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치는 일(교수활동, teaching)은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동안 우리는 가시적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논의해왔다. 교수방법에 대한 생각과 실천도 그에 맞추어 해왔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0345
2014
Korean
교수방법 ; 기법 ; 심법 ; 능력적 자질 ; 심성적 자질 ; teaching method ; technical dimension ; spiritual dimension ; competence ; character
370.105
KCI등재
학술저널
127-156(3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르치는 일(교수활동, teaching)은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동안 우리는 가시적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논의해왔다. 교수방법에 대한 생각과 실천도 그에 맞추어 해왔다. 그...
가르치는 일(교수활동, teaching)은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동안 우리는 가시적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논의해왔다. 교수방법에 대한 생각과 실천도 그에 맞추어 해왔다. 그런데, 교육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다면 비가시적인 차원도 보이는 차원만큼이나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르치는 활동의 두 차원을 명확히 이해하고 후자의 차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자 한다. 우선, 가르치는 일의 두 차원에 대하여 비상한 관심을 가지고 주목했던 오우크쇼트와 펜스터마허, 반 마넨과 카아와 같은 교육철학자들의 의견을 먼저 살펴본다. 곧 이어 그 두 차원에 대해서 내가 지닌 의견을 담아 각각 기법과 심법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고, 잃어버린 차원으로서 심법의 특징을 보다 자세히 알아본다. 이 과정에서 잘 가르치기 위한 심법적 차원의 노력은 수업기술을 닦는 것을 넘어서 인격과 성품을 쌓는 것임을 확인한다. 심법적 차원이 학생들의 학습(심성의 다양한 측면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서 그 실체에 대해서 확인한다. 그리고 교사가 기법적 차원과 심법적 차원의 교수활동을 잘 펼쳐낼 수 있도록 하는 자질로서 각각 능력적 자질과 심성적 자질을 구분하고, 심성적 자질(지성, 감성, 덕성, 영성)을 기를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을 정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tivity of teaching has two dimensions. We have studied and discussed the activity of teaching focusing on the observable dimension. The practice of teaching has also centered on the dimension of the observable. However, from the fundamental pers...
The activity of teaching has two dimensions. We have studied and discussed the activity of teaching focusing on the observable dimension. The practice of teaching has also centered on the dimension of the observable. However, from the fundamental perspective of education, the unobservable dimension is worthwhile as much as the observable. This study purports to clearly identify the two dimensions, and call for an attention to the unobservable. In the next section, the ideas of such educational philosopher as Oakeshott, Fenstermacher, van Manen and Carr who are keen to the unobervable dimension are analyzed. I personally rename for the two dimensions these philosophers altogether acknowledged. They are the technical dimension(技法) and the spiritual dimension(心法).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concept is explained in more detail. In this process, the efforts from the spiritual go beyond the technical mastery of explanation, feedback or giving praise. They are equal to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personhood. The empirical studies which focus on the impact of the spiritual upon students’ learning in the personhood are introduced and examined in order to give an evidence to the claim. The qualities that a teacher can perform the two dimensions of teaching well are identified. And finally the ways of improving the teachers’ quality of the spiritual dimension are suggested.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덕, "중용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0
2 한명희, "종교성 :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7
3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레인보우 북스 2010
4 김승호, "스콜라주의 교육목적론" 교육과학사 1998
5 오천석, "스승" 광명문화사 1975
6 장성모 편저, "수업의 예술" 교육과학사 2006
7 鈴木大拙, "선문답: 가르침과 배움의 현상학" 경서원 2001
8 최병태, "덕과 규범" 교육과학사 1997
9 유경재, "다중지능" 웅진씽크빅 2007
10 허영주, "교육적 ‘택트’(tact)의 학문적 성격: 기존 교수이론의 재개념화"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1-100, 2005
1 박종덕, "중용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0
2 한명희, "종교성 :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7
3 최의창,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레인보우 북스 2010
4 김승호, "스콜라주의 교육목적론" 교육과학사 1998
5 오천석, "스승" 광명문화사 1975
6 장성모 편저, "수업의 예술" 교육과학사 2006
7 鈴木大拙, "선문답: 가르침과 배움의 현상학" 경서원 2001
8 최병태, "덕과 규범" 교육과학사 1997
9 유경재, "다중지능" 웅진씽크빅 2007
10 허영주, "교육적 ‘택트’(tact)의 학문적 성격: 기존 교수이론의 재개념화"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1-100, 2005
11 변영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1998
12 박성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I)" 교육과학사 2005
13 한영란, "교사와 영성교육" 내일을 여는 책 2004
14 Highet, G, "가르침의 예술" 아침이슬 2009
15 Palmer, P,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IVP 2006
16 한기철, "‘이론적인 것’의 의미와 John Dewey 해석의 두 갈래" 한국교육철학학회 (34) : 63-85, 2005
17 Miller, J, "Whole child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
18 Jackson, P, "Untaught lessons" Teachers College Press 1992
19 Carr, D, "The uses of literacy in teacher education" 45 (45): 53-68, 1997
20 van Manen, M, "The tact of teaching: The meaning of pedagogical thoughtfulness" The Althouse Press 1991
21 Jennings, P,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 79 (79): 491-525, 2009
22 Jackson, P, "The practice of teaching" Teachers College Press 1986
23 van Manen, M, "The pathic principle of pedagogical language" 18 : 215-224, 2002
24 Jackson, P, "The moral life of schools" CA:Jossey-Bass 1993
25 Hansen, D, "The moral importance of the teacher's style" 25 (25): 397-421, 1993
26 Campbell, E, "The ethical teacher" Open University Press 2003
27 Oakeshott, M, "The concept of educa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156-176, 1967
28 Mayes, C, "Teaching mysteries: Foundations of spiritual pedagogy" MD;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5
29 Fenstermacher, G, "Teaching morally and teaching morality" (Summer) : 7-19, 2009
30 Moran, G, "Showing how: The act of teaching" Continuum 1997
31 Darling-Hammond, L,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2005
32 van Manen, M, "Pedagogy, virtue and narrative identity in teaching" 24 (24): 135-170, 1994
33 Carr, D, "On the contribution of literature and the arts to the educational cultivation of moral virtue, feeling and emotion" 34 (34): 137-151, 2005
34 Fenstermacher, G, "On the concept of manner and its visibility in teaching practice" 33 (33): 639-653, 2001
35 Richardson, V, "Manner in teaching: The study in four parts" 33 (33): 631-637, 2001
36 Wilber, K, "Integral spirituality" Integral Books 2006
37 Hansen, 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826-857, 2001
38 Fenstermacher, G, "Effective and responsible teaching" Jossey-Bass 95-108, 1992
39 Carr, D, "Character in teaching" 55 (55): 369-389, 2007
40 Noddings, N, "Awakening the inner eye: Intuition in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84
41 LeBlanc, P, "Affective teacher education: Exploring connections among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s" Rowman & Littlefield Education 2009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적 전회와 확실성: 「확실성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 |
2011-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8 | 1.27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