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행위로서 선문답에 대한 이론적 배경 = A theoretical background of Zen dialogue as an educational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0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문답은 왜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대화를 하는 것일까. 여기엔 어떠한 교육적 생명력이 숨어 있을까. 선문답의 생명력이란 어떠한 논리로도 풀리지 않는 모순성에 있다면, 선문답이 ...

      선문답은 왜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대화를 하는 것일까. 여기엔 어떠한 교육적 생명력이 숨어 있을까. 선문답의 생명력이란 어떠한 논리로도 풀리지 않는 모순성에 있다면, 선문답이 터하고 있는 지평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 논자의 관심은 선문답의 이론적 배경이라 볼 수 있는 『중론』과 초기유식의 논서인 『섭대승론석』을 중심으로. 선문답의 화두가 그렇게 제시될 수밖에 없는 이론적 근거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논고 결과 중관학과 유식학의 논리는 무자성공 내지 무분별지이다. 그리고 이것은 대승불교를 관통하고 있는 논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무분별지 내는 무자성공을 말로서 표현할 때, 그것의 본래성은 사라지고 만다. 언어가 무자성공을 그리고 무분별지를 그대로 담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무리 친절하게 설명한다고 하여도 깨달음이란 것의 본래성이 설명될 수도 없거니와, 한 인간의 실존적 체험으로만 가질 수 있는 것을 말로서 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선사는 제자의 의문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는 대신, 오히려 제자의 의문을 증폭시키는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단지 큰 소리를 지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선문답의 보다 직접적인 교육적 생명력은 언어적 분별을 넘어선 초논리성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이 초논리성을 방편으로 삼아 제자가 자신의 공부를 스스로 깨치도록 이끄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veliness of Zen dialogue is contradictoriness that can not be solved by any kind of logics. The text of Zen dialogue deconstructs language order thoroughly. Because Zen dialogue is not the kind of conversation for sharing meanings between dialog...

      The liveliness of Zen dialogue is contradictoriness that can not be solved by any kind of logics. The text of Zen dialogue deconstructs language order thoroughly. Because Zen dialogue is not the kind of conversation for sharing meanings between dialogists. Then how can we explain the horizon of Zen dialogue. What I wish to show in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Zen dialogue that should be presented like the form based on Mulamadhyamakakarika,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and 攝大乘論釋, Mahayana-samparigaha-sastra. Viewed in this light, we can see the logics of Consciousness-only and Mulamadhyamakakarika are of 無自性空 or 無分別智. It is the logic to through to Mahanaya Buddhism. But those 無自性空 or 無分別智 cannot be explained by language or words. When we explain them, the nature attribute of them must be disappeared. Because language or words are discerning something and it is the nature of language or words. Also, language or words can not hold 無自性空 or 無分別智 itself. If we accept this views, we can also admit that someone can not explain the enlightenment by language as well as can not give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to others. Someone``s enlightenment must be experienced by him or herself only. So a master of Zen Buddhism has to reply his dialogue in illogical sentences or yell.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said that the liveliness of Zen dialogue exists on transcendence of logics, giving som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Buddha by him or herself. In this point education means to be the process of human being``s understanding for his/ her life-world, therefore we should note that education is needed for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language character of learners. Because human being``s thinking and the meaning of life-world have their structures of ``name and fo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현상학과 유식론" 시와진실 2006

      2 Hempel, H-P,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3 김성철, "중론, 논리로부터의 해탈 논리에 의한 해탈" 불교시대사 2006

      4 龍樹, "중론" 경서원 2012

      5 伊吹敦, "중국 선의 역사" 대숲바람 2005

      6 이지중, "유식학적 언어관의 인격교육적 이해" 동양철학연구회 (54) : 253-273, 2008

      7 남수영, "용수의 중관사상" 여래 2010

      8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11

      9 吳經熊, "선의 황금시대" 경서원 2001

      10 정성본, "선의 역사와 사상" 불교시대사 1999

      1 이남인, "현상학과 유식론" 시와진실 2006

      2 Hempel, H-P,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3 김성철, "중론, 논리로부터의 해탈 논리에 의한 해탈" 불교시대사 2006

      4 龍樹, "중론" 경서원 2012

      5 伊吹敦, "중국 선의 역사" 대숲바람 2005

      6 이지중, "유식학적 언어관의 인격교육적 이해" 동양철학연구회 (54) : 253-273, 2008

      7 남수영, "용수의 중관사상" 여래 2010

      8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11

      9 吳經熊, "선의 황금시대" 경서원 2001

      10 정성본, "선의 역사와 사상" 불교시대사 1999

      11 정성욱, "선문답의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회 58 (58): 225-246, 2010

      12 이지중, "선문답의 교육적 생명력 - 줄탁동시(啐啄同時)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6 (16): 99-116, 2010

      13 이승훈, "선과 하이데거" 황금알 2011

      14 이계학, "선가의 인격교육론" 13 (13): 155-174, 1990

      15 서명석, "선(禪)과 선문답(禪問答)이 교실 상담과 만났다가 헤어지는 이유" 한국교육철학학회 (37) : 155-173, 2006

      16 이홍우, "석가모니는 왜 출가했는가" 한국도덕교육학회 19 (19): 1-25, 2008

      17 조오현, "벽암록" 불교시대사 2005

      18 上田義文, "대승불교의 사상" 민족사 1992

      19 권서용, "다르마키르티와 불교인식론" 그린비 2011

      20 고진호, "교육적 텍스트로서 선문답에 관한 독법" 6 : 139-159, 1998

      21 諸橋轍次, "공자 노자 석가" 동아시아 2001

      22 김영진, "공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23 서명석, "가르침과 배움 사이로" 책인숲 2012

      24 上田義文, "攝大乘論講讀" 春秋社 1982

      25 紫田良稔, "佛敎の 人間觀" 平樂寺書店 1975

      26 "『大正新修大藏經』 48"

      27 "『大正新修大藏經』 48"

      28 眞諦, "『大正新修大藏經』 31"

      29 龍樹, "『大正新修大藏經』 2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