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인가구의 세대별 생활만족도에 관한 종단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7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의 11차 년도(2016년)부터 15차 년도(2020년)까지 조사가 완료된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인 가구 중심으로 세대별 각 개인의 생활만족도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의 11차 년도(2016년)부터 15차 년도(2020년)까지 조사가 완료된 5개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1인 가구 중심으로 세대별 각 개인의 생활만족도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세대 구분은 사회화 과정, 역사적 사건, 기술의 발달 등을 요소로 하여 결정적 국면의 전환을 가져온 코호트가 경험한 중대한 사건의 분기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5차 년도(2020년) 27,447명 중 지난 5개 년도에서 1차 년도라도 1인 가구였던 2,778명을 대상으로 하여, 5년 동안 지속적으로 1인가구인 1,448명중 1922년생부터 1944년생(843명)을 제외하고 1945년생부터 1996년생까지 6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X세대(신세대)보다는 Y세대(밀레니얼세대), 베이비부머세대 보다는 X세대가 높은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를 보였으며, 세대별 전반적인 생활만족도가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각 세대별 모두가 이러한 차이는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11th year(2016) to the 15th year(2020) of the Korea Welfare Panel(KOWEPS) for the five years that the survey was completed to predict the life satisfaction of each individual by generation, centered on single-person house...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11th year(2016) to the 15th year(2020) of the Korea Welfare Panel(KOWEPS) for the five years that the survey was completed to predict the life satisfaction of each individual by generation, centered on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is a longitudinal analysi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The generational division was based on the turning point of a major event experienced by the cohort that brought about a decisive change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historical ev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factors.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f 27,447 persons in the 15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2020), 2,778 persons who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even in the first year from the last 5 years, and 1,448 persons who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continuously for 5 years. Excluding those born in 1922 to 1944(843 persons), 605 persons born between 1945 and 1996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the study, Generation Y(millennials) than Generation X(new generation) and Generation X generation than Baby Boomers showed higher overall life satisfaction. Since overall life satisfaction by generation does not have an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t was found that this difference remains the same for all gene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Background
      • III. Research Method
      • [Abstract]
      • [요약]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Background
      • III. Research Method
      • IV. Research Result
      • V. Conclusions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진분,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11): 45-65, 2007

      2 "rea Economy"

      3 "https://howcoach.com:504/2017/pc/story/story0101.php ?b_id=420& page_no=1&s_type= &s_text="

      4 "http://naver.me/5UhkszpM"

      5 "http://howcoach.com/how_2020/mailing_20200228/ mailing_20200228.jpg"

      6 Neugarte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 141-, 1961

      7 Seoul City Council, "The Concept of a One-Person Household"

      8 "Statistics Korea"

      9 Schalock, R. L.., "Reconsidering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

      1 손진분,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1 (11): 45-65, 2007

      2 "rea Economy"

      3 "https://howcoach.com:504/2017/pc/story/story0101.php ?b_id=420& page_no=1&s_type= &s_text="

      4 "http://naver.me/5UhkszpM"

      5 "http://howcoach.com/how_2020/mailing_20200228/ mailing_20200228.jpg"

      6 Neugarte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 141-, 1961

      7 Seoul City Council, "The Concept of a One-Person Household"

      8 "Statistics Korea"

      9 Schalock, R. L.., "Reconsidering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

      11 Ytcho, "Next Year(2020),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Millennial will all Change"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2019

      12 Injung, Syoh, "Korea One-person Households Report" KB FINANCIAL GROUP INC. Single Family Research Center of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7-, 2020

      13 Chsung,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olicy Responses"

      14 Chsung,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olicy Responses"

      15 Mjhwang, "Expansion of Discussion on Policy Responses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 Korea Consumer Agency, Policy Lab 2020

      16 Duncan T. E., "An Introduction to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35 (35): 333-363, 2004

      17 Kalish, R. A., "Aging self and personality Late Adulteni per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aili Wordsworth Publishing company 1975

      18 Mjkim, "A study on time use of employed single households" The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Ulsan 2017

      19 Sj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 Satisfaction Scale for the Elderly" 49 : 235-258, 1986

      20 Hjlee, "A Study on Socioeconomic and Spatial Issues Related to the Life of the Elderly in the Low-Income Class in Korea" 34 (34): 239-288,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8 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