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의 증거기반 설명책임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for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of Corporations : Focusing on Sustainability Re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5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rporations report their economical, environmental, social influences and achievements through sustainability reports. Apart from the financial reports, which are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sustainability reports inform non financial achievements of a corporation, thus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is solely dependent on the corporation itself. The current sustainability reports are of types that cannot include proof or source of the index data, thus they are tended to be regarded as means of publicity. The reliability of the reports is often questioned.
      This research applied the concept of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which will allow the confirmation of accountability through records including contents and context of the tasks.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means producing and accumulating witness records of actions, then managing the records as usable information and use them as accountability information.
      Index data from sustainability reports of domestic corporations and web based reports of Vodafone was reviewed. Measures to link task records as proof of index data was studied.
      To make this possible, record production and acquisition system was redesigned in order to secure required records as evidence. Linked build-up of SR system and RMS wa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will allow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as SR accountability information, and provide the data when necessary. Also, corporate infrastructure was proposed. This infrastructure will build a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stages, through organizational system and regulations. Cooperation of staff in this infrastructure will support reliable corporate accountability.
      번역하기

      Corporations report their economical, environmental, social influences and achievements through sustainability reports. Apart from the financial reports, which are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sustainability reports inform non financial achievements...

      Corporations report their economical, environmental, social influences and achievements through sustainability reports. Apart from the financial reports, which are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sustainability reports inform non financial achievements of a corporation, thus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is solely dependent on the corporation itself. The current sustainability reports are of types that cannot include proof or source of the index data, thus they are tended to be regarded as means of publicity. The reliability of the reports is often questioned.
      This research applied the concept of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which will allow the confirmation of accountability through records including contents and context of the tasks. Evidence-Based Accountability means producing and accumulating witness records of actions, then managing the records as usable information and use them as accountability information.
      Index data from sustainability reports of domestic corporations and web based reports of Vodafone was reviewed. Measures to link task records as proof of index data was studied.
      To make this possible, record production and acquisition system was redesigned in order to secure required records as evidence. Linked build-up of SR system and RMS wa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will allow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cords as SR accountability information, and provide the data when necessary. Also, corporate infrastructure was proposed. This infrastructure will build a profess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stages, through organizational system and regulations. Cooperation of staff in this infrastructure will support reliable corporate account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에서는 자신들의 경제․환경․사회적 영향 및 성과에 대해 설명책임의 수단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다. 법적 규제인 재무 공시와는 달리 '지속가능성' 보고는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기업들의 성과를 보고하는 것이기에 이에 대한 신뢰성은 기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발간되는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지표 데이터에 대한 증거나 출처를 포함할 수 없는 유형으로,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신뢰성에 대한 의혹이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업무에 대한 내용과 맥락이 담긴 기록으로 기업의 설명책임을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기반 설명책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해 보았다. 증거기반 설명책임이란 행위에 대한 증거 기록을 생산 및 축적하고 이용가능한 정보로 관리하여 설명책임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 기업에서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지표데이터 유형과 영국 보다폰의 웹 기반 보고서 사례를 살펴보고, 업무 기록을 지표 데이터의 증거로 연결할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록을 증거로 확보할 수 있도록 기록의 생산 체계를 재설계하였다. 업무 중 생산 된 기록을 SR(Social Responsibility)설명책임정보로 취합 및 관리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SR시스템(Social Responsibility System)과 기록관리시스템(RMS)의 연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직체계 및 규정을 통해 기업의 전문적인 기록관리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관련 업무 담당자와의 협업을 통해 기업의 신뢰성 있는 설명책임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이야기했다.
      번역하기

      기업에서는 자신들의 경제․환경․사회적 영향 및 성과에 대해 설명책임의 수단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다. 법적 규제인 재무 공시와는 달리 '지속가능성' 보고는 비재...

      기업에서는 자신들의 경제․환경․사회적 영향 및 성과에 대해 설명책임의 수단으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 있다. 법적 규제인 재무 공시와는 달리 '지속가능성' 보고는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기업들의 성과를 보고하는 것이기에 이에 대한 신뢰성은 기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발간되는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지표 데이터에 대한 증거나 출처를 포함할 수 없는 유형으로, 기업의 홍보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신뢰성에 대한 의혹이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업무에 대한 내용과 맥락이 담긴 기록으로 기업의 설명책임을 입증할 수 있도록 증거기반 설명책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해 보았다. 증거기반 설명책임이란 행위에 대한 증거 기록을 생산 및 축적하고 이용가능한 정보로 관리하여 설명책임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 기업에서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지표데이터 유형과 영국 보다폰의 웹 기반 보고서 사례를 살펴보고, 업무 기록을 지표 데이터의 증거로 연결할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록을 증거로 확보할 수 있도록 기록의 생산 체계를 재설계하였다. 업무 중 생산 된 기록을 SR(Social Responsibility)설명책임정보로 취합 및 관리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SR시스템(Social Responsibility System)과 기록관리시스템(RMS)의 연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직체계 및 규정을 통해 기업의 전문적인 기록관리 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관련 업무 담당자와의 협업을 통해 기업의 신뢰성 있는 설명책임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이야기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덕교, "효과적인 사회책임경영의 추진을 위한 제언" 4 (4): 3-, 2014

      2 조은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한국기록학회 (19) : 251-291, 2009

      3 이자성, "행정개혁기에 있어서 accountability의 의미에 대한 고찰" 18 : 2-5, 2004

      4 김금이, "한국의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내 기록관리 정착 방안 : 프랑스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5 전영승,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135-162, 2011

      6 남상민,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토대로 한 기업 지속가능가치평가" 한국콘텐츠학회 9 (9): 339-348, 2009

      7 유승관, "지속가능성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글로벌기업의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54-79, 2005

      8 주정,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개념적 배경과 논의점" 16 (16): 20-, 2006

      9 박지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제3자 검증과 이해관계자: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3 (3): 47-, 2005

      10 김명수,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과 증거를 산출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14-, 2007

      1 오덕교, "효과적인 사회책임경영의 추진을 위한 제언" 4 (4): 3-, 2014

      2 조은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한국기록학회 (19) : 251-291, 2009

      3 이자성, "행정개혁기에 있어서 accountability의 의미에 대한 고찰" 18 : 2-5, 2004

      4 김금이, "한국의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내 기록관리 정착 방안 : 프랑스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5 전영승, "지속가능성보고서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135-162, 2011

      6 남상민,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토대로 한 기업 지속가능가치평가" 한국콘텐츠학회 9 (9): 339-348, 2009

      7 유승관, "지속가능성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글로벌기업의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54-79, 2005

      8 주정, "지속가능성 보고서의 개념적 배경과 논의점" 16 (16): 20-, 2006

      9 박지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제3자 검증과 이해관계자: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3 (3): 47-, 2005

      10 김명수,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과 증거를 산출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14-, 2007

      11 조정환, "증거기반(evidence-based) 체육정책,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5 (15): 1-14, 2013

      12 "좋은 것만 골라 보여주는 엉터리 ‘지속가능보고서’" 뉴스토마토

      13 김일아, "전자증거개시(E-Discovory)에 대응하는 미국 기업의 기록관리 동향 분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14 유준상, "전자증거개시(E-Discovery) 대응을 위한 기업기록 검색도구 적용방안 연구 : ‘Predictive Coding’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15 "인도, 기업 사회책임투자 법으로 강제" 한겨레

      16 최만기, "윤리경영 -- 이론과 실제 --" 도서출판 탑북스 120-121, 2011

      17 김재휘, "위기대처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기업’간긍정적 관계가 기업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397-427, 2010

      18 김혜영, "웹 기록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19 임진희, "설명책임정보 선별 및 관리기준 수립의 절차와 방법" 한국정보관리학회 26 (26): 145-168, 2009

      20 임진희, "설명책임 메커니즘을 통한 공공기관 업무정보의 추구 및 제공 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0

      21 "보다폰 지속가능성보고서 홈페이지"

      22 임정훈, "대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23 송민정, "기업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기록물관리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24 고동수, "기업의 사회적 이슈와 대응 방안-ISO 26000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2011

      25 임종철, "기업사료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7

      26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용어사전" 역사비평사 148-, 2010

      27 설문원, "기록의 품질 기준 분석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11) : 41-90, 2005

      28 김승범, "기록관리의 기회와 위협요인으로서의 전자증거개시(E-Discovery)제도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5

      29 김익한, "기록관리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1 (21): 153-168, 2004

      30 서혜란, "기록관리론-증거와 기억의 과학" 아세아문화사 2014

      31 서혜란, "기록관리론-증거와 기억의 과학" 아세아문화사 22-, 2014

      32 표순희, "근거중심 문헌정보실무의 내용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6 (26): 351-370, 2009

      33 김유리, "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기업기록관리에 대한 연구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34 "野, 이번엔 ‘착한기업法’… 경영까지 간섭?" 문화일보

      35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국가표준 KS X ISO 15489』 3.15 기록[records]"

      36 "http://www.prospects.ac.uk/records_manager_job_description.htm"

      37 "UN Global Compact 한국협회 홈페이지"

      38 Ineke Deserno, "Recordkeeping : The evidence bas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CA Congress 2012

      39 한국인터넷진흥원, "OECD, 증거기반(evidence-based) 인터넷 정책결정원칙 강화" 73-74, 2014

      40 국가기록원, "ISO 16175 : 전자업무환경에서의 기록관리 원칙 및 기능요건"

      41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SO 15489, Part 1, Clause 3.2"

      42 한국기업지배구조원, "GRI, 지속가능성보고서 제3자 검증 현황에 대한 보고서 발간" 4 (4): 15-, 2014

      43 "EU, 환경·사회·인권 기업정보 공개 의무화 파장" 이투뉴스

      44 Laura Millar, "An Obligation of Trust : Speculations on Accountability and Description" 69 :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