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Pattern in Healthy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동원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보통보행과 스마트폰 보행을 각각 2회씩 수행...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동원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보통보행과 스마트폰 보행을 각각 2회씩 수행하였다. 보통보행은 대상자가 선택한 속도로 걸었으며, 스마트폰 보행은 동영상 시청을 하면서 걸었다. 보행 동안 GAITRite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행패턴과 관련된 시, 공간적 변수를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보행에 대한 시, 공간적 변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시간적 변수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보행속도, 분속수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한쪽 다리 지지 시간, 양쪽 다리 지지 시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공간적 변수 비교에서 스마트폰 보행은 보통보행보다 한 발짝 길이, 한걸음 길이에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보행 시 보간에서는 유의하게 길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보행 동안 스마트폰 사용이 올바른 보행패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 on gait in healthy adul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performed twice for each normal gait and smart phone gait. The normal gait walked at their chosen speed, and the smart phone gait walked while watching the video. GAITRite system was used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les related to the gait pattern during walking.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In comparison of tempor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ait speed and cadence than in normal gait(p<.05), and was significantly longer in single support time and double support time(p<.05). In comparison of spatial variables, smart phone ga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than in normal gait(p<.05) and significantly longer in step width(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use can negatively affect the correct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종훈,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515-523, 2017

      2 문종훈,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219-228, 2017

      3 문종훈,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995-1002, 2016

      4 박해원,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역학과 청각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64) : 783-795, 2016

      5 유연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의 특성" 대한운동학회 18 (18): 33-41, 2016

      6 문종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391-400, 2017

      7 Jordan, "Walking speed influences on gait cycle variability" 26 (26): 128-134, 2007

      8 McDonough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AITRite system's measurements: A preliminary evaluation" 82 (82): 419-425, 2001

      9 Hsiao, M. H., "Smart Phone Demand: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one Handset" 32 (32): 158-168, 2015

      10 Mark B. Neider, "Pedestrians, vehicles, and cell phones" Elsevier BV 42 (42): 589-594, 2010

      1 문종훈,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자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515-523, 2017

      2 문종훈, "테블릿 pc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인지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219-228, 2017

      3 문종훈, "스마트폰을 사용한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혀 근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995-1002, 2016

      4 박해원,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역학과 청각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64) : 783-795, 2016

      5 유연주,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횡단보도 보행의 특성" 대한운동학회 18 (18): 33-41, 2016

      6 문종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391-400, 2017

      7 Jordan, "Walking speed influences on gait cycle variability" 26 (26): 128-134, 2007

      8 McDonough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AITRite system's measurements: A preliminary evaluation" 82 (82): 419-425, 2001

      9 Hsiao, M. H., "Smart Phone Demand: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hone Handset" 32 (32): 158-168, 2015

      10 Mark B. Neider, "Pedestrians, vehicles, and cell phones" Elsevier BV 42 (42): 589-594, 2010

      11 Jagos, H, "Mobile gait analysis via eSHOEs instrumented shoe insoles: a pilot study for validation against the gold standard $GAITRite^{(R)}$" 3 (3): 1-12, 2017

      12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vestigation report for smartphone users during walking" 2013

      13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12 (12): 815-821, 1992

      14 Lamberg EM, "Cell phones change the way we walk" 35 (35): 688-690, 2012

      15 Siu KC, "Attentional mechanisms contributing to balance constraints during gait: The effects of balance impairments" 1248 (1248): 59-67, 2009

      16 Grabiner MD, "Attention demanding tasks during treadmill walking reduce step width variability in young adults" 25 (25): 132-13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8-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학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
      영문명 : The Korea Ins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0.698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