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이크로블로그 커뮤니케이션의 언어문화 연구: 트위터를 중심으로 = Study of Language and cultural communication of Microblog: special reference to Twit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6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microblog as a new communication tool and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the microblogging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witter. Focusing on Twitter, this study finds out that microblog is the derivation of existing personal media such as blog, which attributes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merges the various types of diverse mass media. Importantly, this new communication reflects our language and culture in the present society. Moreover, this type of communication style in microblog functions as not only self-expression but also social media. However, in some cases, created a big problem with false information content due to the rapid distribution is that there may be an innocent victim. In addition, regarding the violation of personal privacy and publicity, which will be a matter of debate continuously. Finally, the use of SNS and its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projecting an image of us as well as communications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microblog as a new communication tool and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the microblogging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witter. Focusing on Twitter, this study finds out that microblog is t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microblog as a new communication tool and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the microblogging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witter. Focusing on Twitter, this study finds out that microblog is the derivation of existing personal media such as blog, which attributes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merges the various types of diverse mass media. Importantly, this new communication reflects our language and culture in the present society. Moreover, this type of communication style in microblog functions as not only self-expression but also social media. However, in some cases, created a big problem with false information content due to the rapid distribution is that there may be an innocent victim. In addition, regarding the violation of personal privacy and publicity, which will be a matter of debate continuously. Finally, the use of SNS and its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projecting an image of us as well as communications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사토, 코쿠레, "트위터, 140문자가 세상을 바꾼다" 김영사 2009

      2 토시아키, "트위터 혁명" 스펙트럼북스 2009

      3 이주희,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7 (27): 1-18, 2010

      4 맥루한, "쿠텐베르그 은하계-활자 인간의 형성"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5 강옥미, "지식생산과 유통 매체로의 트위터" 한국어학회 2010

      6 조상현, "소통혁명" 황금사자 2000

      7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7

      8 이성규, "또 하나의 세계를 여는 트위터, 140자의 매력" 책보세 2009

      9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U 시대의 인터넷 윤리" 이한출판사 2009

      10 Crystal, D., "Txting: the gr8 db8"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 마사토, 코쿠레, "트위터, 140문자가 세상을 바꾼다" 김영사 2009

      2 토시아키, "트위터 혁명" 스펙트럼북스 2009

      3 이주희,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언어정보연구소 27 (27): 1-18, 2010

      4 맥루한, "쿠텐베르그 은하계-활자 인간의 형성"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5 강옥미, "지식생산과 유통 매체로의 트위터" 한국어학회 2010

      6 조상현, "소통혁명" 황금사자 2000

      7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7

      8 이성규, "또 하나의 세계를 여는 트위터, 140자의 매력" 책보세 2009

      9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U 시대의 인터넷 윤리" 이한출판사 2009

      10 Crystal, D., "Txting: the gr8 db8"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1 Boyd, D., "Tweet, Tweet, Retweet: Conversational Aspects of Retweeting in Twitter" 2010

      12 Gladwell, M., "Tipping point: how little things can make a big difference" Back Bay Books 2000

      13 Gnanadesikan, A., "The writing revolution: Cuneiform to the internet" Wiley-Blackwell 2009

      14 Suster, M., "Social networking: past, present, future"

      15 박정남, "START! 트위터와 미투데이" 에이콘출판주식회사 2010

      16 최재용, "SNS 100배 즐기기-TGIF: 트위터 구글 아이폰 페이스북 마스터 하기" 매경출판 2010

      17 Barabási, A-L., "Linked : the new science of networks" Perseus Pub 2002

      18 Fromkin, V., "An introduction to language 7th edition" Heinle 2003

      19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73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