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미술에서 미디어아트의 위상: 상호작용성과 물성의 확장을 중심으로 = The Stature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 Evolution of Materiality and Interac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87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술이 재현에 집중되어있던 시각적 문제에서 벗어나 감상자와의 관계와 소통의 단계로 변화하게 되면서 작품과 관객사이의 상호작용성은 크게 확대되었다. 현대미술에서 관찰되는 상호작용성과 작품 물성의 확장은 20세기의 시작부터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과 감상자와의 상호작용성과 작품의 물성에 있어서 확장을 거듭해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미디어아트의 흐름은 20세기 현대미술이 작품에서 상호작용성과 물성의 확장을 거듭해온 과정과 많은 유사점이 있다. 따라서 현대미술의 흐름 안에서 미디어아트의 위상을 조망하는데 있어,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상호작용성과 작품의 물성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현대미술 안에서의 위상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가능하다.
      20세기 초 아방가르드와 다다이즘, 뒤샹, 그리고 1960년대 플럭서스, 개념미술, 미니멀아트 등의 미술의 흐름 속에서 미술작품과 그 감상자와의 관계를 새롭게 변화시킨 상호작용성을 경험적 상호작용과 매체적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그리고 미술작품의 외적인 형태의 변화에서 감지되는 작품재료가 다양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작품에서의 대중매체의 출연과 레디메이드 그리고 개념의 형식으로서의 물성을 기준으로 연구한 후, 1960년대 이후 등장한 미디어아트 작업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물성 변화의 특징을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흐름과 변화 가능성을 현대미술 작품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물성의 변화과정을 배경으로 연구하였다.
      1990년대 이후의 동시대 미술, 영국 YBA의 작품 주제의 다변화와 작품물성의 특징,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Relational Aesthetics)의 관객참여 방식과 오브제의 이행성(transitivity)을 통한 예술의 소통과 작품 형태의 변화에서 관찰되어지는 그 전과는 다른 차원의 상호작용성과 미술작품의 물성의 다양화를 연구하고, 2000년대 이후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디어 시티 서울’의 전시담론의 변화와 구체적 작품들의 넓어지는 상호작용성과 작품재료의 다물성화와 확장의 경향을 통하여 동시대미술 안에서 관찰되어지는 미디어아트의 위상과 새로운 경향을 추적한다. 그리고 본인이 2000년 이후 작업해오고 있는 작품들 안에서 미디어아트 작품으로서 현대미술의 영역 안에서 작품 콘셉트에 따른 상호작용성의 변위와 작품 물성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작품들 위주로 분석함으로써 그 예술적 적용을 분석한다.
      현대미술 안에서 미디어아트의 위치를 그 상호작용성의 특징과 작품 재료의 물성의 변화로 살펴보는 것은 그 형식의 차원으로서가 아니라, 결과적으로 작품과 관객의 보다 넓은 심리적 접촉 영역에 근거하는 새로운 예술적 체험의 차원을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미술의 많은 부분에서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방향성이 지금의 미디어아트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그 현재의 위상과 방향성을 연구한다.
      번역하기

      미술이 재현에 집중되어있던 시각적 문제에서 벗어나 감상자와의 관계와 소통의 단계로 변화하게 되면서 작품과 관객사이의 상호작용성은 크게 확대되었다. 현대미술에서 관찰되는 상호작...

      미술이 재현에 집중되어있던 시각적 문제에서 벗어나 감상자와의 관계와 소통의 단계로 변화하게 되면서 작품과 관객사이의 상호작용성은 크게 확대되었다. 현대미술에서 관찰되는 상호작용성과 작품 물성의 확장은 20세기의 시작부터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과 감상자와의 상호작용성과 작품의 물성에 있어서 확장을 거듭해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미디어아트의 흐름은 20세기 현대미술이 작품에서 상호작용성과 물성의 확장을 거듭해온 과정과 많은 유사점이 있다. 따라서 현대미술의 흐름 안에서 미디어아트의 위상을 조망하는데 있어,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상호작용성과 작품의 물성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현대미술 안에서의 위상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가능하다.
      20세기 초 아방가르드와 다다이즘, 뒤샹, 그리고 1960년대 플럭서스, 개념미술, 미니멀아트 등의 미술의 흐름 속에서 미술작품과 그 감상자와의 관계를 새롭게 변화시킨 상호작용성을 경험적 상호작용과 매체적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그리고 미술작품의 외적인 형태의 변화에서 감지되는 작품재료가 다양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작품에서의 대중매체의 출연과 레디메이드 그리고 개념의 형식으로서의 물성을 기준으로 연구한 후, 1960년대 이후 등장한 미디어아트 작업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물성 변화의 특징을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디어아트의 흐름과 변화 가능성을 현대미술 작품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물성의 변화과정을 배경으로 연구하였다.
      1990년대 이후의 동시대 미술, 영국 YBA의 작품 주제의 다변화와 작품물성의 특징,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미학(Relational Aesthetics)의 관객참여 방식과 오브제의 이행성(transitivity)을 통한 예술의 소통과 작품 형태의 변화에서 관찰되어지는 그 전과는 다른 차원의 상호작용성과 미술작품의 물성의 다양화를 연구하고, 2000년대 이후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디어 시티 서울’의 전시담론의 변화와 구체적 작품들의 넓어지는 상호작용성과 작품재료의 다물성화와 확장의 경향을 통하여 동시대미술 안에서 관찰되어지는 미디어아트의 위상과 새로운 경향을 추적한다. 그리고 본인이 2000년 이후 작업해오고 있는 작품들 안에서 미디어아트 작품으로서 현대미술의 영역 안에서 작품 콘셉트에 따른 상호작용성의 변위와 작품 물성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작품들 위주로 분석함으로써 그 예술적 적용을 분석한다.
      현대미술 안에서 미디어아트의 위치를 그 상호작용성의 특징과 작품 재료의 물성의 변화로 살펴보는 것은 그 형식의 차원으로서가 아니라, 결과적으로 작품과 관객의 보다 넓은 심리적 접촉 영역에 근거하는 새로운 예술적 체험의 차원을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미술의 많은 부분에서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방향성이 지금의 미디어아트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그 현재의 위상과 방향성을 연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ansion of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observed in contemporary art can be a result that has continued to be expanded the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between artwork and audience in a variety of ways at various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s enables a new consideration on the statu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e interactivity that changed relationships with the audience and artwork is analyzed based on the empirical interaction and media interaction in the flow of art in the Avant-garde, Dada, Duchamp in early 20th century and the Fluxus, conceptual art, minimal art in the 1960s. And the process that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materials which can be observed in the external forms changes of the artwork is analyzed based on the advent of mass media in artwork, ready-made, materiality as conceptual form. The characteristic of changes that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in media art emerged in the 1960s also analyze based on above-mentioned element, this can be observed the flow and variability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the Young British Artists(YBA)'s diversification of artwork theme and the features of materiality of artwork and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that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of art and forms of artwork through the way of audience participation and 'transitivity' of object, etc., these enable the observation different level of the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from the previous.
      It can be traced that the stature and new tendency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tendency that the changes of the exhibition discourse, the expansion of interactivity of specific artwork and diversification of material in the Media City Seoul since the 2000s. And I selected my media artworks since the 2000s that can be identify changes in the statue of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and then I analysed the artistic applicability.
      Understanding the statue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interactivity and the changes in materiality is means to deal with not a formal level but a new artistic experience based on areas of psychological contacts between the audience and artwork. When we should recognize that thes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 can be applied in current media art, and we also recognize that the importance to identify the stature and direction of current media art.
      번역하기

      The expansion of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observed in contemporary art can be a result that has continued to be expanded the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between artwork and audience in a variety of ways at various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t...

      The expansion of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observed in contemporary art can be a result that has continued to be expanded the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between artwork and audience in a variety of ways at various tim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s enables a new consideration on the status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e interactivity that changed relationships with the audience and artwork is analyzed based on the empirical interaction and media interaction in the flow of art in the Avant-garde, Dada, Duchamp in early 20th century and the Fluxus, conceptual art, minimal art in the 1960s. And the process that th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materials which can be observed in the external forms changes of the artwork is analyzed based on the advent of mass media in artwork, ready-made, materiality as conceptual form. The characteristic of changes that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in media art emerged in the 1960s also analyze based on above-mentioned element, this can be observed the flow and variability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90s, the Young British Artists(YBA)'s diversification of artwork theme and the features of materiality of artwork and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that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of art and forms of artwork through the way of audience participation and 'transitivity' of object, etc., these enable the observation different level of the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from the previous.
      It can be traced that the stature and new tendency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tendency that the changes of the exhibition discourse, the expansion of interactivity of specific artwork and diversification of material in the Media City Seoul since the 2000s. And I selected my media artworks since the 2000s that can be identify changes in the statue of interactivity and materiality, and then I analysed the artistic applicability.
      Understanding the statue of 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interactivity and the changes in materiality is means to deal with not a formal level but a new artistic experience based on areas of psychological contacts between the audience and artwork. When we should recognize that thes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 can be applied in current media art, and we also recognize that the importance to identify the stature and direction of current media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國文抄錄 ⅶ
      • 英文抄錄 ⅸ
      • 목 차
      • 國文抄錄 ⅶ
      • 英文抄錄 ⅸ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 목적 1
      • 1.2 연구 내용과 방법 4
      • 1.3 연구의 구성 6
      • 제 2 장 20세기 미술의 상호작용성과 물성 8
      • 2.1 미술작품에서 상호작용성과 물성 10
      • 2.2 상호작용성의 유형분석 18
      • 2.2.1 경험적 상호작용성 19
      • 2.2.2 매체적 상호작용성 25
      • 2.3 작품 물성의 전개(全開) 33
      • 2.3.1 대중매체의 사용 34
      • 2.3.2 Ready Made 42
      • 2.3.3 개념의 형식으로서의 물성 48
      • 제 3 장 미디어아트의 시작과 흐름 63
      • 3.1 미디어아트의 미술사적 형성배경 65
      • 3.2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과 작품 물성의 변화 72
      • 제 4 장 현대미술에서의 움직임 85
      • 4.1 관계 맺기와 소통의 양상들 88
      • 4.2 Media City Seoul에서의 미디어아트 100
      • 제 5 장 본인 작품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물성 113
      • 5.1 본인 작품의 주제적 분석 113
      • 5.2. 예술적 적용 117
      • 제 6 장 결 론 136
      • 참고문헌 14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정애 편역, Bourriaud,Nicolas, "『래디컨트』", 미진사, 2013

      2 Godfrey,Tony, 전혜숙 역, "『개념 미술』", 한길아트, 1998

      3 이지은, "감각의 미술관", 이봄, 2012

      4 Merleau-Ponty, Maurice,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2

      5 Bourriaud,Nicolas, "『관계의 미학』", 미진사, 미진사, 2011

      6 Ellul, Jacques, "『기술의 역사』", 한울, 한울, 2009

      7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민음사, 2004

      8 Rush,Michael, "『뉴미디어아트』", Sigongart, 시공사, 2003

      9 Tribe,Mark, "『뉴미디어아트』", 마로니에북스, 마로니에북스, 2008

      10 Manovich,Lev,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나무, 생각의 나무, 2004

      1 박정애 편역, Bourriaud,Nicolas, "『래디컨트』", 미진사, 2013

      2 Godfrey,Tony, 전혜숙 역, "『개념 미술』", 한길아트, 1998

      3 이지은, "감각의 미술관", 이봄, 2012

      4 Merleau-Ponty, Maurice,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2

      5 Bourriaud,Nicolas, "『관계의 미학』", 미진사, 미진사, 2011

      6 Ellul, Jacques, "『기술의 역사』", 한울, 한울, 2009

      7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민음사, 2004

      8 Rush,Michael, "『뉴미디어아트』", Sigongart, 시공사, 2003

      9 Tribe,Mark, "『뉴미디어아트』", 마로니에북스, 마로니에북스, 2008

      10 Manovich,Lev,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나무, 생각의 나무, 2004

      11 Kuresawa,Takemi, 서지수 역, "『현대미술용어 100』", 향연, 2009

      12 Joly,Martin, 김동윤 역,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사, 1994

      13 Gale,Matthew,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아트 앤 아이디어, 2001

      14 Welsch,Wolfgang, 심혜련 역,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 2005

      15 McDaniel,Craig, 문혜진 역, Robertson,Jean,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16 윤준성, "『현대사진이 꾸는 꿈』", 푸른세상, 2003

      17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A&C(에이엔씨출판), 에이엔씨, 2014

      18 박경래,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박이정, 문예출판사, 2002

      19 Archer,Michael, 이주은 역, 오진경, "『1960년 이후의 현대미술』", 시공사,2007, 1960

      20 진중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휴머니스트, 휴머니스트, 2005

      21 유원준, "뉴미디어 아트와 게임 예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2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8

      23 정동암, "미디어 아트, 디지털의 유혹",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4 벤야민, 발터,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민음사, 1983

      25 신진식, "“상호작용예술의 개념 연구”", 『조형연구』,제13호.건국대학교 조형연구 소, 2005

      26 신보슬, "『문예연감-뉴미디어설치: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08, 2007

      27 김영용, "『인터액티브 미디어와 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8 Jay David Bolter, Richard Grusin,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커 뮤니케이션북스, 2006

      29 심혜련,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06

      30 윤준성, "현대예술매체의 투명성에 관한 신화", 『기초조형학연구』,Vol.7,No.1. 기초조형학회,,pp.355-363, 2006

      31 Bohm-Duchen, 최창규 역, Monica.Cook, Janet, "『열려라 현대미술(Understanding ModernArt)』", 아트북스, 2004

      32 윤준성, "“미디어아트를 통한 IT와 예술의 교차점”",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Vol.26,No.1. 한국정보과학회,,pp.70-75, 2008

      33 Jordan,Ken, 아트센터나비 학예연구실 역, Packer,Randall, "『멀티미디어:바그너 에서 가상현실까지』", nabipress, 2001

      34 김세희, "『한국 현대미술의 노마디즘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 학원, 2013

      35 Huizinga,Johan, "『호모 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까치글 방, 1993

      36 김원방, "『잔혹극 속의 현대미술-몸과 권력 사이에서』", 예경, 1998

      37 진휘연, "한국 현대 여성작가들과 새로운 정체성의 발견", 『현대미술사연구』, Vol.30,No.1.현대미술사학회, 2011

      38 윤준성, "“미적대상으로서의 미디어아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Vol.7, No.2.기초조형학회,,pp.183-190, 2006

      39 고충환, "『문예연감-미디어아트와 달라진 미술의 지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1

      40 김경화, "『현대미술에 있어서 구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신라대학 교 대학원, 2008

      41 전혜숙, "뉴미디어 아트에서의 신체성: 촉각성을 중심으로", 『미술사학보』,제33 집.미술사학연구회,,pp.359-388, 2009

      42 Benjamin,Walter, 최성만 역,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사진의 작은 역사 회』.", 길, 2007

      43 민영순, "“ ‘당신(우리)의 밝은 미래’그리고 번역과 문맥들”", 『미술사학보』,Vol. 41. 미술사학연구회, 2013

      44 안지형, "조셉 코수스의 년 이후의 언어작업 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2004, 1980

      45 송대섭, 하임성, "『인터렉티브미디어아트의 환영과 설치매체에 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 구』,Vol.13,No.1.한국기초조형학회,pp.589-597, 2012

      46 윤준성, 조현경, "“뉴미디어 현실: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 조형학 연구』,Vol.7,No.4.,pp.601-608, 2006

      47 박숙영,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오브제-환경에서의 관람자의 참여”", 『현대미술학 논문집』,제4호, 2000

      48 최규성, "박이소 작품에서 번역과 문화정체성의 문제』.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49 권은경, "『순수미술작품속의 디자인 모티브 발견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50 최정렬,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플럭서스 갤러리 계획』.석사학위논문", 홍익대 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51 전유신, "“마르그리트 뒤라스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양혜규의 작업”", 미술사학연구회, 『미술사 학보』,Vol.41.미술사학연구회, 2013

      52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에 대한 담론적 연구: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홍익대학교 대학원,2009, 1960

      53 이원곤,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새로운 예술’의 전개를 위한 지평』", 연세대 학교출판부, 2004

      54 Meredieu, Florence de, "『예술과 뉴 테크놀로지:비디오?디지털아트, 멀티미디어 설치예술』", 열화당, 열화당, 2005

      55 김영희, "『현대미술의 비물질적 표현특성이 나타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56 고충환, "“뒤라스에 대한 개인사에 대한 오마주,양혜규 <셋을 위한 목소리전>”", 『플랫폼』,Vol.24.인천문화재단, 2010

      57 박상숙, "『현대미술의 해체와 뉴미디어아트의 다원성 및 상호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58 송은주, "뉴미디어 아트에서 매체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59 조성희, "현대 미술에 나타나는 상호 작용성에 대한 연구 : 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60 박수경, "『반미술로서 개념미술에 관한 연구:해체주의와의 의미연관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61 김용익, "『나는 왜 미술을 하는가 :정치적인 것과 개념적인 것의 연결을 보여주 기』", 현실문화연구, 현실문화연구, 2011

      62 정상희, "『장소 특정적 미술에 관한 연구:장소와 관객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63 정소연, "『현대미술에 나타난 상호작용성의 전개 양상과 그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2

      64 김희영, "『인터액티브 아트의 상호작용성:관람자와 작품 사이의 상호소통을 중심 으로』", 박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65 홍승호, "『미디어아트 전시의 발전방향 연구 :미디어아트 전시변화 및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66 윤준성, 조현경,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적 예술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함께하는 행위에 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 연구』,Vol.9,No.6.기초조형학회,, pp.489-497, 2008

      67 허구영, "『현대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비물질화 경향에 대한 고찰 :1060년대-70 년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68 정성윤, "『공공미술에서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 연구:요셉 보이스의 사회로 확 장된 예술개념을 바탕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69 심혜련, "디지털 매체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 상호작용성과 새로운 전시 공간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을 중심으로", 『예술학』,Vol.1,No.1.한국예술학회,, pp.46-69, 2005

      70 고창선., "『미디어아트에서의 참여와 소통 그리고 관조에 관한 연구:경험공유를 위 한 작품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10

      71 전 원, "『뉴미디어아트에서 관객과 작품 간 소통요소에 관한 연구:아날로그와 디 지털 소통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