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험중심교육 숲밧줄놀이의 원리와 실천 =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erience-based Education 'Forest-Rope-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0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based on direct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Theoretical research aims at the sharing, systematization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field.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research again applies the results of theoretical research to the field to verify the realistic feasibility of theoretical research, and again aims to improve the reality. Therefore, firstl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ories of experiential pedagogy were derived from the academic basis of forest rope play. On the other h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by incorporating the principle into the field. In this study, 'site' is not designed specifically for research, but is actually a live site, a site where forest rope play is being carried out.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outdoor education The concept of outdoor education also means a variety of experiential education in nature.

      in Korea based on history and theory also means various experiential education in nature.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on risk education all confirmed that it was derived from Kurt Hahn's experiential therapy, the father of German experiential education. Expressing his affec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growing generation through the anthropological belief that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role of treatment, Hahn formulated educational prescriptions for the growing gene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anthropological education method w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overcomes the weakness of physical function, improves self-directedness, spontaneity, attentiveness, attention, and fosters altruism and compassion. This prescription later became the root of experiential pedagogy. Since then, it was the United States that developed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experience therapy. Combined with Dewy's experiential learning principles and the spread of Outbound Bou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theory was laid. Then, through Kolb's experiential learning cycle, Luckner & Nadler's Stretch Zone theory, and Priest & Gass' structural classification and methods of experiential education, experiential pedagogy has grown into a theory that internalizes experience into experience and reconnects with life. As a principle of experiential pedagogy,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according to experience was presented.
      Second, the theory and model of forest rope play were constructed by applying experiential pedagogy. The principle of forest rope play cover physical, leisure, educational and ecological dimension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forest rope play model recognizes one's body and participates and rea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environment through a play experience that utilizes ropes and knots, which are natural and human cultural heritage. Ultimately, we will improve the lives of ourselves and our surrounding society by internalizing our experiences.
      Third, as a practical study, we reconfirmed the existing experiences and principles and models extracted from the above theory in the field, and tried to improve theoretical alternatives and reality through field discussions.
      In the first general experience site, the utility of the theory was repeatedly confirmed through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and other special values were also sought.
      In the second field, the curriculum was examined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the curriculu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forest rope play, and the upper level master course was discussed.
      The “School of Love,” the third field of experience for youth, aimed to derive differences from general sit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n the basis of improved experience guidance. The course of study was in the order of the site.
      First, additional factors were observed in addition to educational, physical, leisure, and ecological growth factors suggested as memberships through free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This led to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mponents of forest rope play in the future.
      Second, through discussions with participants, the foundation of the master cours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leader process and the application of membership and method of forest rope play.
      Third,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confirmed that the approach of the study with the leading youth as a participant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articipant, and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factor should include the factor of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is study examined experiential pedagogy, the academic foundation of forest rope play, and suggested the model and principle of forest rope pla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ry structurally supports the fiel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field applying the forest-rope-play theor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application of the theo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but the theory could be analyzed through the theory, and the site c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sharing of the sit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theory.
      Third, the models and theories of forest-rope-play were most clearly observed in the free infant field. Therefore,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forest rope play related to the growth of infants was confirmed. We also found additional values that could be a component of forest rope play. Based on this, I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vision and extension of forest rope play theory.
      번역하기

      This study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based on direct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Theoretical research aims at the sharing, systematization and development of pract...

      This study consisted of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based on direct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iscussion in the field. Theoretical research aims at the sharing, systematization and development of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field.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research again applies the results of theoretical research to the field to verify the realistic feasibility of theoretical research, and again aims to improve the reality. Therefore, firstl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ories of experiential pedagogy were derived from the academic basis of forest rope play. On the other hand, the validity was confirmed by incorporating the principle into the field. In this study, 'site' is not designed specifically for research, but is actually a live site, a site where forest rope play is being carried out.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outdoor education The concept of outdoor education also means a variety of experiential education in nature.

      in Korea based on history and theory also means various experiential education in nature.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on risk education all confirmed that it was derived from Kurt Hahn's experiential therapy, the father of German experiential education. Expressing his affec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growing generation through the anthropological belief that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role of treatment, Hahn formulated educational prescriptions for the growing gene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anthropological education method w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overcomes the weakness of physical function, improves self-directedness, spontaneity, attentiveness, attention, and fosters altruism and compassion. This prescription later became the root of experiential pedagogy. Since then, it was the United States that developed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experience therapy. Combined with Dewy's experiential learning principles and the spread of Outbound Bound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structural foundation of the theory was laid. Then, through Kolb's experiential learning cycle, Luckner & Nadler's Stretch Zone theory, and Priest & Gass' structural classification and methods of experiential education, experiential pedagogy has grown into a theory that internalizes experience into experience and reconnects with life. As a principle of experiential pedagogy,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according to experience was presented.
      Second, the theory and model of forest rope play were constructed by applying experiential pedagogy. The principle of forest rope play cover physical, leisure, educational and ecological dimension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forest rope play model recognizes one's body and participates and rea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environment through a play experience that utilizes ropes and knots, which are natural and human cultural heritage. Ultimately, we will improve the lives of ourselves and our surrounding society by internalizing our experiences.
      Third, as a practical study, we reconfirmed the existing experiences and principles and models extracted from the above theory in the field, and tried to improve theoretical alternatives and reality through field discussions.
      In the first general experience site, the utility of the theory was repeatedly confirmed through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and other special values were also sought.
      In the second field, the curriculum was examined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the curriculum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forest rope play, and the upper level master course was discussed.
      The “School of Love,” the third field of experience for youth, aimed to derive differences from general sit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n the basis of improved experience guidance. The course of study was in the order of the site.
      First, additional factors were observed in addition to educational, physical, leisure, and ecological growth factors suggested as memberships through free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This led to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mponents of forest rope play in the future.
      Second, through discussions with participants, the foundation of the master cours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leader process and the application of membership and method of forest rope play.
      Third,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confirmed that the approach of the study with the leading youth as a participant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articipant, and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factor should include the factor of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is study examined experiential pedagogy, the academic foundation of forest rope play, and suggested the model and principle of forest rope pla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ry structurally supports the fiel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field applying the forest-rope-play theor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application of the theo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but the theory could be analyzed through the theory, and the site c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sharing of the sit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theory.
      Third, the models and theories of forest-rope-play were most clearly observed in the free infant field. Therefore,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forest rope play related to the growth of infants was confirmed. We also found additional values that could be a component of forest rope play. Based on this, I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evision and extension of forest rope play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연구와 현장에서 직접적인 참여, 관찰 및 논의를 토대로 한 실행연구로 구성되었다. 이론연구는 현장의 실천적 경험의 공유와 체계화 및 그 발전을 목표로 한다. 한편 실행연구는 이론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이론연구의 현실적 타당성을 검증하며 다시 현실의 개선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일차로 숲밧줄놀이의 학문적 토대로서 체험교육학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을 고찰하여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를 도출하였다. 한편, 그 원리를 현장에 접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현장’은 연구를 위해 특별히 고안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살아있는 현장, 숲밧줄놀이가 진행되는 현장을 말한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와 이론적 토대로서 국내의 야외교육 야외교육 개념 역시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교육을 의미한다.
      , 모험교육 관련한 문헌 자료의 고찰 결과 모두 ‘독일 체험교육학의 아버지’라는 Kurt Hahn의 체험치료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교육이 치료의 역할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인간학적인 신념을 통해 성장세대에 대한 애정과 책임을 표현한 Hahn은 20세기 초에 성장하는 세대를 위한 교육적 처방을 내렸다. 인간학적 교육 방안이란 신체기능의 쇠약을 극복하고 부족한 자기 주도성, 자발성, 세심함, 주의력 등을 향상하며 그리고 이타심과 연민을 함양하는 교육 방법이었다. 이 처방이 훗날 체험교육학의 뿌리가 되었다. 그 후 체험치료를 실천적, 방법론적으로 발전시킨 것은 미국이었다. Dewy의 경험학습 원리와 접목되고 ‘아웃워드 바운드 스쿨’(Outward Bound School)이 미국에서 확산하면서 이론의 구조적 토대가 다져졌다. 이어 Kolb의 경험학습 사이클, Luckner & Nadler의 Stretch Zone 이론, Priest & Gass의 체험교육의 구조적 분류와 방법 등을 통해 체험교육학은 체험을 경험으로 내재화하고 다시 삶으로 연결하는 이론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면서 체험교육학의 구성원리로 체험에 따른 경험과 성찰의 순환구조가 제시되었다.
      둘째, 체험교육학적 구성원리를 응용하여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와 모델을 이론적으로 구성하였다.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는 신체적, 여가적, 교육적, 생태적 차원을 아우른다. 이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한 숲밧줄놀이 모델은 자연적이면서 인류의 오랜 문화유산인 밧줄과 매듭을 도구로 활용하는 놀이체험을 통해 자기 몸을 인식하고, 참여 과정에 자신과 환경의 관계를 몸으로 깨닫고, 궁극적으로 경험의 내재화를 통해 자신과 주변 사회의 삶을 개선해 나간다.
      셋째, 실행연구로는 기존의 현장경험과 위의 이론을 통해 추출된 구성원리와 모델을 현장에서 재확인하는 한편, 현장 논의를 통해 이론적 대안과 현실의 개선을 시도하였다. 제1차 일반체험 현장에서는 유아 숲 교육현장을 통해 이론의 효용성을 거듭 확인하고, 또 다른 특별한 가치들도 함께 모색하였다. 제2차 현장에서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성찰하고 숲밧줄놀이의 이론에 맞게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상위단계의 마스터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3차 체험현장인 선도대상 청소년을 위한 현장 ‘사랑의 학교’에서는 개선된 체험지도안을 바탕으로 일반 현장과 다른 점,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현장의 순서에 따랐다. 첫째, 유아 숲 교육현장의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구성원리로 제시된 교육적, 신체적, 여가적, 생태적 성장요인 외에도 추가 요인들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숲밧줄놀이의 구성요소를 확장할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참여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지도자과정의 분석과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 및 방법을 적용한 마스터 과정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셋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선도대상 청소년을 참여자로 한 연구의 접근방식은 일반 참여자의 경우와는 달라야 하며, 특히 교육적 요인에 치료의 요인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걸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숲밧줄놀이의 학문적 토대인 체험교육학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숲밧줄놀이의 모델과 구성원리를 제시하였다.
      둘째, 숲밧줄놀이 이론을 적용한 현장의 실천을 통해 이론이 현장을 구조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특성에 따라 이론의 적용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지만, 그래도 이론을 통해 현장을 분석할 수 있었고, 이론의 적용과 분석을 통한 현장의 발표와 공유를 통해 현장을 수정, 개선할 수 있었다.
      셋째, 현장에서 숲밧줄놀이의 모델과 이론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나아가 숲밧줄놀이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추가적인 가치들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숲밧줄놀이 이론의 수정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연구와 현장에서 직접적인 참여, 관찰 및 논의를 토대로 한 실행연구로 구성되었다. 이론연구는 현장의 실천적 경험의 공유와 체계화 및 그 발전을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연구와 현장에서 직접적인 참여, 관찰 및 논의를 토대로 한 실행연구로 구성되었다. 이론연구는 현장의 실천적 경험의 공유와 체계화 및 그 발전을 목표로 한다. 한편 실행연구는 이론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이론연구의 현실적 타당성을 검증하며 다시 현실의 개선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일차로 숲밧줄놀이의 학문적 토대로서 체험교육학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을 고찰하여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를 도출하였다. 한편, 그 원리를 현장에 접목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현장’은 연구를 위해 특별히 고안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살아있는 현장, 숲밧줄놀이가 진행되는 현장을 말한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와 이론적 토대로서 국내의 야외교육 야외교육 개념 역시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교육을 의미한다.
      , 모험교육 관련한 문헌 자료의 고찰 결과 모두 ‘독일 체험교육학의 아버지’라는 Kurt Hahn의 체험치료에서 비롯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교육이 치료의 역할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인간학적인 신념을 통해 성장세대에 대한 애정과 책임을 표현한 Hahn은 20세기 초에 성장하는 세대를 위한 교육적 처방을 내렸다. 인간학적 교육 방안이란 신체기능의 쇠약을 극복하고 부족한 자기 주도성, 자발성, 세심함, 주의력 등을 향상하며 그리고 이타심과 연민을 함양하는 교육 방법이었다. 이 처방이 훗날 체험교육학의 뿌리가 되었다. 그 후 체험치료를 실천적, 방법론적으로 발전시킨 것은 미국이었다. Dewy의 경험학습 원리와 접목되고 ‘아웃워드 바운드 스쿨’(Outward Bound School)이 미국에서 확산하면서 이론의 구조적 토대가 다져졌다. 이어 Kolb의 경험학습 사이클, Luckner & Nadler의 Stretch Zone 이론, Priest & Gass의 체험교육의 구조적 분류와 방법 등을 통해 체험교육학은 체험을 경험으로 내재화하고 다시 삶으로 연결하는 이론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면서 체험교육학의 구성원리로 체험에 따른 경험과 성찰의 순환구조가 제시되었다.
      둘째, 체험교육학적 구성원리를 응용하여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와 모델을 이론적으로 구성하였다.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는 신체적, 여가적, 교육적, 생태적 차원을 아우른다. 이 구성원리를 바탕으로 한 숲밧줄놀이 모델은 자연적이면서 인류의 오랜 문화유산인 밧줄과 매듭을 도구로 활용하는 놀이체험을 통해 자기 몸을 인식하고, 참여 과정에 자신과 환경의 관계를 몸으로 깨닫고, 궁극적으로 경험의 내재화를 통해 자신과 주변 사회의 삶을 개선해 나간다.
      셋째, 실행연구로는 기존의 현장경험과 위의 이론을 통해 추출된 구성원리와 모델을 현장에서 재확인하는 한편, 현장 논의를 통해 이론적 대안과 현실의 개선을 시도하였다. 제1차 일반체험 현장에서는 유아 숲 교육현장을 통해 이론의 효용성을 거듭 확인하고, 또 다른 특별한 가치들도 함께 모색하였다. 제2차 현장에서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성찰하고 숲밧줄놀이의 이론에 맞게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상위단계의 마스터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3차 체험현장인 선도대상 청소년을 위한 현장 ‘사랑의 학교’에서는 개선된 체험지도안을 바탕으로 일반 현장과 다른 점,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현장의 순서에 따랐다. 첫째, 유아 숲 교육현장의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구성원리로 제시된 교육적, 신체적, 여가적, 생태적 성장요인 외에도 추가 요인들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숲밧줄놀이의 구성요소를 확장할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참여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지도자과정의 분석과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 및 방법을 적용한 마스터 과정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셋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선도대상 청소년을 참여자로 한 연구의 접근방식은 일반 참여자의 경우와는 달라야 하며, 특히 교육적 요인에 치료의 요인까지 포함되어야 한다는 걸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숲밧줄놀이의 학문적 토대인 체험교육학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숲밧줄놀이의 모델과 구성원리를 제시하였다.
      둘째, 숲밧줄놀이 이론을 적용한 현장의 실천을 통해 이론이 현장을 구조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특성에 따라 이론의 적용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지만, 그래도 이론을 통해 현장을 분석할 수 있었고, 이론의 적용과 분석을 통한 현장의 발표와 공유를 통해 현장을 수정, 개선할 수 있었다.
      셋째, 현장에서 숲밧줄놀이의 모델과 이론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나아가 숲밧줄놀이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 추가적인 가치들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숲밧줄놀이 이론의 수정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5
      • 목 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5
      • 3. 용어의 정의 8
      • II. 이론적 배경 10
      • 1. 체험교육학에 관한 이해 10
      • 1) 체험교육학의 개념 10
      • 2) 현대 체험교육학 18
      • 3) 국내 체험교육학, 숲체험교육 23
      • 4) 연구의 동향 27
      • 2. 체험교육학의 모델 30
      • 1) 체험교육학의 원리 30
      • 2) 체험교육학의 구성요인 33
      • 3) 체험 방법론 35
      • III. 숲밧줄놀이의 이론 40
      • 1. 숲밧줄놀이에 대한 이해 40
      • 1) 숲밧줄놀이의 유래 40
      • 2) 숲밧줄놀이의 구성 42
      • 3) 숲밧줄놀이의 국내 현황 51
      • 2. 체험교육학의 관점에서 본 숲밧줄놀이 54
      • 1) 숲밧줄놀이의 구성원리 54
      • 2) 숲밧줄놀이의 구성요인 56
      • 3) 숲밧줄놀이의 체험교육학적 요소 63
      • IV. 숲밧줄놀이의 실천 64
      • 1. 일반체험현장, ‘아이다움숲킨더가르텐’ 유아들의 숲밧줄놀이 64
      • 1) 참여 관찰, 유아 숲밧줄놀이 구성 66
      • 2) 참여 관찰의 과정 67
      • 3) 참여 관찰 결과 73
      • 2. 숲밧줄놀이마스터 과정 논의 74
      • 1) 참여 관찰, 마스터 과정 논의 구성 77
      • 2) 참여 관찰 과정과 결과 79
      • 3. 청소년 선도프로그램 현장 89
      • 1) 참여 관찰, 청소년 선도프로그램 구성 91
      • 2) 참여 관찰 과정과 결과 93
      • V. 결론 122
      • 참고문헌 127
      • Abstract 141
      • 부록 144
      • 표 목차
      • 표 1. 미국 체험교육학의 분류(출처: Michael Rehm, 1999) 12
      • 표 2. Hahn의 체험치료 요소(출처: Paffrath, 2017에서 재인용) 13
      • 표 3. 미국 체험교육학의 분류(출처: Michael Rehm, 1999) 22
      • 표 4. Hahn의 체험치료 요소(출처: Paffrath, 2017에서 재인용) 34
      • 표 5. 체험의 특성에 따른 분류(출처: Priest, 1994) 34
      • 표 6. 밧줄놀이 기본 장비(출처: 사) 한국숲밧줄놀이연구회 48
      • 표 7. 매듭법 부분 발췌(출처: 아이로프) 49
      • 표 8. 설치기구 부분 발췌(출처: 아이로프) 50
      • 표 9. 밧줄놀이 부분발췌(출처: 아이로프) 50
      • 표 10. 기관별 교육 현황(출처: 강성희·황향희, 2018. 일부 시기에 변동이 있을 수 있음) 52
      • 표 11. 연령 별 교육 진행(출처: 강성희·황향희, 2018. 일부 시기에 변동이 있을 수 있음) 53
      • 표 12. Priest의 야외교육 핵심요소 6가지(출처: 서재강, 2014; 박경이, 2016에서 재인용, 보강) 63
      • 표 13. 유아 숲밧줄놀이 분석결과 73
      • 표 14. 숲밧줄놀이지도자 교육과정 75
      • 표 15. 숲밧줄놀이지도자 교육과정 구성 76
      • 표 16. 숲밧줄놀이지도자 마스터 과정 논의용 개방형 질문지 77
      • 표 17. 숲밧줄놀이 마스터 과정 논의 참여자들의 개인적 특성 77
      • 표 18. 숲밧줄놀이 지도자과정에 대한 참여자 인식 82
      • 표 19. 기존 숲밧줄놀이 지도안 예시 84
      • 표 20. 숲밧줄놀이 이론을 적용한 지도안 85
      • 표 21. 숲밧줄놀이지도자 교육과정 88
      • 표 22. 숲밧줄놀이 모델에 따른 분석 틀 92
      • 표 23. 숲밧줄놀이 반영 질문 93
      • 표 24. 표준모델 - 표준 선도프로그램 94
      • 표 25. 핵심모델 1 - 사랑의 교실・자체 선도 95
      • 표 26. 핵심모델 2 - 사랑의 교실・자체 선도 95
      • 표 27. 밧줄과 함께하는 사랑의 교실 95
      • 표 28.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사항 96
      • 표 29. 숲밧줄놀이 지도안 밧줄해님 98
      • 표 30. 밧줄해님 분석결과 101
      • 표 31. 숲밧줄놀이 지도안 외줄 타기 104
      • 표 32. 외줄 타기와 회전목마 그네 분석 108
      • 표 33. 숲밧줄놀이 지도안 긴줄풀기 115
      • 표 34. 그네, 해먹 직접 설치하기, 긴줄풀기 분석 117
      • 표 35. 숲밧줄놀이 지도안 밧줄해님 작성 예시, 숲밧줄놀이 모델 적용 119
      • 그림 목차
      • 그림 1. 연구 과정 5
      • 그림 2. 연구모형(조재식의 실행연구 모형을 토대로) 8
      • 그림 3. Cowtails and Cobras 21
      • 그림 4. Collge d'athltes, 1913년 프랑스 랭스 21
      • 그림 5. 야외교육 모형 23
      • 그림 6. 산림복지 정책화 과정 25
      • 그림 7.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 자료 26
      • 그림 8. 경험학습 사이클(Kolb, 1984) 31
      • 그림 9. 체험의 사슬(E.-Kette: W. Michl, 2009) 31
      • 그림 10. change zone, Luckner & Nadler 1994 32
      • 그림 11. 모험 곡선(adventure wave: Schoel 외, 1988; Rawson, 1991) 33
      • 그림 12. 체험교육 지도자의 스킬(Eisinger, 2016) 38
      • 그림 13. 독일 Vogelsberg 체험교육학 도서관 체험지도 자료 38
      • 그림 14. 체험교육학의 구성원리 55
      • 그림 15. 숲밧줄놀이 모델 56
      • 그림 16. 밧줄놀이 기구해체 57
      • 그림 17. 청소년 매듭 배우기 57
      • 그림 18. 밧줄 기구 설치하는 교육생 57
      • 그림 19. 청소년 숲밧줄놀이 57
      • 그림 20. 숲밧줄놀이 하며 자유자재로 몸을 움직이는 유아 58
      • 그림 21. 학교체험에서 숲밧줄놀이 하는 중학생 59
      • 그림 22. 축제에서 가족과 숲밧줄놀이 하는 어린이들-2018 포천 광릉숲 축제 61
      • 그림 23. 축제 현장 숲밧줄놀이 가족 놀이터-2016 국립 유명산자연휴양림 축제 61
      • 그림 24. 숲밧줄놀이와 자연미술(인생길) 62
      • 그림 25. 밧줄해님 만다라 겨울 62
      • 그림 26. 밧줄해님 만다라 가을 62
      • 그림 27. 자연미술, 태몽 이야기 62
      • 그림 28. 돌로미티 Sasmujel 봉, 로프로 감싼 바위 작품, 2019 62
      • 그림 29. 밧줄 장애물 통과/ 밧줄에 매달린 유아 68
      • 그림 30. 둘이서 타는 밧줄그네/ 밧줄 그물 위에서 도와주기 68
      • 그림 31. 숲밧줄놀이 기구해체에 참여하는 유아 69
      • 그림 32. 도전과 응용 69
      • 그림 33. 짚라인 타는 유아/ 인내심 있게 기다리는 유아 71
      • 그림 34. 기다리기 71
      • 그림 35. 스스로 하기 71
      • 그림 36. 도와주기, 배려하기 71
      • 그림 37. 돌봐주기 71
      • 그림 38. 지도자들이 작성한 질문지 원본 83
      • 그림 39. 그림 숲밧줄놀이 이론을 적용한 지도안 원본 자료 85
      • 그림 40. 마스터 과정 논의의 도식화 87
      • 그림 41. 체험과 지도자의 관계 89
      • 그림 42. 밧줄해님 서기, 밧줄해님 97
      • 그림 43. 밧줄해님 1단계, 마음 열기 97
      • 그림 44. 청소년 선도프로그램 4기 참여관찰 일지 원자료 102
      • 그림 45. 4기 마감 후 지도자 논의 원자료 102
      • 그림 46. 외줄 설치 104
      • 그림 47. 외줄 타기 도전 105
      • 그림 48. 회전목마 그네에 도전하는 청소년 105
      • 그림 49. 회전목마 그네 타는 청소년 106
      • 그림 50. 회전목마 그네를 응용하는 청소년 106
      • 그림 51. 슬랙라인 배우기 111
      • 그림 52. 슬랙라인 친구 도움받기 111
      • 그림 53. 그네 해먹에서 쉬기 111
      • 그림 54. 슬랙라인 배우기 1:1 112
      • 그림 55. 매듭 배우기 112
      • 그림 56. 밧줄해님 만들기 113
      • 그림 57. 매듭 배우기 113
      • 그림 58. 그네 해먹 직접 설치 배우기 114
      • 그림 59. 그네 해먹 혼자 설치하기 114
      • 그림 60. 긴줄풀기 116
      • 그림 61. 긴줄풀기 성공 116
      • 그림 62. 몸놀이 116
      • 그림 63. 1기부터 3기 학생, 총 18명의 대답 정리결과의 원자료 12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희진, 최정순, 조명환, "여가사회학", 서울: 백산출판사, 2011

      2 Corleis, F., "Die Bedeutung von Naturerlebnissen in der Shule. Verl. Ed. Erlebnispadagogik. Dewald, W. & Huβler, C. (2008). On-Line, Play and Adventure with Ropes. 강성희 도복선 역(2012). 밧줄 놀이와 모험 - 각종 매듭법으로 쉽게 만들어 즐기는 로프 캠프", 광명: PPN, 2000

      3 김영미, 조재식, 조덕주, 이혁규, 이용숙, 김영천,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005

      4 남회근, "정좌수도강의", 서울: 부키, 2014

      5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서울: 민속원, 2004

      6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학회지, 7(1), 133-162, 2006

      7 신문수, "자연체험의 중요성", 문학과 환경학회지, 8(2), 111-139, 2009

      8 황정희, "주체로서의 몸살리기",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2

      9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지, 18(4), 1-49, 2015

      10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지, 7(2), 55-75, 2004

      1 김희진, 최정순, 조명환, "여가사회학", 서울: 백산출판사, 2011

      2 Corleis, F., "Die Bedeutung von Naturerlebnissen in der Shule. Verl. Ed. Erlebnispadagogik. Dewald, W. & Huβler, C. (2008). On-Line, Play and Adventure with Ropes. 강성희 도복선 역(2012). 밧줄 놀이와 모험 - 각종 매듭법으로 쉽게 만들어 즐기는 로프 캠프", 광명: PPN, 2000

      3 김영미, 조재식, 조덕주, 이혁규, 이용숙, 김영천,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005

      4 남회근, "정좌수도강의", 서울: 부키, 2014

      5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서울: 민속원, 2004

      6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학회지, 7(1), 133-162, 2006

      7 신문수, "자연체험의 중요성", 문학과 환경학회지, 8(2), 111-139, 2009

      8 황정희, "주체로서의 몸살리기",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2

      9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지, 18(4), 1-49, 2015

      10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교육", 한국교육인류학회지, 7(2), 55-75, 2004

      11 양갑렬, "체육 교육의 질적 연구", 서울: 북스힐, 2003

      12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999

      13 김영순, 한국여가연구학회, "현대 여가연구의 이슈들", 서울: 한올출판사, 2008

      14 박소영, "현대사회의 호모 루덴스",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7, 37-61, 2018

      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년 아동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8

      16 박이문, "더불어 사는 자연과 인간", 서울: 미다스북스, 2001

      17 이철원,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2013

      18 김병미, 오진, "한국전통매듭에 관한 고찰", 과학교육연구학회지, 33, 55-65, 2002

      19 목진애, "한국 매듭의 원류와 디자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6

      20 김영재, 차은주, "슬랙라인의 특성과 가치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2(3), 351-361, 2013

      21 이학준, "인간성의 회복과 감성의 체육", 한국체육학회지, 40(1), 53-61, 2001

      22 박경호, 이정은, "모험교육의 개념, 영역과 효과", 한국미래교육연구학회지, 4(1), 21-40, 2014

      23 우영숙, 전국재, "모험기반상담 놀이와 프로그램",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3

      24 노상우, "근대 이성개념과 교육학적 사유", 교육철학연구학회지, 39, 57-79, 2010

      25 이와오, "박범진(역) 내 몸을 치유하는 숲", 서울: 넥서스 BOOKS, 2007

      26 김태환, 한병철, "심리정치: 신자유주의의 통치술",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5

      27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http://stdweb2.korean.go.kr", 국립국어원, null

      28 조용환, "청소년연구의 문화인류학적 접근", 한국청소년연구학회지, 14, 5-17, 1993

      29 Rousseau, J.J., "Emile, ou de l'eEducation. 이환 역, 에밀", 서울: 돋을새김, 2008

      30 이정은, "모험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4

      31 황옥경, "한국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32 안병수, "가족 여가활동의 사회적 의미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학회지, 18(1), 3-12, 2007

      33 김미량, "상태로서의 진지한 여가 수준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67-78, 2019

      34 강보영, "극기훈련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1

      35 박선아, 정문선, 이명우,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3(3), 43-51, 2015

      36 노명우,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파주: 사계절, 2008

      37 이정택, 장용규, "힐링(Healing)의 주체적 행위로서 체육",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3), 165-179, 2014

      38 노용구, "여가연구에 있어 질적 연구의 타당성",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4), 153-165, 2006

      39 유진영, "제국시기(1871-1914) 독일 교육사의 동향", 한국교육사학회지, 33(1), 81-113, 2011

      40 노명우,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파주: 사계절, 2011

      41 이주욱, "야외교육의 전문성 이해와 교육적 지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607-615, 2014

      42 노상우,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생태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2015

      43 김연숙, "자연친화적 숲 체험 활동의 교육적 의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2012

      44 박기동, "‘탐史’에 대하여 : 좋은 책과 만남이란", 한국스포츠인류학회 학술대회, 6(-), 119-120, 2009

      45 장자, "장자/이성희(옮김 : , 동양의 탈무드 장자", 서울: 베이직북스, 2017

      46 이미라, "우리나라 청소년 여가실태와 활성화 방안",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지(구 한국청소년문학학 회), 433-499, 2007

      47 서재강, "초등학교 야외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4

      48 여성가족부, "2017년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여성가족부, 2017

      49 조재식,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학회지, 20(1), 229-252, 2002

      50 김상욱, "자기를 느끼는 능력 인간의 ‘제6감’ 발견", 뉴스타운.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853, 2019

      51 우영숙, 전국재, "야외집단활동 지도론: 조직캠프를 중심으로",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52 유한나,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메타인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9

      53 김귀옥, 최종렬, 김은정, 김성경,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휴머니스트, 2018

      54 조재식,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구학회지, 5(2), 193-225, 2002

      55 류태호, 이주욱, "중등학교 야외교육 활동 체험의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47(4), 137-148, 2008

      56 최병욱, "‘위기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과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학회지, 49, 511-538, 2016

      57 최길례, "가족의 여가 활동 유형과 여가 동기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6, 497-507, 2006

      58 Huizinga, J, "Huizinga, JHomo Ludens. 이종인 역(2018). 호모 루덴스", 서울: 연암서가, 2010

      59 천혜정,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 여가 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 1-13, 2004

      60 이민정, 최규일, "생태적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교육사상연구학회지, 29(2), 129-148, 2015

      61 서상문, "Dewy의 ‘경험의 이론’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한국교육철학회지, 34, 143-168, 2008

      62 박경이, "국내 청소년 야외교육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6

      63 이주욱, "상생학교 야외교육 활동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8

      64 임태평, "존 로크의 경험론에 있어서 오성의 능력과 교육", 한국교육철학회지, 21, 153-172, 2002

      65 Kant, E., "Kritik der reinen Vernunft. 백종현 역, 순수이성 비판 1", 서울: 아카넷, 2006

      66 강지영, 소경희, "국내 교육 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학회지, 12(3), 197-224, 2011

      67 이지영, "모험놀이 중심 초등지리교육활동의 구성과 실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8

      68 윤진각, "에드워드 O. 윌슨의 생태적 사유와 바이오필리아", 새한철학회지, 86, 217-238, 2016

      69 정기섭, "‘체험치유’의 관점에서 본 숲 체험교육의 의미", 열린유아교육학회지, 25(3), 117-140, 2017

      70 고수미, "Piaget와 Vygotsky의 유아 놀이 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1

      71 문숙재, "가족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 만족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31-39, 2005

      72 박세혁, "여가와 자연의 공생을 위한 연구 방향 및 실천방안",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추계학술세미나자료집, 47-54, 2012

      73 천혜정, "우리나라 가족의 여가활동 유형 및 여가 제약 요인", 인간생활환경연구소지, 3, 11-24, 2005

      74 조인미디어, "전북 완주군의 어린이 모험놀이시설 ‘놀토피아’", 조명과인테리어지, 178, 82-83, 2018

      75 김수경, "청소년 숲교육전문가 양성 체제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8(4), 1-12, 2014

      76 노형철, 정순승, 정명수, 이광호, "고등학교 야영활동 참여가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3, 155-163, 2000

      77 조용환, "대안학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지, 1(1), 113-155, 1998

      78 정기섭, "독일 "잘렘성" 학교의 교육이념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지, 14(1), 101-121, 2004

      79 김대훈, "몸의 지리교육적 의미: 몸의 지리성과 체현의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80 린다, 오세숙, "한국청소년의 여가, 건강, 그리고 행복에 대한 고찰",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5(3), 173-180, 2010

      81 이정은, "삶의 존재론적 고민에 대한 사회과학적 질문과 성찰", 한국구술사연구학회지, 10(1), 307-314, 2019

      82 류호상, 이은경, "청소년 비행에 대한 스포츠 인문치료의 의의와 해법", 한국스포츠학회지, 16(2), 9-21, 2018

      83 김영균, 김태은, "탯줄코드=Umbilical Cord Code: 새끼줄, 뱀, 탯줄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2008

      84 Norber-Hodge H., "Norber-Hodge H.(Ancient Futures. 양희승 역(2001). 오래된 미래", 서울: 중앙북스, 1991

      85 Locke, J.,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추영현 역, 인간지성론", 서울: 동서 문화사, 2011

      86 김철, "H. Nohl의 교육학 이론 관점에서 본 학교 교육의 시사점", 교육의 이론과 실천학회지, 18(1), 17-35, 2013

      87 강성희, 황향희, "셀프내러티브를 통한 숲밧줄놀이의 개념과 가치 고찰",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225-239, 2018

      88 김소희, "수련활동 체험이 청소년의 생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89 송영민, "윌슨(J. wilson)의 도덕성 요소와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8

      90 김윤수, 이정희, 연평식, 신원섭, "숲 치유 프로그램이 WEEclass 중학생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 휴양학회지, 15(1), 67-71, 2011

      91 고민경, "유아의 숲 체험에서 나타난 ‘관계’의 현상학적 접근",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지, 15(1), 225-251, 2011

      92 김창환, 정혜영, 정영근, 이원재,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개정판 ed.)", 서울: 문음사, 2006

      93 박정일, "전시학습에서의 모험놀이 적용 정보수업의 학생만족도", 강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6

      94 우영숙, 전국재, "청소년과 놀이문화연구소 집단상담의 놀이와 프로그램",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95 조용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수업했다: 교육인류학의 눈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지, 17(4), 35-74, 2014

      96 이학준, "스포츠로 힐링사회 만들기: 피로사회와 스포츠를 넘어서", 한국스포츠인류학회지, 12(1), 95-104, 2017

      97 이정식, 이호, "스포츠를 통한 인문치료: 소통과 감성의 실천철학적 해법",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5(2), 71-90, 2017

      98 주은선, "주은선 상담자의 자기 성찰을 위한 포커싱 포토치료 작업", 인문사회학 21 학회지, 10(1), 731, 2019

      99 Louve, R., "Last child in the wood. 김주희 역(2007).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서울: 즐거운 상상, 2005

      100 김형구, 이안수, 이경희,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모험교육을 통한 자아개념의 변화", 한국스포츠교육 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2), 5, 2010

      101 오성식, "고등학생의 야영수련활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102 노상우, "아동의 숲교육철학 탐색: 과학적 이성에서 생태적 이성으로", 교육종합연구학회지, 15(3), 139-162, 2017

      103 심우찬, 정혜숙, "국내 사회복지질적연구논문 심사의 발전적 방향에 관한 탐색", 사회복지연구학회지, 48(1), 55-89, 2017

      104 전대규, "야영수련활동이 청소년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0

      105 김정명, 신창봉,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관계 형성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지, 10(3), 21-47, 2003

      106 최그림, "이홍우와 장상호의 교육 개념에 근거한 학교 교육과정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4

      107 홍준봉, "‘숲해설가’ ... 전국 31개 양성기관서 연간 1,200명 ‘과다배출?", ’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19980, 2018

      108 김우철, "야영수련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8

      109 김경미, "오지탐험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활동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3

      110 박순만, 최총명, 변상해, "창의적 학교교육경영을 위한 비행청소년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지, 8(2), 153-159, 2013

      111 Bookchin, M., "Social Anarchism or Lifestyle Anarchism. 문순홍 역(1997). 사회생태론의 철학", 서울: 솔출판사, 1995

      112 정은주, "밧줄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학위논문, 2018

      113 김성훈, 이안수, 김형구,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모험교육에 대한 학생들 의식 및 경험 분석", 중등교 육연구학회지, 60(1), 165-189, 2012

      114 김신자, "밧줄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6

      115 김백윤, "숲밧줄놀이 체험자의 참여제약과 숲인식이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3), 189-200, 2017

      116 김은아, 이용남, "올바른 학문으로서 교육학의 새 지평: 장상호 저『학문과 교육』논평", 한국교육원리 학회지, 15(2), 1-33, 2010

      117 김건우, 정다워, 박범진, 김선아, "숲체험 활동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지, 19(4), 35-43, 2015

      118 김재준, 이연희, 박찬우, "산림풍경 유형에 의한 시각적 자극이 인체에 미치는 심리, 생리적 영향", 인간 식물환경학회지, 17(1), 65-71, 2014

      119 박기동, "체육철학 : 체육학 분야에서 새로운 글쓰기는 가능한가?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4(4), 169-182, 2006

      120 김창대, 이정민, "사회적 배제 경험 이후 빈 의자 대화를 활용한 체험 치료적 개입의 효과", 한국상담학 회지, 14(1), 83-96, 2013

      121 정기섭, "독일의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지원 사례 및 시사점. 교육의 이론과 실천", 한독교육학회지, 21(3), 73-99, 2016

      122 김상목, 박세원, 김영식, "통일 전후의 독일 체육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체육교육통합의 시사점 탐색", 학습자중심교육연구학회지, 19(14), 19-41, 2019

      123 오익환, "조직 내 극기훈련 프로그램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D그룹 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2

      124 연분홍, 오세이,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 참여유형이 여가사회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6), 411-422, 2015

      125 이혜린, 이훈,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맥락에서 자기결정동기화 모형 적용의 비판적 고찰",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7(3), 103-127, 2015

      126 김은정, 이현서, 이재성, 이기웅, 윤충로, 박선웅, "질적 연구자 좌충우돌기. 파주: 한울아카데미. 김익진(2013). 자활과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학회지, 36, 563-584, 2018

      127 Aries, Philippe, "Aries, PhilippeL'enfant et la vie familiale sous l'ancien regime. 문지영 역(2003). 아동의 탄생", 서울: 새물결, 1973

      128 송태욱, "심성계발 수련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자연권 수련시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8

      129 김희연,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 교육연구학회지, 24(6), 235-255, 2004

      130 Beltzig, G., "Das Spielplatzbuch. Germany: Spielraum Fachinformation.. 엄양선, 베버 남순 역(2015). 놀이터 생각", 서울: 소나무, 1998

      131 옥선화, 차동혁, "청소년의 여가문화 활동이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학회지, 34(1), 353-378, 2014

      132 임봉우, "야외 모험 레저스포츠 체험에 대한 스포츠사회학적 해석 : 스킨, 스쿠버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0(6), 129-144, 2010

      133 신용욱, "아웃도어 스포츠의 챌린저 로프 코스교육이 참가자의 개인 수준 요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4

      134 임도빈, "기획논문 :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15(1), 155-188, 2009

      135 이주욱, "야외교육의 체육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사례연구-국제기구 야외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학회지, 10(2), 257-284, 2012

      136 Stebbins, "Stebbins Serious leisure : a perspective for our time. 최석호, 이미경, 이용재 역(2012). 진지한 여가", 서울: 여가경영, 2012

      137 천호성, "(교실 수업의 혁신과 지원을 위한) 수업 분석의 방법과 실제: 질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2014

      138 Guthler, A., Lacher, K., "Naturwerkstatt Landart. 수잔 강성희, 도복선 역(2012). 자연미술. 자연 과 함께 만드는 랜드아트", 광명: 피피엔, 2005

      139 윤재진, 이길형,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이 자기조절초점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비스마케팅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5-76, 2016

      140 Wilson, E., "Biophilia. 안소인 역(2010). 바이오필리아: 우리 유전자에는 생명 사랑의 본능이 새겨져 있다", 서울 : 사이언스북스, 1984

      141 남상준, 이지영, "모험놀이 활동과정의 초등지리교육적 함의 ‘공간 만들기’와 ‘장소 찾기’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6(1), 17-36, 2018

      142 박순만, 최총명, "여행체험 프로그램이 학교적응 배려대상 학생의 공감능력,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4), 201-210, 2014

      143 김민아, "숲 체험 활동이 소외계층 아동의 정서, 생활만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연구", 한국아동학회지, 35(4), 223-247, 2014

      144 최총명, "활동체험 심리프로그램이 학교적응배려대상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4(6), 319-333, 2015

      145 김철, "“학교 교육에서 학생의 인권과 교권에 관한 연구”. H, Nohl의 “교육적관계론”의 관점에서", 교육사상연구학회지, 26(2), 1-19, 2012

      146 양은석, 황승현, "협동 신체활동과 집단상담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사회적 발달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4(1), 37-49, 2006

      147 Bandura, A., "Self-Ef 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박영성, 김의철 역(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 운동, 조직에서", 서울: 교육과학사, 1997

      148 방승호, 방은령, "산업정보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모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지, 11(4), 73-100, 2009

      149 공수자, 이정숙, 이은희, "청소년들의 가정, 학교, 지역의 심리사회적 환경과 학교폭력과의 관계-분노조 절과 비행친구 접촉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6(1), 123-145, 2004

      150 Morse, J. M., Richards, L., "Readme first for a us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신경림, 고성희, 조명옥, 이영희 역(2007). (초보자를 위한 길잡이) 질적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2002

      151 Schwarzer A., "Schaukelfee & Klettermax. Seilspielgerate im Wald fur Kinder. 수잔 강성희 역 (2012). 숲유치원과 숲학교를 위한 밧줄놀이 1, 그네요정과 로프대장", 광명: PPN, 2011

      152 Schwarzer A., "Schaukelfee & Klettermax : Seilspielgerate im Wald fur Kinder. 수잔 강성희 역(2014). 숲유치원과 숲학교를 위한 밧줄놀이 2, 그네요정과 로프대장. 광명: PPN", (원서 출판 2011), 2011

      153 Cole, M., Souberman, E., Scribner, S., John-Steiner, V., "L.S. Vygotsky.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 Psychological Processes. 정회욱 역(2015).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비고츠 키의 인간 고등심리 과정의 형성과 교육", 서울: 학이시습, 1980

      154 Gopnik, A., "The Philosophical Baby: What Children’s Minds Tell Us About Truth, Love, and the Meaning of Life. 김아영 역(2011). 우리 아이의 머릿속: 세계적인 심리학자가 밝혀낸 아이 마 음의 비밀",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