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 송시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그를 개혁(改革)변통(變通)의 관점에서 다룬 것은 아직 많지 않다. 송시열은 개혁이나 경장(更張)보다는 변통이라는 용어를 선호했는데 이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근래 송시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그를 개혁(改革)변통(變通)의 관점에서 다룬 것은 아직 많지 않다. 송시열은 개혁이나 경장(更張)보다는 변통이라는 용어를 선호했는데 이는 ...
근래 송시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그를 개혁(改革)변통(變通)의 관점에서 다룬 것은 아직 많지 않다. 송시열은 개혁이나 경장(更張)보다는 변통이라는 용어를 선호했는데 이는 변혁의 목적이 소통에 있다는 것과 변통의 목적은 이익의 극대화이며, 변통이 곧 성현의 사업이라는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사업에 있어서 제일의(第一義)의 확립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시의(時宜)를 살핀다. 그는 특권층의 이원(利源)을 폐지하는 일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일 등 이미 긍정적 기능을 상실한 많은 제도 법 등에 대한 변통안을 주청하고 이를 책임있게 시행하고 또 주도하였다. 그러나 그가 주도하거나 시행한 사업은 대부분 유속(流俗)에 의하여 상당한 저항과 제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그는 일이 성공을 거두지 못한 원인에 대하여 때로는 왕이 사심(私心)을 극복하지 못하여서라거나 과단성의 부족 등으로 솔선수범하지 못함을 지적하기도 하였고, 대신들이 이서(吏胥)들과 연결되어 변통에 소극적인 탓도 있지만, 이해관계에 밀접한 이서(吏胥)들의 반대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그는 아전 서리배들이 세상을 좀먹는 가장 큰 화단이라고 하였다. 또한 속론의 폐단과 이해당사자들이 지어내는 와언(訛言) 거짓말을 지적한다. 개혁과 변통은 그 방향의 옳고 그름과 무관하게 기존의 이해(利害) 관련 집단으로부터 찬반을 넘어서 심각한 위해(危害)와 저지(沮止)를 초래한다. 송시열은 오래 동안 각종 이해당사자들과 정면으로 부딪히는 최전면에 있었기에 그의 학문 및 사업과 관련한 평가의 편차가 넓다. 집단의 호오(好惡)를 떠나 그의 영향력이 이후 조선조 말기까지 근 300년간 지속되었다고 하는 객관적 사실은 개혁성과 진실성에 대한 깊고 폭넓은 지지 때문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지도자가 사사로움을 잊고 공의(公義)를 위해 봉사(奉仕)한다면 우레가 울고 번개가 치고 바람 불고 비 내리듯 조야 상하가 크게 부응하게 된다”라는 간언(諫言)에서 호응 없는 외로운 외침으로는 변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을 볼 수 있다. 이해당사자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그들의 이해와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변통이 성공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D. Eikemeier, "회덕향약의 성격에 대하여"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2 곽신환, "주역의 變通과 개혁사상" 한국유교학회 29 : 2007
3 이동인, "율곡의 인권사상"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율곡학연구소 1 : 2005
4 강정인, "율곡 이이의 경장론과 개념의 혁신;대동소강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율곡학연구소 1 : 2005
5 이남영, "우암의 철학사상" 충남대학교 송자학연구재단 1994
6 조종업, "송자학의 과거와 현재"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7 고영진, "송시열의 사회개혁사상" 역사문화연구소 18 : 2003
8 최근덕, "송시열선생의 유학사적 지위"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9 심성섭, "尤庵 宋時烈의 經濟思想"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1 D. Eikemeier, "회덕향약의 성격에 대하여"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2 곽신환, "주역의 變通과 개혁사상" 한국유교학회 29 : 2007
3 이동인, "율곡의 인권사상"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율곡학연구소 1 : 2005
4 강정인, "율곡 이이의 경장론과 개념의 혁신;대동소강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율곡학연구소 1 : 2005
5 이남영, "우암의 철학사상" 충남대학교 송자학연구재단 1994
6 조종업, "송자학의 과거와 현재"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7 고영진, "송시열의 사회개혁사상" 역사문화연구소 18 : 2003
8 최근덕, "송시열선생의 유학사적 지위"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9 심성섭, "尤庵 宋時烈의 經濟思想" 충남대학교송자학연구재단 1994
『周易』과 『易象』 — 『周易』의 象 思惟와 取象의 철학적 解釋을 중심으로 —
현대사회와 유교의 사회적 덕목 — 충서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5-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3 | 1.43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