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임파워먼트가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82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에 있었다. 영향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장애 특성을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에 있었다. 영향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장애 특성을 통제변수로 설정함으로서 임파워먼트 구성요소(의미성, 유능함, 자기결정, 영향력)를 명확히 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유지를 위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서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원만한 직업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정신보건센터 4곳과 사회복귀시설 15곳에서 재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한 정신장애인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임파워먼트 결과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별 분석결과를 보면 임파워먼트의 4가지 요소인 의미성, 유능함, 자기결정, 영향력이 각각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을 종속변수로, 임파워먼트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미치는 요인은 전체적으로 임파워먼트 요소인 의미성, 자기결정, 영향력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병전 취업경험이 직무만족이나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는데 결과를 보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취업한 정신장애인에게 임파워먼트 요소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은 검증되었다. 그러나 주관적인 감정인 직무만족이나 직무몰입이 정신장애 특성상 업무에 있어서 직무성과에 반영이 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는 것이 한계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취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을 위한 개인별 종합적인 접근과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취업한 정신장애인에게 선별적으로 임파워먼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가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임파워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셋째,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정기적인 자조모임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정신장애인 상호 임파워먼트 연계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인 취업유지를 위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신장애인의 개인별 임파워먼트 요소를 파악하고,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별화된 직업재활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the empowerment of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may ha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To accurately determine possible effects, this study se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the empowerment of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may ha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To accurately determine possible effects, this study se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disability characteristics as control variables, and thereby made clear empowerment factors(meaningfulness,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for survey and data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possible associations among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for the successful work sustenance of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and also determine possible effects of empower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so that it could seek for possible solutions to help them keep their job on a long-term basis. To meet the goals, this study surveyed total 127 employees with mental disability, who benefited from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available at 4 mental health centers and 15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ur employed mental disorder group showed high empowerment overall and significances as well. In view of results from analysis on each empowerment factor, it was found that 4 major empowerment factors, i.e. meaningfulness,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had significant effects up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mpowerment of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on the whole.
      Thir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ontrol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dependent variables(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empowerment factors) showed that 3 of 4 major empowerment factors, i.e. meaningfulness,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led to significant effects upon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of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Fourth, this study supposed that their premorbid employment experience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or involvement. Inde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such experiences on the 2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empowerment factor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overall.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failed to find out if subjective emotions like job satisfaction or involvement were reflected on actual job performance in the aspect of mental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here of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and take a personalized comprehensive approach for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while preparing consistent and formulated support systems for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lective empowerment for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find out possible effects of the empowerment on them, and expand professional manpower to give empowerment to them.
      Third,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self-supporting meetings for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on a regular basis, so that they form a cross empowerment network of mental disorder persons under social support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social senses for bett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so that the employed mental disorder can go on working in effect.
      Finally, it is important to promote more personalize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help us identify individual empowerment factors on the mental disorder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through empower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제 1 절 정신장애인과 임파워먼트 = 5
      • Ⅰ. 서론 =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제 1 절 정신장애인과 임파워먼트 = 5
      • 1. 임파워먼트 개념 및 특징 = 5
      • 2. 정신장애인과 임파워먼트에 대한 선행연구 = 7
      • 제 2 절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 = 9
      • 1. 의미성(Meaningfulness) = 11
      • 2. 유능함(Competence) = 12
      • 3.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 12
      • 4. 영향력(Impact, Influence) = 13
      • 제 3 절 직무만족과 직무몰입 = 13
      • 1. 직무만족 = 13
      • 2. 직무몰입 = 15
      • 3.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대한 선행연구 = 16
      • Ⅲ. 연구방법 = 18
      • 제 1 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설정 = 18
      • 1. 연구모형 = 18
      • 2. 연구가설의 설정 = 19
      • 제 2 절 조사도구 = 20
      • 1. 독립변수 = 20
      • 2. 종속변수 = 20
      • 3. 통제변수 = 21
      • 제 3 절 자료수집 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자료수집 방법 = 22
      • 제 4 절 자료분석 방법 = 23
      • 제 5 절 연구의 한계점 = 23
      • Ⅳ. 연구결과 = 24
      • 제 1 절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4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4
      • 2. 연구대상자의 정신장애 특성 = 28
      • 제 2 절 신뢰도 검증 = 30
      • 제 3 절 임파워먼트 구성요인별 분석 = 31
      • 제 4 절 임파워먼트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상관관계 = 38
      • 제 5 절 임파워먼트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차이 분석 = 39
      •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차이 = 39
      • 2. 정신장애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차이 = 43
      • 제 6 절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45
      • 1. 직무만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 45
      • 2. 직무몰입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 = 47
      • Ⅴ. 결론 및 제언 = 49
      • 제 1 절 결론 = 49
      • 제 2 절 제언 = 51
      • 참고문헌 = 53
      • 부록 설문지 = 58
      • Abstract =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