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연안 육상양식장 밀집지역 주변해역의 영양염 과잉 요인 = Coastal Eutrophication caused by Effluent from Aquaculture Ponds in Je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3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격월로 총 12회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해역에서 연중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과의 관련성 없이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에 의해 영양염의 농도가 조절되어, 연안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농도구배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용존무기질소의 경우는 배출구와 인접한 해역에서는 부영양상태로 인에 비해 질소가 과잉되고 있었다. 유기물의 분포는 담수유입량이 증가하는 고수온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변화는 애월 및 행원해역은 담수유입과 관련된 기상요인(기온 및 강우), 표선 및 일과는 영양염의 인위적 공급요인(양식장 배출수)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출구로부터 직선거리 약 300 m 및 수심 10 m이내 해역의 표 저층에서는 고영양염 농도 분포가 지속되고 있어, 부영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육상양식장의 운영 시 취수지점이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에 위치할 경우 사육수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SPM, DIN, DIP, silicate, TN, TP, and chlorophyll-a) in the coastal area of Jeju, Korea, adjacent to aquaculture 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SPM, DIN, DIP, silicate, TN, TP, and chlorophyll-a) in the coastal area of Jeju, Korea, adjacent to aquaculture ponds (Aewol-ri, Haengwon-ri, Pyosun-ri, and Ilkwa-ri). Data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February 2010 to December 2011.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dentified three major factors controlling variations in water quality during the sampling period. Aquaculture effluent water led to large changes in nutrient levels. The highest nutrient values were observ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he relatively large increase in organic matter at the sampling stations coupled with sea area runoff events during the summer rainy period. Variation in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mainly driven by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in the coastal areas of Aewol and Haengwon. In the coastal areas of Pyosun and Ilkwa, pollution was caused by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discharg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at the majority of the coastal stations indicate eutrophication of coastal waters, especially within a distance of 300 m and depth of 10m from drainage channels. Coastal eutrophication driven by aquaculture effluent may be harmful inshore. Events such as eutrophication may potentially influence water pollution in aquaculture ponds when seawater intake is detected because of aquaculture effluent wa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범,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 해저 지하수 유출의 환경 생태학적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10 (10): 204-212, 2005

      2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3 김만철, "제주도내 양식장 배출수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3-948, 2009

      4 김성수, "제주도 염지하수 수질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양식학회 16 (16): 15-23, 2003

      5 조규대, "육상 양식장 인접해역의 해양학적 환경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1 (11): 2002

      6 백승균,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8 (38): 395-409, 2005

      7 Wasmund, N., "Trophic status of the South-Eastern Baltic Sea: A comparison of coastal and open areas" 53 : 849-864, 2001

      8 Redfield, A. C.,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The sea Vol. 2" Wiley Interscience 26-77, 1963

      9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10 Aure, J.,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eutrophication effects of fish farming on fjords" 90 : 135-156, 1990

      1 김규범, "한반도 연안 해역에서 해저 지하수 유출의 환경 생태학적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10 (10): 204-212, 2005

      2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3 김만철, "제주도내 양식장 배출수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생명과학회 19 (19): 943-948, 2009

      4 김성수, "제주도 염지하수 수질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양식학회 16 (16): 15-23, 2003

      5 조규대, "육상 양식장 인접해역의 해양학적 환경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1 (11): 2002

      6 백승균,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38 (38): 395-409, 2005

      7 Wasmund, N., "Trophic status of the South-Eastern Baltic Sea: A comparison of coastal and open areas" 53 : 849-864, 2001

      8 Redfield, A. C.,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The sea Vol. 2" Wiley Interscience 26-77, 1963

      9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10 Aure, J.,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eutrophication effects of fish farming on fjords" 90 : 135-156, 1990

      11 Takeuchi, T, "Possibilit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ork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water areas" 36 : 508-513, 1999

      12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Estimation of Fishing Ground Environmental in the Jeju Coastal, Synthesis Report" 1-51, 2011

      13 Murakami, K., "Monitoring on bottom sediment quality improvement by sand capping in Mikawa bay" 36 : 83-89, 1998

      14 Pitta, P., "Mesoscale changes in the water column in response to fish farming zones in three coastal area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Estuarine" 65 : 501-512, 2005

      15 Chester, R., "Marine Geochemistry" Unwin Hyman 689-, 1990

      16 MEIS, "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Web"

      17 Jeju National University, "Management of Inland Seawater aquaculture effluent water and optimum treatment method, Synthesis Report" 1-237, 2002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eb"

      19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149-158, 2011

      2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144-153, 2010

      21 JDI, "Jeju Development Institute, Study on the Solving Conflicts between Fishing Village Community and Residents in using Community Fishing Ground, Synthesis Report" 1-135, 2008

      22 Jeju National University, "Investigation of trophic environment at Jeju coast areas, Synthesis Report" 1-48, 2009

      23 Raczynska, M., "Influence of the fish pond aquaculture effluent discharge on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of selected rivers in Northwest Poland" 32 : 160-164, 2012

      24 Herbeck, S. H., "Effluent, nutrient and organic matter export from shrimp and fish ponds causing eutrophication in coastal and back-reef waters of NE Hainan, tropical China" 57 : 92-10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