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맥국(貊國) 문화 편린의 스펙트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5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문화적 편린의 스펙트럼을 종합해서 맥국 실체를 구체화, 가시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기록과 기존 연구와 현지답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맥국(貊國)과 ...

      본고는 문화적 편린의 스펙트럼을 종합해서 맥국 실체를 구체화, 가시화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했다. 기록과 기존 연구와 현지답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맥국(貊國)과 관련된 역사적 사료는 얼마 되지 않지만 『삼국사기』, 『고금군국지』, 『삼국유사』, 『고려사』 등과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춘천에는 ‘맥국’과 ‘맥족’이 있었다고 확신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문화적 측면에서 볼 때, 봉의산, 마적산(마작산), 맥산, 삼악산, 발산, 우두산, 샘밭, 용화산, 어둔리, 갑천, 병지방리, 태기산, 청일, 둔내, 신대리, 도주골, 투구봉, 옥산대, 백옥포 등과 관련된 설화와 지명이 모두 맥국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조선의 ‘선(鮮)’과 관련이 있는 신북면 설화 ‘우양마을이야기’는 뱀을 섬기는 풍(風)족인 맥국과 고조선의 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고구려 벽화에 등장하는 여와와 복희의 몸이 뱀(=용)이라는 점에서 고대사를 밝히는데 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추정할 수 있었다. 선조들이 남긴 문학작품 속에도 맥국과 춘천과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작품이 등장하는데 김시습이 지은 <도중(途中)>이나 신위가 춘천 부사로 있으면서 지은 『맥록』, 조선 후기 강현규의 <유금강산록>에도 맥국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이니 인지, 감상 등이 잘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신위는‘수춘(춘천)은 옛날의 맥국이다.’ 는 사실과 함께 공자가 살고 싶어했음도 서문에다가 밝히고 있었다. 그 외에도 춘천 지역 농악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군사나 전술, 진법 등과<군사훈련→전투→승리→축제>라는 스토리 구조를 보인다는 점에서도 맥국과의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강원도 전역에서 단오 그네를 뛸 때, ‘춘천이요!, 우두그네요!’라고 소리를 지른다는 점에서도 고대 춘천과 우두에는 강원도에 사는 모든 거주민이 선망하는 ‘무언가’, 즉 맥국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춘천에서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외바퀴수레놀이(차전놀이)도 고대의 수레놀이는 전투훈련이 목적이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맥국 문화 편린의 테두리 안에 넣을 수 있었다. 그 외에도 맥적이나 맥궁 등의 용어나 춘천 지역 교가 등, 이 모든 문화 편린을 통해서 춘천에는 고대 맥국과 맥족이 있었음은 기정 사실이라는 결론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tried to focus on realizing and visualizing the reality of Mackook by synthesizing the spectrum of the cultural sec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field trip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In this paper, I tried to focus on realizing and visualizing the reality of Mackook by synthesizing the spectrum of the cultural sec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field trip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only a few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the country, but existing research results such as 『Samguk Sagi』, 『Gogum Gungukji』, 『Samguk Yusa』, and 『Goryeosa』 showed that Chuncheon had "Macguk" and "Maekook race". Above all, from a cultural perspective, folktales and geomancy related to Bongui Mountain, Majeoksan Mountain(Majaksan Mountain), Maxan Mountain, Samaksan Mountain, Balsan Mountain, Udu Mountain, Sambat, Yonghwasan Mountain, Eudun-ri, Gapcheon, Byeongji-ri, Taegi Mountain, Cheongil, Dunae, Sindae-ri, Dojigol, Dojigol, Dojibongol, Dogubongol, Oksan Mountain, Oksan Mountain, and Baekokpo were all related to Mac.
      In particular, the Sinbuk-myeon folk tale "Story of Uyang Village," which is related to Joseon"s "Pung race"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Gojoseon, who serve snakes, which can play a key role in revealing ancient history in that the bodies of Yeowa and Bokhee in Goguryeo murals are snakes(=Dragon). In the literature left by his ancestors, there are works that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cguk and Chuncheon. Kim Si-seop"s <In the way>, Sinwi"s McRock, and Kang Hyun-kyu"s <Yugumgangsan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their thoughts on Mackook. In particular, Sinwi stated in the preface that Confucius wanted to live with the fact that "Suchun(Chuncheon) is an old beer soup."
      In addition, Nongak in Chuncheon showed a story structure called "Military Training → Battle → Victory → Festival" unlike other regions, and when playing Dano swing all over Gangwon-do, there was a MacGuk that all residents in Chuncheon and Udu in ancient Gangwon-do shouted, "Chuncheon!", “Udugienaeyo!”. In addition, the long-standing one-wheel cart game(chacha play) in Chuncheon could be put within the confines of the McGuk culture when it was recalled that ancient cartwheels were intended for combat training. In addition, through all these cultural expedients, such as terms such as Macjeok and Macgung, and the Chuncheon regional school songs, Chuncheon was able to converge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a given that there were ancient Macgos and Mac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only assume that "Balsan" is currently a capital city of Macguk, but cultural expediency could have raised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be "Udu". What is clear is that it is foolish and foolish to eliminate history and culture thousands of years ago with shallow knowledge just because there is no concrete evidence. Such a serious matter will have to be promised a future gene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언
      • 2. 맥국문화의 다양한 편린
      • 3. 결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언
      • 2. 맥국문화의 다양한 편린
      • 3. 결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춘천뒤뚜루농악보존회, "춘천향토농악 자료집" 2014

      2 최복규, "춘천지역의 유적과 맥국" 17 : 75-114, 2007

      3 춘천문화원, "춘천의 지명유래" 1995

      4 김영기, "춘천의 설화와 민요" 춘천문화원 1996

      5 이학주, "춘천우두산설화를 통해 본 춘천시의 정체성 연구" 춘천문화원 28 : 2012

      6 강명혜, "춘천시 문화적 스펙트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아시아강원민속학회 129-162, 2020

      7 전신재, "춘천 우두산전설의 신화적 성격" 반교어문학회 (13) : 139-157, 2001

      8 김영기, "춘천 우두산의 맥국 전설" 춘천문화원 3 : 1988

      9 김용백, "춘천 맥국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10 춘천문화원·강원고고학연구소, "춘천 맥국 관련유적 지표조사보고서" 1996

      1 춘천뒤뚜루농악보존회, "춘천향토농악 자료집" 2014

      2 최복규, "춘천지역의 유적과 맥국" 17 : 75-114, 2007

      3 춘천문화원, "춘천의 지명유래" 1995

      4 김영기, "춘천의 설화와 민요" 춘천문화원 1996

      5 이학주, "춘천우두산설화를 통해 본 춘천시의 정체성 연구" 춘천문화원 28 : 2012

      6 강명혜, "춘천시 문화적 스펙트럼과 콘텐츠 활용 방안" 아시아강원민속학회 129-162, 2020

      7 전신재, "춘천 우두산전설의 신화적 성격" 반교어문학회 (13) : 139-157, 2001

      8 김영기, "춘천 우두산의 맥국 전설" 춘천문화원 3 : 1988

      9 김용백, "춘천 맥국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10 춘천문화원·강원고고학연구소, "춘천 맥국 관련유적 지표조사보고서" 1996

      11 박한설, "중도 적석총 발굴보고" 중도선사유적발굴조사단 1982

      12 이무상, "우리의 소슬뫼를 찾아서" 한결 2007

      13 김선풍, "외바퀴 수레〔獨輪車〕싸움 硏究" 19 : 155-162, 1986

      14 노중평, "사라진 맥국" 한국디지털도서관 2004

      15 노중평, "뱀의 시대와 거인" 휴면컬쳐아리랑 2014

      16 김창석, "맥족의 분포와 『삼국사기』 소전 ‘맥국’에 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91) : 125-161, 2018

      17 노중평, "고조선의 종교혁명" 대한 2003

      18 강원도문화원연합회, "강원지역의 옛나라" 강원도 2015

      19 김용구, "강원설화총람Ⅰ~Ⅴ" 북스힐 2006

      20 국립문화재연구소, "강원도의 세시풍속" 2001

      21 이영식, "강원도 <그네뛰는소리>의 시군별 양상" 한국민요학회 58 (58): 107-138, 2020

      22 "貊錄"

      23 김덕원, "貊國의 實體와 新羅의 交涉"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7-39, 2007

      24 "海觀自集"

      25 "海東繹史"

      26 김택균, "江原 濊貊考" 2 : 1987

      27 유재춘, "春川貊國의 歷史的 硏究" 강원향토문화연구회 2005

      28 김택균, "春川 貊國說에 관한 연구" (30․31) : 1985

      29 "史記"

      30 박대재, "古朝鮮과 齊의 해상교류와 遼東" 고려사학회 (57) : 7-41, 2014

      31 "三國遺事"

      32 "三國史記"

      33 강명혜, "『譯註 海觀自集』에 나타난 춘천의 세시풍속"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1 : 197-23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9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