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리 이삭의 소수 위치에 따른 까락과 낟알의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04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쌀보리의 이삭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쌀보리의 품종을 공시하여 소수위치에 따른 망의 길이와 무게, 입중 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삭...

      쌀보리의 이삭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쌀보리의 품종을 공시하여 소수위치에 따른 망의 길이와 무게, 입중 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삭의 정단부로부터 3∼5번째 소수가 망장 및 망중의 평균치와, 2∼4번째 소수가 입중의 평균치와 각각 일치하였다. 2. 이삭의 기부로부터 3∼4번째 소수의 망이 가장 길고 무거웠으며 5∼6번째 소수의 입중이 가장 무거웠다. 3. 측열 소수는 중앙열 소수에 비하여 망장은 13∼26%, 망중은 26∼41%, 입중은 18∼25% 적은 값을 보였다. nami형 품종은 uzu형 품종에 비하여 중앙열과 측열간 망장, 망중 차이가 적었다. 4. 망중/망장 비로 볼 때 uzu형 품종은 nami형 품종보다, 그리고 중앙열은 측열보다 망이 더 굵었다. 5. 이삭을 3등분하였을 때 망장, 망중은 하부와 중앙부 차이가 없었으나 상부보다는 길고 무거웠다. 입중은 상부가 항상 가벼웠고 중앙부는 하부보다 무겁거나 같았다. 6. 망중이 무거운 소술일수록 입중이 무거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characteristics of naked barley cultivars, awn length and weight, kernel weight along spikelet positions of some cultivars br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Awn length and weight of third to fifth spikelet, and kernel we...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characteristics of naked barley cultivars, awn length and weight, kernel weight along spikelet positions of some cultivars br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Awn length and weight of third to fifth spikelet, and kernel weight of second to fourth spikelet from spike tip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mean value for total of spike. From the spike base, awn of third to fourth spikelet was longest and heaviest, and kernel weight of fifth to sixth spikelet was heaviest. Value for awn length, awn weight, and kernel weight of lateral row florets was lower 13 to 26%, 26 to 41%, and 18 to 25%, respectively than one for those of central row floret. Difference for awn length and weight between central and lateral row in nami type cultivars compared to uzu type cultivars was small. In the ratio of weight/length of awn, awn of uzu type cultivars was thicker than that of nami type cultivars, and awn of central row was thicker than those of lateral rows. Kernel weight was linearly related to awn weight. When one spik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wn length and weight of low part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entral part, but were longer and heavier than those of upper part. The order of kernel weight was central~geq low>upper par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