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初等敎師의 敎職觀이 職務動機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 (The) study investigates the views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bout teaching profession and it's influence on their job mo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493133

      • 저자
      • 발행사항

        제주 :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1999. 8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1 판사항(4)

      • DDC

        371.1141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제주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v, 49p. : 수표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2-43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도서관(상주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공적인 교사 교육은 바람직한 교직관 형성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연수의 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초등교원의 교직관과 직무동기는 개인별 배경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교직관은 직무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원의 교직관은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2. 초등교사의 직무동기는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교사의 교직관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274명의 사례를 사회조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으며, 경력별로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직을 더 성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노동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 경력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보직교사보다 교직을 더 전문직으로 보고 있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낮은 교원이 교직을 가장 전문직으로 보고 있고, 그 다음이 고경력자이며, 중간 경력자가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다.
      넷째, 초등교원들은 직급별로 보직교사가, 성별로는 남교사의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다섯째,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에 관계없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 전문직관을 가진 교원들은 보직교사가 교사보다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전문직관을 가진 보직교사들은 경륜과 연찬의 기회가 많음으로 해서 학습지도와 업무처리 능력이 탁월하며 승진을 염두에 두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곱째,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직관을 가진 교원들이 가장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관, 노동직관을 가진 교원들의 순서이다. 따라서 교원들로 하여금 교직을 성직 내지는 전문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학부모는 물론 사회의 분위기도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정하고 교원들을 존경하며 협조하는 교육풍토 조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공적인 교사 교육은 바람직한 교직관 형성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연수의 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

      본 연구는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공적인 교사 교육은 바람직한 교직관 형성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연수의 방향 제시에 목적을 두고, 초등교원의 교직관과 직무동기는 개인별 배경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교직관은 직무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원의 교직관은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
      2. 초등교사의 직무동기는 개인적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초등교사의 교직관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274명의 사례를 사회조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으며, 경력별로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직을 더 성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노동직관에 대한 인식은 직급별, 성별, 경력별로 같은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은 교사가 보직교사보다 교직을 더 전문직으로 보고 있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낮은 교원이 교직을 가장 전문직으로 보고 있고, 그 다음이 고경력자이며, 중간 경력자가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다.
      넷째, 초등교원들은 직급별로 보직교사가, 성별로는 남교사의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다섯째,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에 관계없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 전문직관을 가진 교원들은 보직교사가 교사보다 직무동기가 더 적극적이다.
      전문직관을 가진 보직교사들은 경륜과 연찬의 기회가 많음으로 해서 학습지도와 업무처리 능력이 탁월하며 승진을 염두에 두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곱째, 교직관에 따라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직관을 가진 교원들이 가장 긍정적인 직무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관, 노동직관을 가진 교원들의 순서이다. 따라서 교원들로 하여금 교직을 성직 내지는 전문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학부모는 물론 사회의 분위기도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정하고 교원들을 존경하며 협조하는 교육풍토 조성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migh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ir job motivation. It aims at directing the teachers training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desirabl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determine how their unique backgrounds influence their view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investigated.
      1. How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unique backgrounds.
      2. How the specific backgroun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3. How the view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e abovementioned hypotheses, 360 teachers employed in Cheju Island,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fihal analysis 274 cases were tested through the social survey method.
      Firstly, according to the sacred vacational approach, it is being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gender. In terms of their career, mor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more sacred.
      Secondly,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regards it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gender and career.
      Third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ordinary teachers regard it as being more professional than assigned teachers. In terms of their career less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highest profession.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less regard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ilst averag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lowest profession.
      Fourthly,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ssigned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In terms of gender male teachers are more positively inclin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Fifthly, having no relation to the above mentioned views (sacred, working, and professional vacational views) male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than female teachers.
      Sixth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assigned teachers have more job motivation than odinary ones, because assigned teachers possess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high professional value. They are well experienced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gain more experience. Therefore they are good at teaching and performing administrational duties and their chances are more favorable in terms of being promoted.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views he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efinitely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sacred value have a higher degree of job motivation tha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a professional value. The ones supporting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have the lowest degree of job motivation.
      In conclusion, teacher training proground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eachers regard their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sacred and professional. There should be more open discussions to change the social atmosphere in order for parents to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professional vacation.
      The community should respect teachers and cooperate with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migh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ir job motivation. It aims at directing the teachers training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desirable view of the teaching prof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migh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ir job motivation. It aims at directing the teachers training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desirabl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determine how their unique backgrounds influence their view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at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investigated.
      1. How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ir unique backgrounds.
      2. How the specific backgroun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3. How the view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In order to prove the abovementioned hypotheses, 360 teachers employed in Cheju Island,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fihal analysis 274 cases were tested through the social survey method.
      Firstly, according to the sacred vacational approach, it is being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gender. In terms of their career, mor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more sacred.
      Secondly,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regards it as having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gender and career.
      Third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ordinary teachers regard it as being more professional than assigned teachers. In terms of their career less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highest profession.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less regard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ilst average experienced teachers regard it as being the lowest profession.
      Fourthly,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ssigned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In terms of gender male teachers are more positively inclin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Fifthly, having no relation to the above mentioned views (sacred, working, and professional vacational views) male teachers possess more job motivation than female teachers.
      Sixthly,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vacational approach, assigned teachers have more job motivation than odinary ones, because assigned teachers possess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high professional value. They are well experienced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gain more experience. Therefore they are good at teaching and performing administrational duties and their chances are more favorable in terms of being promoted.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views hel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efinitely influence their job motivatio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sacred value have a higher degree of job motivation than the teachers possessing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ving a professional value. The ones supporting the working vacational approach have the lowest degree of job motivation.
      In conclusion, teacher training proground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eachers regard their teaching profession as being sacred and professional. There should be more open discussions to change the social atmosphere in order for parents to regard the teaching profession as a professional vacation.
      The community should respect teachers and cooperate with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iii
      • Ⅰ. 緖論 = 1
      •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2. 硏究 問題 = 2
      • 3. 硏究의 制限點 = 5
      • 目次 = iii
      • Ⅰ. 緖論 = 1
      • 1. 硏究의 必要性 및 目的 = 1
      • 2. 硏究 問題 = 2
      • 3. 硏究의 制限點 = 5
      • Ⅱ. 理論的 背景 = 6
      • 1. 敎職觀 = 6
      • 2. 職務動機 = 12
      • 3. 敎職觀과 職務動機와의 關係 = 18
      • Ⅲ. 硏究의 方法
      • 1. 調査 對象 및 標集 = 20
      • 2. 測定道具 및 處理 = 20
      • Ⅳ. 結果 및 解釋
      • 1. 敎職觀에 대한 認識 = 24
      • 2. 敎員의 職務動機 認識 = 29
      • 3. 敎職觀이 職務動機에 미치는 影響 = 30
      • Ⅴ. 要約 및 結論
      • 1. 要約 = 37
      • 2. 結論 = 38
      • 參考文獻 = 42
      • Abstract = 44
      • 설문지 =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