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65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존 볼비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어린 시절 돌봄을 제공해 준 중요한 인물, 특히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향후 개인의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 구체 적으로 어떠한 상관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상관성에 내포된 목회신학적 함의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인간의 관계경험, 특히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경험은 내담자 혹은 교인이 견지하고 있는 하나님 표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는 가장 중요한 대상인 부모 표상을 이용하여 하나님 표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부모 와의 긍정적인 관계경험을 통해 안정애착을 형성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긍정적이고 안정적일 수 있으나,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부정적이어서 안정애착에 실패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모습일 수 있다. 부모와의 안정애착에 실패한 자 녀는 다른 원천들을 통해 안정애착을 추구하려 한다. 따라서 일종의 ‘영적인 가족’으로 비유되는 교회공동체는 부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가진 채 불안정한 애착유형으로 살아가고 있는 교인들을 위해, 그들 내면의 내적작동 모델과 하나님 표상을 건강하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가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크게 세 가지 사항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우 선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중간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상처와 아픔 을 가진 교인들에게 안전하고 수용적인 치유의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함을 강조하였 다. 다음으로, ‘영적인 부모’로서의 상징성을 지닌 목회자가 교인들에 대해 민감성과 수용성, 협력성과 높은 정서적 접근성으로 반응해줌으로서, 건강한 ‘모성적 돌봄’의 제 공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함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구성 원들의 내면을 온전케 하는 치유의 공동체로서 보다 잘 기능하기 위해, 신학적 관점 이 기존의 죄책감의 신학에서 수치심의 신학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존 볼비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어린 시절 돌봄을 제공해 준 중요한 인물, 특...

      본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존 볼비의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어린 시절 돌봄을 제공해 준 중요한 인물, 특히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향후 개인의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 구체 적으로 어떠한 상관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상관성에 내포된 목회신학적 함의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인간의 관계경험, 특히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경험은 내담자 혹은 교인이 견지하고 있는 하나님 표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는 가장 중요한 대상인 부모 표상을 이용하여 하나님 표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부모 와의 긍정적인 관계경험을 통해 안정애착을 형성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긍정적이고 안정적일 수 있으나, 부모와의 관계경험이 부정적이어서 안정애착에 실패한 사람은 하나님 표상도 부정적이고 불안정한 모습일 수 있다. 부모와의 안정애착에 실패한 자 녀는 다른 원천들을 통해 안정애착을 추구하려 한다. 따라서 일종의 ‘영적인 가족’으로 비유되는 교회공동체는 부정적인 하나님 표상을 가진 채 불안정한 애착유형으로 살아가고 있는 교인들을 위해, 그들 내면의 내적작동 모델과 하나님 표상을 건강하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가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크게 세 가지 사항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우 선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중간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상처와 아픔 을 가진 교인들에게 안전하고 수용적인 치유의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함을 강조하였 다. 다음으로, ‘영적인 부모’로서의 상징성을 지닌 목회자가 교인들에 대해 민감성과 수용성, 협력성과 높은 정서적 접근성으로 반응해줌으로서, 건강한 ‘모성적 돌봄’의 제 공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해야 함을 피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교회공동체가 구성 원들의 내면을 온전케 하는 치유의 공동체로서 보다 잘 기능하기 위해, 신학적 관점 이 기존의 죄책감의 신학에서 수치심의 신학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It is investigated pastoral theologicall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primary care giver in early childhood, especially the parent,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Child shapes the God representation by means of the parent representation. Person who had formed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due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stable and positive God representation. But person who had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on accoun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unstable and negative God representation. The child who has failed to form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would seek it through other sources. Generally, the church community is likened to a ‘spiritual family.’ Church community as a spiritual family should provide healthy ‘mothering-care’ for the church members who have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and live with negative God representation. With this healthy ‘mothering-care,’ the church members can modify their own ‘internal working model’ and God representation positively.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eed of the role of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a secure, receptive and healing place. And then, it is emphasized the need of the role of pastor as a healthy ‘mothering care giver.’ Pastor with the symbol as a ‘spiritual paren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the sensitive, receptive, cooperative and highly accessible ‘mothering care.’ Finally,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functioning of church community as a healing group, it is proposed the need of the transition of the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guilty theology to the shame theology.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It is investigated pastoral theologicall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wi...

      This paper is a pastoral theolog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It is investigated pastoral theologicall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experience with the primary care giver in early childhood, especially the parent,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and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Child shapes the God representation by means of the parent representation. Person who had formed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due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stable and positive God representation. But person who had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on account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his parent would have formed the unstable and negative God representation. The child who has failed to form the stable attachment pattern would seek it through other sources. Generally, the church community is likened to a ‘spiritual family.’ Church community as a spiritual family should provide healthy ‘mothering-care’ for the church members who have formed the unstable attachment pattern and live with negative God representation. With this healthy ‘mothering-care,’ the church members can modify their own ‘internal working model’ and God representation positively. As a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need of the role of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hurch community as a ‘transitional objec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a secure, receptive and healing place. And then, it is emphasized the need of the role of pastor as a healthy ‘mothering care giver.’ Pastor with the symbol as a ‘spiritual parent’ can provide the members with the sensitive, receptive, cooperative and highly accessible ‘mothering care.’ Finally, to achieve the more effective functioning of church community as a healing group, it is proposed the need of the transition of the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guilty theology to the shame the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문제제기와 선행연구
      • II.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 1.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과 내적작동모델
      • 2. 상응 가설 vs. 보상 가설
      • 초록
      • I. 들어가는 말: 문제제기와 선행연구
      • II.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 1. 존 볼비(John Bowlby)의 애착이론과 내적작동모델
      • 2. 상응 가설 vs. 보상 가설
      • 3. 모성적 돌봄과 하나님 표상
      • III. 부모와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표상 형성에 관한 목회신학적 고찰
      • 1. ‘중간대상’으로서의 교회공동체
      • 2. ‘모성적 돌봄’으로서의 목회사역
      • 3. 하나님 표상과 수치심의 신학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신환, "효과적 기독교상담의 상담관계: 애착의 관점에서" 한국실천신학회 (62) : 293-314, 2018

      2 임정아,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심리학적·신학적 고찰 및 목회적 돌봄의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32 : 263-295, 2019

      3 김태형, "하나님의 현존 경험의 가능성을 돕는 영성적 관점의 목회상담 - 위니캇의 중간 대상과 홀로 있음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351-376, 2018

      4 함영주, "청년이 인지한 아동기 부모-자녀 애착이 인성 및 영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천신학회 (53) : 551-580, 2017

      5 제임스 윌리엄,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005

      6 김수임, "존볼비의 안전기지: 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학지사 2014

      7 세인트 클레어 마이클,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8 마론 마리오, "애착이론과 심리치료" 시그마프레스 2005

      9 월린 데이비드, "애착과 심리치료" 학지사 2010

      10 우선옥, "알코올중독의 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 도널드 위니캇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46) : 313-334, 2015

      1 반신환, "효과적 기독교상담의 상담관계: 애착의 관점에서" 한국실천신학회 (62) : 293-314, 2018

      2 임정아,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심리학적·신학적 고찰 및 목회적 돌봄의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32 : 263-295, 2019

      3 김태형, "하나님의 현존 경험의 가능성을 돕는 영성적 관점의 목회상담 - 위니캇의 중간 대상과 홀로 있음의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351-376, 2018

      4 함영주, "청년이 인지한 아동기 부모-자녀 애착이 인성 및 영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천신학회 (53) : 551-580, 2017

      5 제임스 윌리엄,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005

      6 김수임, "존볼비의 안전기지: 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학지사 2014

      7 세인트 클레어 마이클, "인간의 관계경험과 하나님 경험"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8 마론 마리오, "애착이론과 심리치료" 시그마프레스 2005

      9 월린 데이비드, "애착과 심리치료" 학지사 2010

      10 우선옥, "알코올중독의 문제와 그 극복의 방안- 도널드 위니캇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46) : 313-334, 2015

      11 이해리, "심리치료에서의 종교와 하나님표상에의 접근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5 (5): 1293-1310, 2004

      12 조윤영, "신앙성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앙경력, 부모애착, 하나님 이미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7) : 293-319, 2015

      13 위니캇 도널드,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14 리주토 애너 마리아, "살아있는 신의 탄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15 프로이트 지그문트,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2003

      16 현상규, "목회상담에서 내적작동모델의 위치" 한국목회상담학회 24 : 231-267, 2015

      17 조윤옥, "대학 신입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개념 명료성의 상관성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1) : 309-342, 2012

      18 세인트 클레어 마이클,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4

      19 고범서, "解放神學論爭" 범화사 1985

      20 De Ross, Simone A, "Young Children’s God Concepts: Influences of Attachment and Religious Socialization in a Family and School Context" 101 (101): 84-103, 2006

      21 Park, Andrew Sung, "The wounded heart of God" Abingdon press 1993

      22 TenElshof, J. K, "The Role of Secure Attachment in Predicting Spiritual Maturity of Students at a Conservative Seminary" 28 : 99-108, 2000

      23 Beth F. Brokaw, "The Relationship of God Image to Level of Object Relations Development" 22 : 352-371, 1994

      24 Bowlby, John,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39 : 350-373, 1958

      25 Capps, Donald, "The Depleted Self" Fortress Press 1993

      26 Granqvist, P, "Religiosity, Adult Attachment, and Why "Singles" are More Religious" 10 : 111-123, 2000

      27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Tavistock Publications 1971

      28 Capps, Donald, "Life Cycle Theory and Pastoral Care" Fortress Press 1983

      29 Ainsworth, M. D. S, "Determinants of Infant Behavior, vol. 4" Methuen 113-136, 1969

      30 Robert, Karen, "Becoming Attach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1 Kirkpatrick, L. A, "Attachment Theory and Religion: Childhood Attachments, Religious Beliefs, and Conversion" 29 : 315-334, 1990

      32 Hall, Todd W, "An Empirical Exploration of Psychoanalysis and Religion: Spiritual Maturity and Object Relations Development" 37 : 303-313, 1998

      33 Kirkpatrick, L. A, "An Attachment-Theory Approach to The Psychology of Religion" 2 : 3-28,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