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아정체성 혼돈을 경험하는 미주 한인 2세를 위한 치유목회의 실천적 제안 = A Practical Proposal of Healing Ministry for the Secon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in Identity Conf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5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미주 한인 2세들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를 실천적이며 실제적인 논문을 통해 깊이 있게 상고하고자 시도하였다. 미주 한인 2세들은 중심으로부터 멀어진 주변성이라는 독특한 형태...

      필자는 미주 한인 2세들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를 실천적이며 실제적인 논문을 통해 깊이 있게 상고하고자 시도하였다. 미주 한인 2세들은 중심으로부터 멀어진 주변성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현실로 고통 당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고통을 경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치유를 위한 다섯 단계의 절차를 소개하였다. 특히 미주 한인 사회의 특성상 돌봄 목회는 치유의 관점에서 해석되고 바라보지 않으면 안 되기에 이상현 박사의 주변성이라는 개념과 이인숙 박사의 여성 정체성에 대한 단계들을 토대로 미주 한인 2세를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목회상담가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이론적이기 보다는 실제적이며 보다 경험에 입각한 연구이다. 실천적 차원에서 필자는 목회신학의 세계관을 가족체계이론의 입장에서 재해석하였고,, 더 나아가 기독공동체를 위한 기독교적 방식의 실천적 제안을 소개하였다. 이 논문의 지면적 한계 때문에 실제 상담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치유의 다섯 단계가 모두 실천적이며 실제적이기 때문에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미주 한인 2세들을 목회상담의 세계관과 가족체계이론에 기초하여 어떻게 치유를 경험시킬 것인가에 대한 분명한 그림들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ractical and actual paper, I will try to ponder over how we can help th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to get healing. It is because most of th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suffer from identity confusion derived from their reality...

      In this practical and actual paper, I will try to ponder over how we can help th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to get healing. It is because most of the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suffer from identity confusion derived from their reality, that is, liminality, a form of marginality. In this regard, I propose five healing stages. I believe that caring ministry in the Korean-American context will be deepened when it is seen by eyes of healing approaches. Based on Dr. Sang Hyun Lee`s ideas on liminality and Dr. Inn Sook Lee`s stages for women`s identity, I, as a pastoral counselor, consider how I can help the second generation in crises to receive healing. My proposal is thus practical and empirical rather than theoretical. For I want to propose a palpable way of healing. For practical suggestions, I will use family systems theory by means of the Weltanschauung of pastoral theology. Consequently five healing stages are very Christian, for I propose the stages for the Christian community. Furthermore,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how the method itself might be activated in real situations. Rather I have tried to present palpable illustrations of the healing ministry based on family systems theory and the Weltanschauung of pastoral counseling for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in identity conf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