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계은행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국제 이민 현황을 교육 수준에 따라 5년 단위로 수집한 Panel Data on International Migration 1975-2000(2011)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체 이민 인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40486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과 경제학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서울
ii, 36장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진영
참고문헌: 장 32-3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계은행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국제 이민 현황을 교육 수준에 따라 5년 단위로 수집한 Panel Data on International Migration 1975-2000(2011)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체 이민 인구...
본 연구는 세계은행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국제 이민 현황을 교육 수준에 따라 5년 단위로 수집한 Panel Data on International Migration 1975-2000(2011)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체 이민 인구와 이민자 중 고숙련 이민자의 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패널구조의 국제 이민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패널구조를 무시하고 분석하는 합동 OLS, 임의 효과 모형 그리고 고정 효과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전체 이민 인구의 이민의 경우 과반수가 미숙련 이민자이므로 본국과 목적지에서 숙련도에 대하여 일정한 평가를 내릴 때 평균소득이 높은 쪽으로 이주 했으며 목적지의 소득 불균형 지수가 높을수록 이주하는 이민 인구가 감소하는 것을 관측하였다. 또한 이민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산업화가 진행 된 곳으로 이주했으며 이민 시 노동시장에서의 경쟁이 상대적으로 덜 치열하며 거리적으로 가깝고 언어와 역사적으로 비슷한 문화권에 있을수록 이민을 더 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실증 분석을 통해 관측하였다. 반면 고숙련 이민자의 경우 유입국의 불평등 정도가 심해질수록 전체 이민자 중 그 비중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