimately has to be planned in the direct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t is true that the local university dormitory only had a simple meaning of providing the function of accommodation but recently it started to introduce a wide range of services, convenient facilities, and facilities well-matching with the information era like the foreign universities. It is showing different types of programs which enhanc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is actively trying to utilize the dormitory as an important element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hool.
      The university dormitory is a facility used by many and unspecified individuals who have different culture, position, and life patterns. It is gaining its reputation over time as a community space with diverse and complicated facilities for accommodation, cultural exchange, information, sports, and leisure. Compared to the demand for a systematic and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plan in order to implement the role efficiently, the constructional planned data of the university dormitory is noticeably scarc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Kyunghee University Seoul Campus in an effort to improve and expand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increas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Campus was an ideal location because study because it had an over 20-year old dormitory and a less than 6-year new dormitory.
      The old dormitory had many residents and was unclean. The students answered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library,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cafeteria, shortag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laundry room, and desolate ambiance of the lounge as the most inconvenient items, whereas they answered the dormitory cost was appropriate.
      The students in the new dormitory answered inconvenient furniture in the bedroom, narrow toilet, noise in the library, location of the cafeteria, shortag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laundry room, and location of the lounge as the most inconvenient items. A majority of the students answered the dormitory cost was too expensive.
      The answers on the dormitory cost showed a difference in each dormitory, residential term, and school year except for the gender and major.
      The common response in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close to the average. Samuiwon was close to dissatisfaction whereas the high number of the subjects answered satisfaction in Sehwawon.
      Improvements required in the bedroom was the noise, while the toilet was the area, laundry room was the location, library was heating, lounge and cafeteria was the noise, and indoor sports facilities were the area. The results showed the item which had the lowest satisfaction was the noise. It fully reflected the thoughts and opinions of the subjects who considered the lack of the private space was the biggest problem. The comparison between the old dormitory and the new dormitory showed that the bedroom satisfaction had the biggest average difference while there was almost no satisfaction difference in the cafeteria and library. It implies that there was more complaints against the worse area, heating, or noise in the bedroom in the old dormitory because the main objective of the private room was for sleeping. On the contrary,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take the quality, taste, and quantity of the food as a priority rather than the facility in the cafeteria. The library had no remarkable satisfaction difference since it was not only used by the dormitory but also by the school.
      The analysis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provide the solutions for the old and the new dormitories and have a plan for the reality in which it is difficult to build a new dormitory just because the building is too old.
      After the government announced to repromote the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as a part of '5.1 measures' for a soft landing of the construction business, people are paying attention on the specific quantity. The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has actually been vanished since 2008. Some of private school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promoted BTL but there was no investment in the national university dormitory. The government divided the present dormitory BTL at the national university into 5 regions in 2011 present, and is taking about 14 schools into consideration to promote as government business units. It is necessary to build new practical university dormitories that supplemented the shortcomings of the building in this due cour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제 2 장 대학기숙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 6
      • 제 1 절 대학기숙사의 개념과 환경 6
      • 1. 대학기숙사의 개념 및 기능 6
      • 2. 대학기숙사의 발전 12
      • 3. 대학기숙사의 환경변화 14
      • 제 2 절 대학기숙사의 부문별 공간구성 16
      • 1. 대학기숙사의 유형분류 16
      • 2. 대학기숙사의 구성 및 규모 25
      • 3. 대학기숙사의 공간의 특성 31
      • 제 3 절 선행연구 고찰 40
      • 1. 대학기숙사에 관한 선행연구 40
      • 2. 대학생 거주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 44
      • 제 3 장 대학기숙사의 현황 및 문제점 48
      • 제 1 절 거주만족도에 관한 특성 및 정책 48
      • 1. 거주만족도평가의 의의와 범위 48
      • 2. 거주만족도의 필요성과 중요성 52
      • 3. 대학생거주를 위한 정책 57
      • 제 2 절 대학기숙사의 현황 및 문제점 62
      • 1. 대학기숙사의 현황과 대학기숙사 사례 62
      • 2. 조사대상 대학기숙사의 현황 및 특성 81
      • 3. 대학기숙사 및 대학생 거주실태의 문제점 97
      • 제 4 장 대학기숙사의 거주 만족도 분석 100
      • 제 1 절 설문조사 개요 100
      • 1. 설문조사의 목적 100
      • 2. 설문지의 구성 및 조사방법 100
      • 3. 설문조사 분석방법 102
      • 제 2 절 설문조사에 따른 분석결과 102
      • 1. 설문조사 통계학적 특성 102
      • 2. 대학기숙사의 만족도 요인 분석 109
      • 3. 대학기숙사의 만족도 비교 분석 120
      • 제 3 절 대학기숙사 거주만족 증진을 위한 개선방안 139
      • 1. 분석결과의 요약 139
      • 2.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 142
      • 제 5 장 결 론 144
      • 제 1 절 연구의 결론 144
      • 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44
      • 2.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 146
      •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47
      • 참고문헌 149
      • 부록 156
      • ABSTRACT 1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