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논리 = The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vised 7th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4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의 실제를 검토하고 있다. 2007년판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논리를 분석하였다. 뱅크스는 다문화교육의 접근 방식을 기여적인 접근법, 부가적인 접근법, 전환적인 접근법 그리고 사회 행동 접근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대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운영 방식은 부가적인 접근법을 보이고 있다. 학년별 교육내용의 상세화 결과를 보자면, 전환적인 접근법과 사회행동 접근법이 시도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면적으로 재구성되어 있지는 않고, 부가적인 접근법에서 전환적인 접근법으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적 상태로 판단되어진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의 실제를 검토하고 있다. 2007년판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논...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의 실제를 검토하고 있다. 2007년판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논리를 분석하였다. 뱅크스는 다문화교육의 접근 방식을 기여적인 접근법, 부가적인 접근법, 전환적인 접근법 그리고 사회 행동 접근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대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와 운영 방식은 부가적인 접근법을 보이고 있다. 학년별 교육내용의 상세화 결과를 보자면, 전환적인 접근법과 사회행동 접근법이 시도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면적으로 재구성되어 있지는 않고, 부가적인 접근법에서 전환적인 접근법으로 이행하기 위한 과도기적 상태로 판단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log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James A. Banks proposed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ontribution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ative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In revised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ntention of revis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show the contribution approach. Transformative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present in the specification process of educational content. The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revised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a transitional state in the move from additive approach to transformative approach.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log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James A. Banks proposed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ontribution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ative approach, and s...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log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James A. Banks proposed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contribution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ative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In revised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ntention of revis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show the contribution approach. Transformative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present in the specification process of educational content. The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revised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a transitional state in the move from additive approach to transformative approa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도덕, 국어, 사회" 한솔사 2008

      2 남호엽, "시민성의 공간과 정체성 교육의 논리" (6) : 135-146, 2004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사회과교육과정」"

      4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젨젨젨젨젨젨젨 Inquiring, Valuing and Decision-Making" Addison-Wesley젨젨젨젨젨젨젨 Publishing Company 1977

      5 Banks, J.,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 and젨젨젨젨젨?practice in : Handbook of젨젨젨젨젨젨젨?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3-29, 2004b

      6 Tiedt, P. L., "Multicultural Teaching: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 Pearson 2005

      7 Gollnick, D. M.,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Pearson 2006

      8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2004a

      9 Banks, J. A., "Approach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 in :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젨젨젨젨젨젨젨젨젨젨?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247-269, 2007

      1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도덕, 국어, 사회" 한솔사 2008

      2 남호엽, "시민성의 공간과 정체성 교육의 논리" (6) : 135-146, 2004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개정 사회과교육과정」"

      4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젨젨젨젨젨젨젨 Inquiring, Valuing and Decision-Making" Addison-Wesley젨젨젨젨젨젨젨 Publishing Company 1977

      5 Banks, J.,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 and젨젨젨젨젨?practice in : Handbook of젨젨젨젨젨젨젨?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3-29, 2004b

      6 Tiedt, P. L., "Multicultural Teaching: A Handbook of Activities, Information, and Resources" Pearson 2005

      7 Gollnick, D. M.,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Pearson 2006

      8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San Francisco" John?????????? Wiley & Sons 2004a

      9 Banks, J. A., "Approach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 in :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젨젨젨젨젨젨젨젨젨젨?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247-269, 2007

      1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1 2.43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