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Grit in College Students on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4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 시기는 진로 발달상의 결정적 시기로 사회인으로서의 독립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에 해당하는 단계로 삶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격한 사회변화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경제적 불황으로 청년 실업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되는 취업난으로 인해 대학생들에게 진로탐색 및 취업 준비의 중요성과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으며, 학업, 진로, 대인관계, 품행 등 여러 영역에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변화와 불안정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역경을 이겨내기 위한 심리적 요인이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취업난의 상황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고 진로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타고난 재능을 뛰어넘어 성취의 원동력이 되는 요소로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주목 받고 있다.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선천적인 능력보다는 후천적 습득 가능한 특성으로 장기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릿은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을 뜻하며, 회복탄력성은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이루어내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심리학적 변인 가운데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는 이유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역경, 실패, 정체된 상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에서 포기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하기 위해서는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현대 사회는 타고난 재능보다는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비인지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연구와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대학생 시기는 진로 발달상의 결정적 시기로 사회인으로서의 독립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에 해당하는 단계로 삶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

      대학생 시기는 진로 발달상의 결정적 시기로 사회인으로서의 독립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emerging adulthood)에 해당하는 단계로 삶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격한 사회변화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코로나19의 장기화와 경제적 불황으로 청년 실업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되는 취업난으로 인해 대학생들에게 진로탐색 및 취업 준비의 중요성과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으며, 학업, 진로, 대인관계, 품행 등 여러 영역에서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변화와 불안정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역경을 이겨내기 위한 심리적 요인이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취업난의 상황에서 열정과 인내를 가지고 진로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타고난 재능을 뛰어넘어 성취의 원동력이 되는 요소로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주목 받고 있다.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선천적인 능력보다는 후천적 습득 가능한 특성으로 장기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그릿은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을 뜻하며, 회복탄력성은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이루어내는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심리학적 변인 가운데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는 이유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역경, 실패, 정체된 상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에서 포기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노력하기 위해서는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현대 사회는 타고난 재능보다는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비인지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대학생들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연구와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llege period is a pivotal stage in career development and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al phase in life, corresponding to the emerging adulthood, where individuals prepare for independence as members of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world is facing rapid societal changes, where job opportunities are disappearing. With the prolonged effects of COVID-19 and economic downturns, youth unemployment rates are steadily rising. Due to the persistent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the importance and pressure of career exploration and job preparation are intensifying for college students. They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and instabilities while exploring potential and adapting in various areas such as academics, career choi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conduct. Give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for overcoming adversity through specific actions are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in finding a career path that fits their aptitude.
      In the face of such persistent employment challenges, grit and resilience are gaining attention as factors that can drive achievement beyond innate talent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their career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Grit and resilience ar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cquired rather than innate, playing a vital role in setting long-term specific goals. Grit refers to continuously striving with passion and persistence to achieve goals, while resilience can be described as the psychosocial traits of an individual that allows them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and achieve successful adaptation. Amo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the reasons studies on grit and resilience stand out are because of their positive impact on not giving up amidst adversities, failures, and stagnation, and on sustaining efforts over a long period for achieving goals.
      In essence, in modern society, acquirable non-cognitive abilities are becoming more crucial than innate talents. Thus, research on gri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reinforcing these are deemed necessary.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grit on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grit does impac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번역하기

      The college period is a pivotal stage in career development and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al phase in life, corresponding to the emerging adulthood, where individuals prepare for independence as members of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

      The college period is a pivotal stage in career development and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al phase in life, corresponding to the emerging adulthood, where individuals prepare for independence as members of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world is facing rapid societal changes, where job opportunities are disappearing. With the prolonged effects of COVID-19 and economic downturns, youth unemployment rates are steadily rising. Due to the persistent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the importance and pressure of career exploration and job preparation are intensifying for college students. They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and instabilities while exploring potential and adapting in various areas such as academics, career choi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conduct. Give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for overcoming adversity through specific actions are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in finding a career path that fits their aptitude.
      In the face of such persistent employment challenges, grit and resilience are gaining attention as factors that can drive achievement beyond innate talent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their careers with passion and perseverance. Grit and resilience ar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cquired rather than innate, playing a vital role in setting long-term specific goals. Grit refers to continuously striving with passion and persistence to achieve goals, while resilience can be described as the psychosocial traits of an individual that allows them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and achieve successful adaptation. Amo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the reasons studies on grit and resilience stand out are because of their positive impact on not giving up amidst adversities, failures, and stagnation, and on sustaining efforts over a long period for achieving goals.
      In essence, in modern society, acquirable non-cognitive abilities are becoming more crucial than innate talents. Thus, research on gri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reinforcing these are deemed necessary.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grit on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grit does impact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이나리,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기 성인기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3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Resilience" 위즈덤하우스 2011

      4 윤시혜, "항공승무원의 전공만족도가 자기효능감, 취업불안,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5 박연옥,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그릿(Grit)이 진로선택동기, 정서적 몰입,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35-157, 2021

      6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손진희 ;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8 최민아 ; 신우열 ; 박민아 ; 김주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회 53 (53): 199-220, 2009

      9 임효진 ; 이채원, "초등학생의 미래목표 프로파일과 미래시간 관점, 그릿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2 (32): 119-143, 2019

      10 임효진 ; 황매향 ; 하혜숙,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43-65, 2016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이나리,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기 성인기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3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Resilience" 위즈덤하우스 2011

      4 윤시혜, "항공승무원의 전공만족도가 자기효능감, 취업불안,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5 박연옥,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그릿(Grit)이 진로선택동기, 정서적 몰입,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35-157, 2021

      6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손진희 ;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8 최민아 ; 신우열 ; 박민아 ; 김주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회 53 (53): 199-220, 2009

      9 임효진 ; 이채원, "초등학생의 미래목표 프로파일과 미래시간 관점, 그릿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2 (32): 119-143, 2019

      10 임효진 ; 황매향 ; 하혜숙, "초등학생의 끈기(Grit), 자기효능감, 성취목표, 학업적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7 (47): 43-65, 2016

      11 송수영 ; 이상민,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그릿(grit)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직업교육학회 41 (41): 1-19, 2022

      12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3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4 이신숙,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15 신유송, "중년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그릿이 회복탄력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2023

      16 양은희, "전문대학생의 성격요인 및 심리사회적 변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8

      17 박주연,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18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4

      19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2020

      20 황연경,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21 이혜원 ; 탁정화 ; 이미란,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49-268, 2017

      22 이현수, "역경 속의 성장" 학지사 2009

      23 김종상, "여행사 종사원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적응성 간의 영향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24 김석일,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25 조혜영,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 및 대학생활에 대한 의식 실태조사 비교 연구" 3 (3): 15-30, 2010

      26 도명숙,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7 송현심 ; 홍혜영,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325-1350, 2010

      28 김은정 ; 이상수, "사회과 거꾸로 수업에서 중학생의 학습양식, 사회정서역량,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67-387, 2015

      29 남경옥,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1

      30 이자형, "바리스타전공 학생들의 우울과 불안단계에 따른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지각 차이 연구" 한국커피협회 8 (8): 197-220, 2022

      31 홍성철 ; 권용주, "밀레니얼 세대의 그릿과 직무자율성이 회복탄력성 및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 (20): 103-124, 2021

      32 진동희, "미용 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성장마인드셋 및 행복감의 관계"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33 최정원, "미래 청소년 그리고 새로운 도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0, 2016

      34 양혜주 ; 여인성 ; 원도연, "무용학과 대학생의 멘토링 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089-1102, 2013

      35 강도영, "대학운동선수의 그릿이 내재적 미래지향목표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36 김수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주관적 행복감 및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6

      37 유안나,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1

      38 차남현,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24-131, 2016

      39 장이슬 ; 송병국,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3-392, 2015

      40 유수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41 김경원,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42 박효식,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동기,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43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44 박성민, "대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미치는 분석: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45 주명진 ; 김정남, "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소 27 : 157-174, 2011

      46 신준하 ; 허진영, "대학 운동선수들의 지각된 코칭 스타일과 성장 마인드셋, 실수인식, 그릿의 인과관계: Phantom Model 적용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0 (30): 1-16, 2019

      47 김지은,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22

      48 남복현, "노인의 개인적 특성이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효과로" 서울한영대학교 2017

      49 최민숙, "그릿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뇌파와 기질 특성의 차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50 전희섭, "그릿과 마인드셋을 적용한 운동선수 경기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51 배동훈 ; 변상해, "군 장병의 자기결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95-713, 2022

      52 정경진, "관광전공 대학생의 그릿,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53 문옥, "관광 전공 대학생의 그릿-셀프리더십 이차원유형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지원프로그램에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54 김희은,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구조적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7

      55 유영란 ; 유지원 ; 박현경,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67-385, 2015

      56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DB 연계 취업통계" 한국교육개발원 2016

      57 송진숙 ; 허수연,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544-570, 2018

      58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59 Luthar, S. S., "Vulnerability and competence : a review of research on resilience in childhood" 61 (61): 6-22, 1991

      60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There Rivers Press 2003

      61 Feist, G.,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30, 2010

      62 Anderson,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63 Duckworth, A. L., "Self-control and grit :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23 (23): 319-325, 2014

      64 Rutter, M.,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181-214, 1990

      65 Garmezy, N. A.,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7-534, 1990

      66 Masten, A. S., "Resilience and development :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2 (2): 425-444, 1990

      67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94

      68 Kanfer, R., "Job search and employment : A personality–motivation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86 (86): 837-885, 2001

      69 Barber, A. E., "Job search activities : An examination of changes over time" 47 (47): 739-766, 1994

      70 Shechtman, DeBrger, "How Children Succeed" Grit 2013

      71 Duckwo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72 Kautz, T., "Fostering and measuring skills:Improving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to promote lifetime succes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4

      73 Gazelle, G., "Everyday Resilience: A Practical Guide to Build Inner Strength and Weather Life's Challenges" Rockridge Press 2020

      74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75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1995

      76 Arnett, J. J., "Emerging adulthood :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55 (55): 469-480, 2000

      77 National Research Council, "Education for life and work: Developing transferable knowledge and skills in the 21st century, Report Brief"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78 Scheier, M. 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wroticism c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67 (67): 1063-1078,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