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엘리트 축구 선수가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와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Elite Football Players’ Perceptions of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 Inten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51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축구 선수들이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를 검 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B, C 지역에 소재한 남자 엘리트 축구 선수 36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 째,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는 도핑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는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는 협력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와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 모두 대립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력 성향은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는 선수들의 도핑 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과제 중심 동기분위기와 협력 성향은 도핑 예방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보호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들의 도핑 예방을 위해 동기 분위기와 경쟁 성향을 고려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축구 선수들이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를 검 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B, C 지역에 소재한 남자 엘리트 축구 ...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축구 선수들이 인식하는 또래 동기 분위기, 스포츠 경쟁 성향, 그리고 도핑 의도 간의 관계를 검 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B, C 지역에 소재한 남자 엘리트 축구 선수 36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 째,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는 도핑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는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는 협력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과제 중심 동기 분위기와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 모두 대립 성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력 성향은 도핑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아 중심 동기 분위기는 선수들의 도핑 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과제 중심 동기분위기와 협력 성향은 도핑 예방에 기여하는 핵심적인 보호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들의 도핑 예방을 위해 동기 분위기와 경쟁 성향을 고려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 intention as perceived by elite football players. A total of 368 elite foot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i.e.,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had a nega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however, this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the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Second, the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tnership orientation. Additionally, both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ar orientation. Third, partnership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In conclusion, the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functions as an important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at can increase athletes' doping intentions, while partnership orientation plays important role as a key protective factor contributing to doping prevention. Furthermore, both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rengthening war ori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motivational climate and contesting orientation for effective doping prevention among athlet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 intention as perceived by elite football players. A total of 368 elite foot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 intention as perceived by elite football players. A total of 368 elite foot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i.e., peer motivational climate, sports contesting orientation and doping-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had a nega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however, this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contrast, the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Second, the task-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tnership orientation. Additionally, both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ar orientation. Third, partnership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oping intention. In conclusion, the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 functions as an important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at can increase athletes' doping intentions, while partnership orientation plays important role as a key protective factor contributing to doping prevention. Furthermore, both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motivational climat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rengthening war ori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motivational climate and contesting orientation for effective doping prevention among athle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