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내 장학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조건과 방법을 탐색하고 교내장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교내장학의 실제상황을 분석하고 장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557105
부산 :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1997. 8
1997
한국어
371 판사항(4)
부산
v, 7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63-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내 장학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조건과 방법을 탐색하고 교내장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교내장학의 실제상황을 분석하고 장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효...
본 연구는 교내 장학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조건과 방법을 탐색하고 교내장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교내장학의 실제상황을 분석하고 장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효과적 장학지도 형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내장학의 이론적 기초를 분석하고, 교내장학과 관련하여 학교교사의 요구가 어떤지를 살펴 보기위해 교내자율장학 운영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는 경력에 따라 어떠한 장학 형태를 선호하며 어떤 도움의 출처를 선호하는가를 규명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내 장학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는 교장의 교내 장학행위 영역 10문항, 교사의 장학현황인식 영역 6문항, 자율장학지도영역 3문항, 선호하는 지도형태영역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시내 거주하는 중등교사 650명을 무선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경력별, 급지별로 분류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교내장학에서 교장의 장학 행위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편이다. 교장의 의사결정 행위와 교사평가 행위가 교사들의 교수학습을 통한 효과증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2) 교내장학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준다. 남교사보다 여교사에게, 경력이 높은 교사보다 경력이 낮은 교사에게, 급지가 높은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급지가 낮은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더욱 도움을 준다.
3) 교사들은 교내장학 프로그램 운영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은 교사와 급지가 높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더욱 적극적으로 장학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4) 현재 교내장학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교내장학의 운영의 방법이나 기술이 미비하여 교사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로서 교내 장학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는 시간도 제약되어 있기 때문이다.
5) 교사들은 교내 장학을 통하여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교과지도에 관련된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연수 받기를 원하고 있다.
6) 교사들이 선호하는 장학형태는 장학담당자가 수업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이나 조언을 제시하는 학교조직의 공식적인 기능으로 전개되는 수업장학이다.
7) 교사는 교장, 교감, 주임교사나 외부장학 전문가에게 장학지도를 받는 것보다, 경력이 높은 교사 일수록 동료교사를 통해서 상호협력적으로 도움을 주고받는 장학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8) 대부분 교사들은 전문가가 시범을 보여주는 시범적 장학 형태보다 교사자신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원하고 있으며 경력이 짧은 교사들은 필요시에만 적절한 시범이나 지도를 받기를 원하고 있다.
9) 교사들은 경력의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지시적 장학이나 비지시적 장학보다 상호협동적 장학이 실시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절충적 장학의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데 반하여 경력이 비교적 높은 교사들은 교사주도적으로 교내장학이 운영되기를 선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ditions and methods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explore way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analyze aspects of effective supervision according...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ditions and methods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explore way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to analyze aspects of effective supervis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with a view to an analysis of its actual occurrence and its degree of efficiency.
To carry out this study, 1 try to analyze the theoretical basis of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its realities in order to see what is needed in its practical application at school, and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what type of school supervision and what kind of help teachers prefer in their teaching careers.
This thesis used a questionnaire 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upervision for school teachers which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10 questions about the area of principal's school supervision, 6 questions about teachers, knowledge of school supervision, 3 questions about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and 4 questions about teachers, preferable type of supervision.
This questionnaire sampled 650 middle school teachers in Pusan who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ex, teaching careers, and the location of their school.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thesis conclude the following:
1) Most school teachers considerably satisfied with their principal's decisions and their evaluation of teachers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ir effective teaching.
2) An autonomous school supervision helps to foster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This supervision is also more useful to less experienced teachers than more experienced teachers, to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and to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as of low income earners than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s of high income earners.
3) Most teachers take a positive role in conducting this program, in which much experienced teachers and those who are teaching in areas of high income earners also participate.
4) But now this type of school supervision is not well managed because of poor ways to manage it and no time to have teachers carry it out.
5) Most of them want to lear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eaching methods so that they can teach more efficiently.
6) Most of them want school supervisior to give necessary knowledge and official advice for improvement in teaching.
7) More experienced teachers prefer school supervision by their fellow teachers to that by their principal, vice principal, head teachers, or professional inspectors out of school.
8) Most teachers prefer to demonstrate themselves voluntarily rather than follow professional supervisior's instructions,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among them want to look to professional inspection for supervision.
9) They prefer cooperative school supervision to instructive inspection regardles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Less experienced teachers desire eclectic school supervision while more experienced teachers do self-leading school supervision for themselv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