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Causes and Relief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ess and the relation with School-related Adjus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23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learner's the causes, relief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For this purpose, 533 2nd grade students at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cheon city, Kyonggi Province were sampled, an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Causes of High School Students' Stress by Won Ho Taek and Lee Min Kyu(1987) and Stress Relief Scale by Kim Jeong Hee(1987), which had been modified and complemented from Lazarus and Folkman's(1987) and「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by Kim Yong Rea(1993). The study problems dealt with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actors of stress ?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relief measur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related adjustm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Fif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ix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ief measur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eventh, will 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related adjustment?
      Eighth, will the factors of 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ress relief measure?
      The study hypotheses of these study problems were as follows:
      Hypothesis 1-1) The factors of stress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1-2) The factors of stress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2-1) Stress relief measure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2-2) Stress relief measure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3-1) School-related adjustment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3-2) School-related adjustment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4)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5)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6)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ief measure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7)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8-1)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lem-centered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2)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supporting pursuit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3)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otional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4)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stress relief meas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PC+ program and all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by t-test, simpl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p<.05.
      First, in the factors of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middle and high school. Male students got more stress related to the opposite sex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stressed in school achievement, physical health and appearance, psychological and characteristic factors.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stressed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subject students preferred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among the stress relief measure regardless of sex, and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tend to use more stress relief measure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use more stress relief measu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ult related to school-related adjus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but middle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Fift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ix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ositive stress relief measure, while the correlation with significant passive stress relief measure was not meaningfully.
      Seventh, the factors of stress mostly had no meaningful effect on school-related adjustment.
      Eighth, the factors of stress partl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problem-centered stress relief measure, the social supporting pursuit stress relief measure, the emotional stress relief measure, and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stress relief meas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learner's the causes, relief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For this purpose, 533 2nd grade students at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cheon city, Kyonggi Province were sampl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learner's the causes, relief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For this purpose, 533 2nd grade students at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cheon city, Kyonggi Province were sampled, an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Causes of High School Students' Stress by Won Ho Taek and Lee Min Kyu(1987) and Stress Relief Scale by Kim Jeong Hee(1987), which had been modified and complemented from Lazarus and Folkman's(1987) and「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by Kim Yong Rea(1993). The study problems dealt with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actors of stress ?
      Secon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relief measur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related adjustm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Fif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ixth,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ief measur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eventh, will 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related adjustment?
      Eighth, will the factors of 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ress relief measure?
      The study hypotheses of these study problems were as follows:
      Hypothesis 1-1) The factors of stress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1-2) The factors of stress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2-1) Stress relief measure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2-2) Stress relief measure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3-1) School-related adjustment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3-2) School-related adjustment will b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s 4)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5)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6) There will b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ief measure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7)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related adjustment.
      Hypothesis 8-1)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lem-centered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2)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supporting pursuit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3)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otional stress relief measure.
      Hypothesis 8-4) The factors of stres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stress relief measu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PC+ program and all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by t-test, simpl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significant level of p<.05.
      First, in the factors of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middle and high school. Male students got more stress related to the opposite sex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stressed in school achievement, physical health and appearance, psychological and characteristic factors.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stressed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subject students preferred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among the stress relief measure regardless of sex, and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tend to use more stress relief measure than mal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use more stress relief measu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ult related to school-related adjus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but middle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tress relief measure.
      Fift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tres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ix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positive stress relief measure, while the correlation with significant passive stress relief measure was not meaningfully.
      Seventh, the factors of stress mostly had no meaningful effect on school-related adjustment.
      Eighth, the factors of stress partl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problem-centered stress relief measure, the social supporting pursuit stress relief measure, the emotional stress relief measure, and the passive hopeful thinking stress relief meas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생을 대상으로 학교,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6개의 중·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5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원호택 · 이민규(1987)가 개발한 「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검사」와 Lazarus와 Folkman(1985)가 개발한 대처방식 척도를 김정희가(1987)가 수정, 보완한「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와 김용래(1993)의「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1)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1-2) 스트레스 요인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1)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2)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1)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2) 학교적응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스트레스요인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스트레스요인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1) 스트레스요인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2) 스트레스요인은 사회지지추구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3) 스트레스요인은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4) 스트레스요인은 소망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이분석, 단순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통계치는 유의 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과 중·고생별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은 이성문제에서 여학생은 공부문제, 신체적 건강 및 용모, 심리 · 성격문제요인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별 차이는 고등학생이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 중·고생에 상관없이 소극적 대처방식인 소망적사고 대처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처양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대처양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고생 간에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들보다 대체로 학교적응을 더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는 적극적 대처방식에서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소극적 대처방식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스트레스요인은 학교적응에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트레스요인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지지추구 대처방식, 정서완화적 대처방식, 소망적 대처방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고생을 대상으로 학교,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6개의...

      본 연구는 중·고생을 대상으로 학교,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6개의 중·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5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원호택 · 이민규(1987)가 개발한 「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검사」와 Lazarus와 Folkman(1985)가 개발한 대처방식 척도를 김정희가(1987)가 수정, 보완한「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와 김용래(1993)의「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1)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1-2) 스트레스 요인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1)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2)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1)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2) 학교적응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스트레스요인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스트레스요인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1) 스트레스요인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2) 스트레스요인은 사회지지추구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3) 스트레스요인은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8-4) 스트레스요인은 소망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차이분석, 단순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통계치는 유의 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과 중·고생별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은 이성문제에서 여학생은 공부문제, 신체적 건강 및 용모, 심리 · 성격문제요인에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별 차이는 고등학생이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 중·고생에 상관없이 소극적 대처방식인 소망적사고 대처를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대처양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대처양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고생 간에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들보다 대체로 학교적응을 더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는 적극적 대처방식에서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소극적 대처방식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스트레스요인은 학교적응에 대체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트레스요인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지지추구 대처방식, 정서완화적 대처방식, 소망적 대처방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스트레스의 개념과 요인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 문제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스트레스의 개념과 요인 = 4
      • 2. 스트레스 대처방식 = 6
      • 3. 학교적응 = 9
      • 4. 스트레스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 12
      • 5.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14
      • 6. 스트레스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 15
      • 7. 연구가설 = 16
      • Ⅲ. 연구방법 = 17
      • 1. 연구대상 = 17
      • 2. 연구도구 = 17
      • 3. 자료처리방법 = 20
      • Ⅳ. 결과 = 21
      • 1. 가설 1-1의 검증 = 23
      • A. 가설 1-1)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3
      • B. 가설 1-2) 스트레스 요인은 중?고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5
      • 2. 가설 2-1이 검증 = 26
      • A. 가설 2-1)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6
      • B. 가설 2-2)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중·고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7
      • 3. 가설3-1의 검증 = 28
      • A. 가설3-1)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8
      • B. 가설3-2) 학교적응은 중·고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9
      • 4. 가설4의 검증 = 30
      • 5. 가설5의 검증 = 32
      • 6. 가설6의 검증 = 34
      • 7. 가설7의 검증 = 35
      • 8. 가설8의 검증 = 37
      • A. 가설 8-1) 스트레스요인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7
      • B. 가설 8-2) 스트레스요인은 사회지지추구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8
      • C. 가설 8-3) 스트레스요인은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9
      • D. 가설 8-4) 스트레스요인은 소망적 대처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40
      • Ⅴ. 논의 = 41
      • Ⅵ. 요약 및 결론 = 50
      • 1. 요약 = 50
      • 2. 결론 = 54
      • 참고문헌 = 58
      • 부록 = 62
      • Abstract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