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이다. 연구 자는 성서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이전에 선행 연구된 성서교육을 지적인 접 근으로서의 성서교육,...

      본 글은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이다. 연구 자는 성서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이전에 선행 연구된 성서교육을 지적인 접 근으로서의 성서교육, 정서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행위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방법으로 분류한다. 세 영역의 성서교육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적·간학문적·분리를 극복하는 성서교육의 접근방법, 다양한 삶의 현장의 인식, 해석의 주체 등의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지적, 정서적, 행위적 성서교육으로 분류하고 연구한다. 첫째, 지적 성서 교육 방법은 해석학적 성서교육이다. 해석학적 성서교육은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텍 스트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성찰하고, 비평하며, 해석한다. 현장과 성서의 변증법적 해석은 하나님의 온전한 뜻을 실천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둘째,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은 성서의 시각적 읽기이다. 성서 본문과 본문을 시각화한 성서-이미지가 교차적으로 작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차원의 성서교육이 다. 마지막으로 행위적 성서교육 방법은 몸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이 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 이야기로 들어가서 성서 본문을 온몸으로 경험하고, 느끼고, 응답하는 성서교육이다. 성서 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 번째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위한 통합적인 성서연구 접근, 간학문적인 접근, 분리 를 극복하는 접근 등을 제언한다. 두 번째는 성서의 현장, 성서 교육의 현장, 참가자 의 삶의 현장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하여 제언한다. 마지막으 로 성서교육에 참여하는 참가자는 ‘해석의 주체’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계 시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로 하나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해석의 주체로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 article suggests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the methods that have been used for biblical education. Based on a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biblical education, I determine that biblical education has had th...

      his article suggests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the methods that have been used for biblical education. Based on a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biblical education, I determine that biblical education has had three main approach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fter reflecting on the various methods that go with these approaches, I propose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in the three perspectiv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 explain the three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and their methods. First, the cognitive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uses a hermeneutical method. This method entails reflecting on, criticizing, and interpreting God's desire and will as these are indicated in the biblical text and then applying one’s conclusions within the present context of one’s life. The dialect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ext and the Bible leads one to practice God's will in the whole of one’s life. The second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is an affective one that engages in a visualized reading of the Bible. This approach enables people to perceive God's desire and will through a sensitive and intuitive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visualized images of it. Third, the behavioral approach utilizes people’s whole bodies in Bibliodrama. In this way, it guides individuals to enter into biblical stories. In addition,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and to feel the biblical text and to respond to their lives with their whole bodies. In the third part of this article, I propose three perspectives for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based on my reflections on the three types of biblical education. The first holistic approach includes an integrated Bible stud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 perspective to overcome separation. The second approach guides people to recognize various forms of diversity through the various contexts within the biblical text, biblical teaching,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The final approach suggests that participants in biblical education become th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s practical theologians who interpret and practice God's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
      • 1. 지적인 성서교육 방법: 해석학적 성서교육
      • 2.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성서의 시각적 읽기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
      • 1. 지적인 성서교육 방법: 해석학적 성서교육
      • 2.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성서의 시각적 읽기
      • 3. 행위적 성서교육 방법: 몸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
      • III.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
      • 1. 통전적인 성서교육의 접근에 대한 고찰
      • 2. 통전적인 성서교육의 현장에 대한 제언
      • 3. 통전적인 성서교육의 주체에 대한 제언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근조, "한국적 성서해석학과 성서교육"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7) : 215-247, 2007

      2 김혜정, "한국선교의 재고(再考)를 위한 고찰: 신학적 상황화와 성육신적 동일화 선교" 세계선교연구원 (48) : 143-178, 2019

      3 강아람, "하나님의 선교관점에서 본 상생과 공존" 세계선교연구원 (48) : 11-41, 2019

      4 손원영, "프락시스와 기독교교육과정" 대한기독교서회 2001

      5 김은혜, "포스트 바디시대에 대한 신학적 응답: 성육신적 몸(body)과 신체(flesh)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68) : 759-784, 2020

      6 황헌영, "통합적 기독상담모형으로서 비블리오드라마" 한국실천신학회 (67) : 319-345, 2019

      7 고원석, "잉고 발더만의 성서 교수학"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3) : 1-27, 2014

      8 양금희, "이야기·예술·기독교교육" 장로교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9 이금만, "영성교육의 성서적 토대에 관한 연구: 복음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3) : 35-63, 2006

      10 왕대일, "신학교육 속의 성서학-그 진단과 처방"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2) : 7-30, 2009

      1 안근조, "한국적 성서해석학과 성서교육"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7) : 215-247, 2007

      2 김혜정, "한국선교의 재고(再考)를 위한 고찰: 신학적 상황화와 성육신적 동일화 선교" 세계선교연구원 (48) : 143-178, 2019

      3 강아람, "하나님의 선교관점에서 본 상생과 공존" 세계선교연구원 (48) : 11-41, 2019

      4 손원영, "프락시스와 기독교교육과정" 대한기독교서회 2001

      5 김은혜, "포스트 바디시대에 대한 신학적 응답: 성육신적 몸(body)과 신체(flesh)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68) : 759-784, 2020

      6 황헌영, "통합적 기독상담모형으로서 비블리오드라마" 한국실천신학회 (67) : 319-345, 2019

      7 고원석, "잉고 발더만의 성서 교수학"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3) : 1-27, 2014

      8 양금희, "이야기·예술·기독교교육" 장로교신학대학교 출판부 2012

      9 이금만, "영성교육의 성서적 토대에 관한 연구: 복음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13) : 35-63, 2006

      10 왕대일, "신학교육 속의 성서학-그 진단과 처방"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2) : 7-30, 2009

      11 오스머 리차드 R, "신앙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한국장로교출판사 2014

      12 윤화석, "소통과 공감에 기초한 교회교육적 접근: 교회교육에서의 비블리오 드라마"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73-100, 2015

      13 김학철, "성서의 시각적 읽기 -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성서교육 방법론" 한국대학선교학회 (31) : 41-72, 2016

      14 헨드릭스 하워드, "삶을 변화시키는 성경연구: 귀납적 개인 성경연구 가이드북" 도서출판 디모데 2010

      15 김희영,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를 통한 역동적인 성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1 (11): 59-80, 2008

      16 마르틴 게르하르트 마르셀, "몸으로 읽는 성서 : 비블리오드라마" 라피스 2010

      17 소태영, "렘브란트, 성서를 가르치다: 렘브란트의 문학비평적 성서해석과 드라마틱한 성서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6) : 167-204, 2016

      18 윤덕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성서교육의 방법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성서의 이해』 사례를 중심으로 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52) : 133-162, 2017

      19 신승범, "다문화사회와 기독교교육-성서이야기를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가능성 모색"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3) : 185-208, 2014

      20 천사무엘, "다문화 사회 기독교 학교의 성서교육"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65 : 255-276, 2011

      21 그룸 토마스 H, "기독교적 종교교육"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22 최요한, "기독교세계관 형성을 위한 성서연구 프로그램" 한국실천신학회 (61) : 563-593, 2018

      23 잭 L. 세이모어, "기독교교육의 지도그리기"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24 고원석,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접근: 비블리오드라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8) : 1-31, 2016

      25 이금만, "기독교교육에서 해석학적 성서공부의 통전성 모색" 한국기독교학회 (31) : 451-476, 2004

      26 이은경, "구성주의와 요체화를 통한 통전적 성서학습모형 탐구 ― RPP(Religionspädagogische Praxis) 교육방법에 따른 청소년 수련회 모형을 중심으로" 한신신학연구소 51 (51): 212-241, 2014

      27 함영주, "교회학교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PBL)을 활용한 성경교수 실행모형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6) : 351-381, 2019

      28 우택주, "교회 갱신을 위한 성서교육: 분석과 제안" 한국구약학회 25 (25): 174-201, 2019

      29 손원영, "“예술과 말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3) : 153-183, 2014

      30 Bracke, John M, "Teaching the Bible in the Church" Chalice Press 2003

      31 Groome, Thomas H,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Harper Colins 1980

      32 남성혁, "Biblical Paradigms of Christian Conversion: Encounter and Process Conversion" 세계선교연구원 (48) : 179-216, 2019

      33 신현광, "A Research on Theolog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한국실천신학회 (65) : 213-242, 2019

      34 차정식, "21세기 성서교육과 육하원칙의 재구성"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0) : 39-5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