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에게 실직 사건은 여러 번 발생 할 수 있다. 실직 사건은 개인에게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64835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9-12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에게 실직 사건은 여러 번 발생 할 수 있다. 실직 사건은 개인에게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건...
고용시장의 불안정성과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에게 실직 사건은 여러 번 발생 할 수 있다. 실직 사건은 개인에게 경제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실직자의 재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구직효능감이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실직 상황에 놓인 남성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정신건강을 매개로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의 실직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3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T검증,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직 남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결과 건강 상태, 종교, 월평균 가구 소득, 실업 급여, 실업 횟수, 실직 전 근무기간, 취업관련 자격증 수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직 남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진로장벽, 정신건강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중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업 횟수가 ‘4회 이상’보다 적은 경우, 실업급여를 수령 중에 있는 경우, 취업관련 자격증이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경우 구직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구직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은 두 변수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실직 남성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직 남성의 정신건강, 즉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접근이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장벽을 감소시키기 위한 취업프로그램 개발과 실직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상담적 접근을 개발하고 보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society, where job market instability and the concept of a lifelong job have disappeared, unemployment incidents can occur several times for individuals. Unemployment affect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economic difficulties f...
In modern society, where job market instability and the concept of a lifelong job have disappeared, unemployment incidents can occur several times for individuals. Unemployment affect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economic difficulties for individu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job search efficacy, which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reemployment of the unemployed, varie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background, and whether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men in unemployment affect job search efficacy through mental healt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employed men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finally, a total of 334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SPSS 27 program was used, and T verificatio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rst analysis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search efficacy based on health status, religion,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unemployment benefits, number of unemployment experiences, previous employment duration, and the number of employment related certifica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reer barriers, and mental health on job search efficacy of unemployed men. If the number of unemployment is less than "four or more times," if you are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and if you have more than one job-related certificate, you have a high job search efficacy, and the lower the mental health level, the lower the job search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 search efficacy,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completely mediates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losely monitor the mental health of unemployed men, that is,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maladjustment, and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posed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counseling approaches to reduce career barriers and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e unemployed.
참고문헌 (Reference)
1 (11) : 119-140, 2013
2 신선인,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46 (46): 210-235, 2001
3 김정미,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19-240, 2002
5 우성범,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5 (25): 203-229, 2019
6 신효재,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중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최정원, "취업준비 대학생이 지각한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8 이은설, "초·중·고 여학생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정수,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진로내외통제성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실업계 고교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22 (22): 163-176, 2004
10 김현동 ; 한용석, "청년구직자의 취업에 있어서 구직효능감과 구직강도의 중요성" 한국노동연구원 12 (12): 1-24, 2012
1 (11) : 119-140, 2013
2 신선인,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46 (46): 210-235, 2001
3 김정미,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19-240, 2002
5 우성범, "한국 남성의 남자다움은 무엇인가?: 남성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5 (25): 203-229, 2019
6 신효재,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중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최정원, "취업준비 대학생이 지각한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8 이은설, "초·중·고 여학생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정수,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진로내외통제성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실업계 고교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22 (22): 163-176, 2004
10 김현동 ; 한용석, "청년구직자의 취업에 있어서 구직효능감과 구직강도의 중요성" 한국노동연구원 12 (12): 1-24, 2012
11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2 이영숙, "진로단절여성 구직자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13 오승국, "중장년 남성 실직자의 진로장벽,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14 이윤정 ; 모선희, "중장년 경력단절여성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 21 11 (11): 1145-1156, 2020
15 신강현 ; 탁진국 ; 한태영 ; 안상수 ; 한영석 ; 유태영 ; 황종오, "중.장년층 실업자들의 실직에 대한 반응과 구직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375-404, 2005
16 신권섭, "전북지역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7 신지영 ; 박성실 ; 형정은,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19-35, 2012
18 한태영 ; 안상수 ; 신강현 ; 한영석 ; 탁진국 ; 유태용 ; 이세란, "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에 대한 귀인과 강인성의 영향: 정신건강과 재취업 제한요건의 매개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611-637, 2005
19 도유희 ; 이상록, "자활사업 참여자의 구직효능감 결정요인 - 전북지역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65-94, 2013
20 김진숙 ; 이종희,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학장벽" 한국상담학회 4 (4): 773-788, 2003
21 장현진 ; 이수현 ; 한은지 ; 김민선 ; 연규진, "이주배경 청년의 코로나 19 스트레스, 취업장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1 (11): 1-27, 2022
22 김계현 ;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121-139, 2002
23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4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5 이숙정 ; 유지현, "여대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원 48 (48): 35-63, 2009
26 이봉재,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3-42, 2011
27 장성애, "양육미혼모의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28 여명숙, "실직자의 진로장벽,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7 (7): 95-119, 2017
29 백용매, "실직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예방적 접근" 2 (2): 94-115, 1999
30 정은석 ; 강상경, "실직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84-109, 2015
31 탁진국, "실직상태 지속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 종단적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687-698, 2010
32 신창임, "실직된 중년남성 우울증 회복을 위한 기독교상담 가능성 연구" 한국상담학회 2013 (2013): 782-790, 2023
33 민성혜, "실업사유가 자기존중감에 따라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34 이주희, "실업급여수급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5 김명언 ; 장재윤 ; 조성호 ; 노연희, "성취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6 (16): 2003
36 정선형 ; 탁진국, "성인용 구직장애요인탐색 검사 개발" 한국심리학회 30 (30): 1165-1188, 2011
37 김순안 ; 김승용,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중년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109-130, 2011
38 고태용,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39 이은영 ; 전보라 ; 윤소정,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경험과 의미에 대한 심리상담적 접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47-1369, 2019
40 임주희 ; 하정,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97-214, 2019
41 전찬열,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14, 2013
42 김현숙,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6, 2016
43 임천순 ; 유진봉, "대학 졸업생의 채용결정요인 분석 :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311-332, 2004
44 김영경,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91-1210, 2008
45 서용선 ; 이상민,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자 집단 내 일자리 위험의 차별적 인식: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가 불안정 노동에 미친 차별적 위험" 한국산업노동학회 29 (29): 139-177, 2023
46 이선화 ; 최해경 ; 강만식, "남녀 고등학생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33 (33): 267-288, 2022
47 김미영, "구직자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48 양쌍봉,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 프로그램이 구직자의 분노, 불안, 우울 및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6 (6): 35-50, 2017
49 양미진 ; 허자영 ; 김경민 ; 채민정,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 연구:사이버 상담 게시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45-73, 2010
50 최명옥 ; 류정희,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 (12): 1533-1544, 2021
51 이수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행동지표 개발 및 가중치 분석"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3 (13): 1-28, 2017
52 변미정 ; 김봉환,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재활학회 32 (32): 21-47, 2022
53 Paul, K. I., "Unemployment impairs mental health : Meta-analyses" 74 (74): 264-282, 2009
54 Wanberg, C. R., "Unemployed Individuals : motives, job search competencies, and job search constraints as predictors of job seeking and reemployment" 84 (84): 897-910, 1999
55 Lucas, M. S., "Types of vocational undecidedness : A replication and refinement" 37 (37): 382-388, 1990
56 Swanson, J. L.,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5 (5): 443-462, 1997
57 Pearlin, L. I.,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30 (30): 241-256, 1989
58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59 Frey, C. B., "The future of employment :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114 : 254-280, 2017
60 Betz, N. E.,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Academic Press 1987
6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62 Eden, D.,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78 (78): 352-360, 1993
63 McWhirter, E. H.,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50 (50): 124-140, 1997
64 DeFrank, R. S., "Jov loss : An individual level review and model" 28 (28): 1-20, 1986
65 Vinokur, A, D., "Jobs Ⅱ survey" 1991
66 Wanberg, C. R., "Individuals without jobs : an empirical study of job-seeking behavior and deemployment" 81 (81): 76-87, 1996
67 Kanfer, R.,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 following lay-off" 38 (38): 835-847, 1985
68 Luzzo, D. A.,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73 (73): 319-322, 1995
69 Luzzo, D. A., "Ethnic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21 (21): 227-236, 1993
70 Swanson, J. L.,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39 (39): 344-361, 1991
71 Luzzo, D. A., "Correlates of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1997
72 Lent, R. W.,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 A social cognitive analysis" 47 (47): 36-49, 2000
73 Saks, A. M., "Change in job search behaviors and employment outcomes" 56 (56): 277-287, 2000
74 Moynihan, L. M.,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earch self-efficacy, job interviews, and employment outcomes" 18 (18): 207-233, 2003
75 하헌진, "40~50대 대졸 중년 남성가장의 비자발적 실직으로 인한 심리적 경험"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9
대학생들의 그릿이 회복탄력성,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생의 구직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변화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신중년 남성의 직업안녕감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