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철학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초월 개념을 살펴보고,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초월의 정의한 김용태의 초월상담에 기초하여 초월자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61722
서울 : 횃불트리니티대학원대학교, 2018
학위논문(박사) -- 횃불트리니티대학원대학교 , 기독교상담학과 , 2018
2018
한국어
235.35 판사항(6)
253.5 판사항(23)
서울
xi, 166장 ; 26 cm
지도교수: 김용태
권말부록: 초월자기 척도 2차 예비문항 47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수정된 문항-전체상관, 문항제거시 신뢰도 등
참고문헌: 장 125-135
I804:11075-20000000239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철학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초월 개념을 살펴보고,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초월의 정의한 김용태의 초월상담에 기초하여 초월자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본 연구는 철학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초월 개념을 살펴보고,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초월의 정의한 김용태의 초월상담에 기초하여 초월자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1은 문항을 개발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한다. 연구 2는 개발한 초월자기가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고,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서 초월자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한다. 연구 3은 초월이 발생하면 자율성, 연대감, 영성이 증가한다는 초월상담의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월상담의 정의에 따라 심리내적 초월, 관계적 초월, 영적 초월의 3가지 영역으로 초월자기를 정의하고 각 영역별로 20문항의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심리내적 초월, 대인관계에서 욕구조절, 인식 확장을 통한 관계 포용,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초월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내면화된 영성의 6가지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29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CMIN/DF는 2.658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RMSEA는 .071로 괜찮은 적합도를 보였고, TLI는 .842, CFI는 .859로 채택 가능한 적합도를 보였다.
초월자기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월자기,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초월자기는 자율성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41, p < .01), 초월자기는 연대감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20, p < .01), 초월자기는 영적 안녕감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54, p < .01), 마지막으로 초월자기는 정적 정서와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r = .485, p < .01), 부적 정서와 낮은 수준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r = -.270, p < .01). 초월자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적 일치도 Chronbach’s 를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룰 구하였다. 내적 일치도 Chronbach’s 는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898,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914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06(p < .01)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초월자기 척도는 준거관련 타당도가 안정적이고, 신뢰도도 높은 수준과 중간 수준의 사이에서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초월상담에 의하면, 초월자기는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월자기와 자율성, 영적 안녕감, 연대감의 사이의 단순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초월자기는 자율성의 41.2%, 연대감의 38.5%, 영적 안녕감의 42.8%를 유의미하게 설명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월상담에 근거하여 초월자기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심리척도를 개발하였고, 지금까지 개발된 초월과 관련된 척도들보다 심리내적 초월, 관계적 초월, 영적 초월의 포괄적인 영역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초월자기가 범주의 확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의 성장과 성숙을 측정하는 척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초월자기 척도는 초월에 대한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초월자기 척도가 자기보고식 척도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방어적인 응답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반응하는 응답을 걸러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MMPI-2의 방어를 측정하는 척도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연구될 필요가 있다.
초월자기 척도가 기독교 상담학계에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초월자기와 자존감, 자아강도, 자기응집성, 자기성찰, 정서조절, 자기조절, 우울, 불안, 분노, 수치심, 각 성격장애 등과의 관계가 연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월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연구나, 인간의 마음에서 초월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근거이론(ground theory) 연구가 진행된다면, 상담 현장에서 초월을 촉진하는 데 유익한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용태,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2005
2 이양호, "루터의 인간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현대와 신학, 25(1), 110-127, 2000
3 최홍석, "Created in God's Image", 신학지남사, 신학지난, 55(1), 196-203, 1988
4 임인재, "심리측정의 원리", 학연사, 서울: 학연사, 2003
5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00
6 김교헌, 김지환, "한국판 UCLA 고독척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6, 13-30, 1989
7 현요한, "본회퍼의 하나님 형상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17, 162-182, 2001
8 민병배, 이주영, 오현숙, "기질 및 성격 검사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2007
9 최창국, "기독교 영성의 통전적 이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신학지평, 18, 300-331, 2005
10 손영삼, "존재론적 초월에 관한 연구",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16, 55-72, 1999
1 김용태,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2005
2 이양호, "루터의 인간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현대와 신학, 25(1), 110-127, 2000
3 최홍석, "Created in God's Image", 신학지남사, 신학지난, 55(1), 196-203, 1988
4 임인재, "심리측정의 원리", 학연사, 서울: 학연사, 2003
5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00
6 김교헌, 김지환, "한국판 UCLA 고독척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6, 13-30, 1989
7 현요한, "본회퍼의 하나님 형상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17, 162-182, 2001
8 민병배, 이주영, 오현숙, "기질 및 성격 검사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2007
9 최창국, "기독교 영성의 통전적 이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신학지평, 18, 300-331, 2005
10 손영삼, "존재론적 초월에 관한 연구",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16, 55-72, 1999
11 김상인, "기독교상담에 있어서의 영성", 성결심리상담연구소, 성결심리상담, 봄, 66-85, 2010
12 김용태, "초월의 현상으로서 범주 확장",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7, 20-44, 2004
13 민중서림, 편집국, "민중 엣센스 국어사전 (제 6판)", 서울: 민중서림, 2006
14 McGrath, A. E., "신학이란 무엇인가 (김기철 역)", 서울: 도서출판 복 있는 사람, 2015
15 박명숙, 함경애, 천성문, 이영순, 이동훈,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3판)", 서울: 학지사, 2015
16 김동원, 이경렬, 김정희,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11-728, 2003
17 이진화,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규성, "칼 라너 신학에서의 철학의 역할", 가톨릭철학, 12, 261-290, 2009
19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읽기』", 세창미디어, 서울: 새창미디어, 2013
20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1 김명련, 류혜옥, "개혁주의 영성과 상담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4, 30-55, 2002
22 김용태, 장동진, "영적 초월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6, 165-186, 2008
23 박기영, "David G. Benner의 기독교상담 성향 연구",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성경과 신학, 74, 265-292, 2015
24 이한구, "한국판 실존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25 Coe, J. H., Hall, T. W., "변형심리학 (김용태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0 출판), 2016
26 안인숙, 최은영, 이지영, 유희주, "Kohut의 자기심리학과 Hoekema의 인간이해",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1), 85-106, 2012
27 Crabb, L., "결혼 건축가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82 출판), 2001
28 권정혜, 최승미, 조현, 오현주, "한국판 부부적응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655-670, 2011
29 이규성, "「인간의 초월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신학과 철학, 21, 57-92, 2012
30 박노권(No Kwon Park), "“기독교 영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4, 311-332, 2002
31 김용태, "기독교 상담의 발전을 위한 개요와 제언",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 37-64, 2000
32 이은규, "복음주의 상담을 위한 영성에 대한 고찰",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복음과 상담, 11, 9-44, 2008
33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2판)", 서울: 학지사, 2007
34 박노권, "영성과 심리학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2, 117-138, 2006
35 김용태, "“초월의 기초로서 실존주의 심리치료”",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3, 100-125, 2007
36 김요셉, "하나님 형상 이해에 있어 칼빈의 두 관점", 한국성경신학회, 교회와 문화, 23, 209-229, 2009
37 이수영, "깔뱅의 인간론: 개혁자들의 생애와 사상 2.", 빛과 소금, 2(오월호), 118-120., 1985
38 Crabb, L., "인간이해와 상담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87 출판), 1993
39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전양범 역). 서울: 동서문화사", (원저 1927 출판), 1992
40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아카데미, 서울: 하나래 아카데미, 2013
41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2
42 유진은, "한 학기에 끝내는 양적연구방법과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015
43 서창원, "“현대신학적 인간론: 하나님의 형상 이해.”",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과 세계, 신학과 세계, 46, 254-272, 2003
44 Merton, T. E., "새 명상의 씨 (오지영 역). 서울: 카톨릭출판사", (원저 1961 출판), 2007
45 박찬국, "하이데거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한 고찰", 한국하이데거학회, 하이데거 연구, 18, 69-100, 2008
46 하재성, "존 칼빈의 인간론: 일그러진 의지와 탁월한 이성", 개혁신학과 교회, 23, 245-275, 2009
47 장승민(Seungmin Jahng),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079-1100, 2015
48 Rahner, K., "하이데거의 실존철학 개념에 대한 연구 (이영덕 역)", 신학전망, 172, 85-113, 2011
49 김은정, 이현희, 이민규,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2003
50 Kohut, H., "자기의 분석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저 1971 출판), 1999
51 Kohut, H., "자기의 회복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저 1976 출판), 2006
52 김승돈, 최금주, 김용환,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0(2), 813-829, 2009
53 Rahner, K., "그리스도교 신앙 입문 (이봉우 역). 서울: 분도출판사", (원저 1900 출판), 1994
54 Crabb, L., "성경적 상담학 개론 (전요셉 역). 서울: 아가페문화사", (원저 1975 출판), 1995
55 Merton, T. E., "토머스 머튼의 묵상의 능력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원저 2003 출판), 2006
56 최영민,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0
57 Hoekema, A. A., "개혁주의 인간론 (류호준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저 1990 출판), 2004
58 김정두, "폴 틸리히에게 있어서 인간, 신 그리고 자기초월의 영성",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53, 387-410, 2017
59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서광사, 서울: 서광사, 1997
60 소외숙, 전희순, 오복자,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종양간호학회지, 1(2), 168-179, 2001
61 오방식, "자기초월의 관점에서 바라본 토마스 머튼의 자기(self)이해",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34, 269-298, 2013
62 박병준, "인간, 물음으로서의 존재: 철학적 인간학적, 형이상학적 연구", 가톨릭철학, 12, 5-35, 2009
63 탁진국, "검사 개발 과정과 평가. 고홍월 외, 상담연구방법론 (pp. 241-274)", 서울: 학지사, 2013
64 임숙희, "자율성과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게임 조절 동기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3
65 조난숙,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초월상담과 자기심리학의 통합적 연구", 서울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횃불트리니티대학원대학교, 2013
66 Collins, G. R.,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전망 (이종일 역).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원저 1981 출판), 1992
67 김용태, "통합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 상담학: 배경, 내용, 그리고 모델들", 서울: 학지사, 2006
68 권수영, "기독(목회)상담에서의 영성 이해: 기능과 내용의 통합을 향하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46(1), 251-275, 2006
69 김종선, "판넨베르크의 인간이해: 하나님 형상과 세계 개방성을 중심으로",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70 Butman, R. E., Jones, S. L.,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이관직 역). 서울: 도서출판 대서", (원저 1991 출판), 2009
71 조난숙,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방향",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2), 175-201, 2012
72 유진열, "신의 형상으로서의 자아초월성에 대한 니버와 판넨베르크의 이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성경과 신학, 68, 375-404, 2013
73 김명권, "자아초월심리학과 상담. 양명숙 외, 상담의 원리와 실재 (pp. 427-459)", 서울: 학지사, 2015
74 박재홍,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이해: 칼빈과 판넨베르크를 중심으로", 경산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75 Siegel, A. M., "하인즈 코헛과 자기심리학 (권명수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저 1996 출판), 2002
76 박성현, 성승연, "“한국판 인본주의적-현상적 영성 지향 척도(K-HPSOI)의 타당화 연구”",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논총, 32, 181-209, 2013
77 이규성, "“인간 주체와 사랑에 대한 신학적 이해: 칼 라너의 사상을 중 심으로”",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신학전망, 179, 151-190, 2012
78 Kohut, H.,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저 1984 출판), 2007
79 김태훈, "토마스 머튼의 영성에 대한 연구: 참 자아와 거짓 자아 탐구를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80 김홍근, "‘관계’에 대한 Martin Buber의 관계신학과 대상관계이론 및 영성 신학적인 조명", 한국신학연구소, 신학사상, 138, 247-278, 2007
81 양병모, "“헨리 나우웬 영성이 현대 기독교 영성에 미친 영향: 한 복음주의자의 견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26(가을호), 70-107., 2012
82 Hamilton, N. G.,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김진숙, 김창대, 이지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0 출판), 2007
83 박병준, "인간의 초월성: 칼 라너의 ‘말씀의 청자’로서의 초월론적 종교철학적 인간해명", 철학, 88, 143-177, 2006
84 김현서, "「척도개발의 세 가지 접근법과 두 가지 채점방식에 따른 척도의 변별 수행 비교」",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16
85 김용태, "슈퍼비전을 위한 상담사례보고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적 관점에서 본 해석과 개념화", 서울: 학지사, 2014
86 정홍렬, "루터의 인간론에서 전인(totus homo) 개념: 루터의 “인간에 관한 논제”(1536)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478(10월), 48-63, 1998
87 안석, "영성인가? 아니면 상담심리치료인가?: 영성지향적 상담심리치료로서의 기독교(목회)상담", 신학과 실천, 35, 435-458, 2013
88 유강식,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본 깔뱅의 역설적 인간이해: 하나님의 형상 개념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89 이강학, "오방식 교수의 “자기초월의 관점에서 바라본 토마스 머튼의 자기(self) 이해”에 대한 논찬",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199-202, 2012
90 권은영, "자기초월을 위한 종교적 성찰: 토마스 머튼의 참 자기(true self)와 유영모의 얼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1 Baumeister, R. F., "자기와 의지. W. R. Miller & H. D. Delaney (편), 심리학에서의 유대-기독교 관점 (김용태 역, pp. 85-106). 서울: 학지사", (원저 2005 출판), 2015
92 조윤희,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감독 및 심리적 통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 서울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93 Johnson, E. L., "(편).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심리학과 기독교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 (김찬영 역). 서울: 부흥과 개혁사", (원저 2010 출판), 2012
94 Coe, J., "H, & Hall, T. W. 변형 심리학 관점. E. Johnson (편),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김찬영 역, pp. 273-309). 서울: 부흥과 개혁사", (원저 2010 출판), 2012
95 Coe, J. H., "영으로서의 사람: 개인적 정체성, 본성, 자유 그리고 관계성. J. H. Coe, & T. W. Hall. (2016). 변형심리학 (김용태 역, pp. 249-275). 서울: 학지사", (원저 2010 출판), 2016
96 Myers, D., "기독교 심리학 관점에 대한 설명 수준의 논평. E. Johnson (편),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김찬영 역, pp. 242-247). 서울: 부흥과 개혁사", (원저 2010 출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