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송강가사의 선본 재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95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현전하는 송강가사의 세 판본을 비교하여 그 선본을 재고하였다. 송강가사의 판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지만, 판본 간의 관계 및 선본에 대한 의식은 여전히 명확하...

      본고에서는 현전하는 송강가사의 세 판본을 비교하여 그 선본을 재고하였다. 송강가사의 판본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지만, 판본 간의 관계 및 선본에 대한 의식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학적 측면과 문학적 측면의 양 방면에서 세 판본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시대적 선후 관계 및 문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에 앞서 판본들의 발문을 비교하여 선본에 대한 간행자들의 의식을 파악하고 그간 잘못 알려졌던 영인본의 오류도 교정하였다. 어학적 측면에서 볼 때 시기적으로 빠른 면모를 보이는 것은 ‘이선본’이다. 본고에서는 ‘이선본’을 성주본 및 관서본과 비교하여 실제로 ‘이선본’이 나머지 두 판본에 비해 어학적으로 더 고형을 지님을 밝혔다. 성주본과 관서본에서는 구개음화와 원순모음화 등의 음운 규칙, 그리고 분철과 혼철 등의 표기법을 더 자주 사용하여 후대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학적 측면에서 볼 때도 ‘이선본’은 성주본에 비해 더 의미가 있다. 구절이나 행뿐 아니라 단어나 형태소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서도 ‘이선본’은 내용적․형식적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면모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 검증한 것처럼 어학적 측면에서 ‘이선본’이 고형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이선본’이 현전하는 세 판본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본이며, 관서본의 모본이 된 관북본 혹은 의성본으로 이것을 볼 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점을 말해준다. 또한 ‘이선본’은 문학적 측면에서도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성주본에 비해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이선본’이 지니고 있는 선본으로서의 가치는 보다 더 확고히 정립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est version of Songgang kasa. The existing three wood block-printed versions of Songgang kasa have been studied earlier on, but it is yet to be clear which version is the best and how the versions affected one another. In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est version of Songgang kasa. The existing three wood block-printed versions of Songgang kasa have been studied earlier on, but it is yet to be clear which version is the best and how the versions affected one another.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versions from the linguistic and literary points of view. I also compared the postscripts of the versions and the compilers' ideas and corrected mistakes in the most well-known facsimile edition of the original. The version of Yi Seon is the earliest one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I compared this version with the version of Seongju as well as the version of Kwanseo, and I verified the version of Yi Seon contains older linguistic forms. Both the versions of Seongju and Kwanseo present later linguistic forms such as palatalization, vowel rounding, and syllabication. The version of Yi Seon also has some greater significance in the light of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It contains more natural forms and contents in phrases, words, and even in morphemes. Considering the linguistic and literary features a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version of Yi Seon is the earliest and best among the three existing versions. It also contains higher possibility to be the primary version of Kwanseo, that is the version of Kwanbuk or the version of Uiseong; none of them exists today. Thus, the authority of the version of Yi Seon should be more clearly establish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발문 비교와 영인본의 오류 검토
      • 3. 어학적 비교
      • 4. 문학적 비교
      • 국문초록
      • 1. 서론
      • 2. 발문 비교와 영인본의 오류 검토
      • 3. 어학적 비교
      • 4. 문학적 비교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윤덕진, "조선조 長歌 가사의 연원과 맥락" 보고사 2008

      3 김형주, "우리말 발달사" 세종출판사 1996

      4 "송강가사"

      5 김갑기, "송강가사"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6 박성의, "송강가사" 정음사 1958

      7 정재호, "송강가사" 신구문화사 2005

      8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4

      9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10 이병기, "松江歌辭의 硏究(其一)" 4 : 1936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윤덕진, "조선조 長歌 가사의 연원과 맥락" 보고사 2008

      3 김형주, "우리말 발달사" 세종출판사 1996

      4 "송강가사"

      5 김갑기, "송강가사"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6 박성의, "송강가사" 정음사 1958

      7 정재호, "송강가사" 신구문화사 2005

      8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4

      9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10 이병기, "松江歌辭의 硏究(其一)" 4 : 1936

      11 김사엽, "松江歌辭 新考" 2 : 1958

      12 방종현, "松江歌辭" 正音社 1948

      13 김문기, "松江․蘆溪․孤山의 歌集 板本 및 冊版 硏究" 국어교육연구회 21 : 1989

      14 "『송강가사』 성주본"

      15 "『송강가사』 관서본"

      16 "21세기 세종계획 최종 성과물"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17 "(일사․가람문고) 고서저자목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