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천 골목 분포의 특징과 발생 맥락 = The Origin of the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Daegucheon Alle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8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구천 골목의 분포 특징과 발생 맥락을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80년 전인 1943년, 대구 시내에는 대구천이 흘렀다. 당시 대구천은 3~5m 폭을 가진 작은 개울이었다. 이들은...

      대구천 골목의 분포 특징과 발생 맥락을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80년 전인 1943년, 대구 시내에는 대구천이 흘렀다. 당시 대구천은 3~5m 폭을 가진 작은 개울이었다. 이들은 도시화 과정에 유로의 방향, 형태, 길이, 폭 등을 유지한 채 골목으로 변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구천 본류 골목 중에서 대표적인 곳은 건들바위 버스정류장 서쪽의 이천로에서 대구초등 건너편의 봉산문화 2길까지이다. 반면 원도심의 대구천 본류 골목은 대부분 사라졌다. 대구천 분류 골목에서 대표적인 곳은 건들바위 맞은편 고운선한복 북쪽의 대봉로 43길에서 대봉치안센터 사이의 명륜로까지이다. 대구천 골목 분포의 지역적 차이는 도시 개발과 관련 깊다. 동성로 1길과 대봉로를 기준으로 동쪽은 일본인 거주지여서 계획적 도시 개발로 가로 구조는 직교형으로 발달했고, 넓은 부지의 공공시설들이 입지했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대구천 분류는 일찍 사라졌다. 반면 동성로 1길과 대봉로의 서쪽은 한국인 거주지이어서 도시개발에서 소외되었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대구천은 본류와 분류 모두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해방 이후 도시화로 대구천은 골목으로 변했다. 현대에 와서도 대봉로 서쪽은 상대적으로 재개발되지 않아 이곳의 대구천 본류와 분류 골목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origin of regiona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lleys on the vestige of Daegucheon. The Daegucheon was still running through the city of Daegu in the year 1943. It was then a relatively small stream of width 3-5m. Later urba...

      This study is on the origin of regiona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lleys on the vestige of Daegucheon. The Daegucheon was still running through the city of Daegu in the year 1943. It was then a relatively small stream of width 3-5m. Later urbanization of the city had transformed the river into alleys maintaining similar directions, forms, lengths, and widths. One of the still remaining mainstream-turned-into-streets is the alley from the Geondlbawi bus stop(west-side) to the Bongsanmunhwa-2gil across from east-side of Daegu Elementary School. Most of the mainstream alleys of the inner city, however, have since disappeared. Among the tributary alleys, still remaining one is the alley extending from the clothes shop Gounsunhanbok across from the Geondlbawi, through the Daebongro-43gil northbound, to a neighborhood of the Daebong Police Station at Myungryunro and Daebongro. The regional distributive difference of Daegucheon alleys was a result of the city development. In the era of Japanese rule, the east side of Dongseongro-1gil ― Daebongro Line was re-developed as an area for Japanese and for large governmental buildings, while its west side was left undeveloped for Koreans. Rectangular re-development of the east side, therefore, resulted in the disappearance of stream alleys there, whereas in undeveloped west side, mainstream and tributary alleys had been left intact longer. After the end of Japanese rule, the remaining parts of Daegucheon were also turned into alleys according to the city development. Under-developed west side of the Daebongro has still some of the mainstream and tributary alley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도판편)" 금운한편집 1998

      2 이기조, "일제하 대구부 시가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3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 과정 연구" 일지사 1996

      4 최석주, "일제강점기 대구의 도시계획" 24 : 68-89, 2005

      5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과정과 그 성격" 10 : 83-121, 2003

      6 영남일보, "이천동 → 배나무, 마을 상징 숲 가꾼다"

      7 "위키백과"

      8 영남일보, "서거정의 대구 10경"

      9 송언근, "대구읍성 입지와 신천 유로 변화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320-335, 2020

      10 거리문화시민연대, "대구신택리지" 북랜드 2007

      1 영남대학교 박물관, "한국의 옛 지도(도판편)" 금운한편집 1998

      2 이기조, "일제하 대구부 시가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3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 과정 연구" 일지사 1996

      4 최석주, "일제강점기 대구의 도시계획" 24 : 68-89, 2005

      5 김일수, "일제강점 전후 대구의 도시화과정과 그 성격" 10 : 83-121, 2003

      6 영남일보, "이천동 → 배나무, 마을 상징 숲 가꾼다"

      7 "위키백과"

      8 영남일보, "서거정의 대구 10경"

      9 송언근, "대구읍성 입지와 신천 유로 변화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320-335, 2020

      10 거리문화시민연대, "대구신택리지" 북랜드 2007

      11 김주야 ; 김영, "대구시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9 (9): 59-71, 2011

      12 홍경희, "대구시 : 도시지리학적연구" 문화출판사 1966

      13 동아일보, "대구부도로정책통격 조선인촌은 악취가 코를 찔러 부회에서 격론수시간"

      14 박충환, "대구근대골목투어 - ‘지붕 없는 박물관’과 스토리텔링의 정치적 지형 -" 역사문화학회 19 (19): 141-178, 2016

      15 박찬석, "대구 도시계획 소고" 10 : 129-140, 1985

      16 "네이버 지식백과"

      17 "MY Identity"

      18 송언근 ; 김화환, "1910년대 신천 좌안 충적평야의 하계망 특성: 건들바위에서 상동교를 사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568-58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