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Factors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of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for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145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job performance of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olunteer service by identifying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what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re. To make this possible,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argeting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center. Among these, 14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ge factor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n between groups in their thirties versus forties and ol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gency factor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t was shown in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 license and job type.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workers, the job factor (β=.493, p< .001), supervision of superior (β=.222, p< .01) and possession of class 1 social worker license (β=-.232, p< .01) were shown as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things will be suggested for the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assign more specialized role to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ssigning specialized roles such as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planning‧executing‧evaluating the programs directly, the needs as a specialist would have to be filled.
      Second, a specialized supervision for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Not only the agency where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 is working, but the plans to present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supervision would have to be prepared at the central and local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headquarters performing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business.
      Third, the full-time plac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Also, the use of inefficient administrative power where the volunteer service record is entered by repetition would have to be reduced as various volunteer servi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cluding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ecome combined as one system as soon as possible.

      Although this study is at a probing stage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are still lacking, it could be considered as having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is a substantial study on the rol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job performance of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olunteer service by identifying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job performance of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olunteer service by identifying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what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re. To make this possible,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argeting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center. Among these, 14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ge factor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n between groups in their thirties versus forties and ol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gency factor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t was shown in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 license and job type.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workers, the job factor (β=.493, p< .001), supervision of superior (β=.222, p< .01) and possession of class 1 social worker license (β=-.232, p< .01) were shown as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things will be suggested for the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assign more specialized role to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ssigning specialized roles such as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planning‧executing‧evaluating the programs directly, the needs as a specialist would have to be filled.
      Second, a specialized supervision for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Not only the agency where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 is working, but the plans to present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supervision would have to be prepared at the central and local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headquarters performing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business.
      Third, the full-time plac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Also, the use of inefficient administrative power where the volunteer service record is entered by repetition would have to be reduced as various volunteer servi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cluding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ecome combined as one system as soon as possible.

      Although this study is at a probing stage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are still lacking, it could be considered as having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is a substantial study on the rol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 수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인증관리요원들의 업무 성과를 높이고 자원봉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인증관리요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148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0대 이상의 경우 30대인 경우와 직무만족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기관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업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요인(β=.493, p< .001), 상사의 슈퍼비전(β=.222, p< .01),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 소지(β=-.232, p< .01)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에게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인증관리요원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평가하는 등의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전문가로서의 욕구를 채워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들을 위한 전문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인증관리요원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 뿐 아니라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앙 및 지역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본부에서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슈퍼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전담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등의 다양한 자원봉사 관리시스템이 조속히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각 부처별로 자원봉사 실적을 중복 입력하는 비효율적인 행정력 사용을 줄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미비하여 본 연구가 탐색적인 단계이기는 하나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역할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 수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인증관리요원들의 업무 성과를 높이고 자원봉사 활성화에 기여하...

      본 연구는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 수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인증관리요원들의 업무 성과를 높이고 자원봉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인증관리요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148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0대 이상의 경우 30대인 경우와 직무만족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기관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업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요인(β=.493, p< .001), 상사의 슈퍼비전(β=.222, p< .01),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 소지(β=-.232, p< .01)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에게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인증관리요원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평가하는 등의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전문가로서의 욕구를 채워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들을 위한 전문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인증관리요원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 뿐 아니라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앙 및 지역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본부에서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슈퍼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전담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등의 다양한 자원봉사 관리시스템이 조속히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각 부처별로 자원봉사 실적을 중복 입력하는 비효율적인 행정력 사용을 줄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미비하여 본 연구가 탐색적인 단계이기는 하나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역할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國文抄錄 ⅵ
      • 英文抄錄 ⅷ
      • 목 차
      • 國文抄錄 ⅵ
      • 英文抄錄 ⅷ
      • 제 1 장 서론 1
      • 1.1 문제제기 1
      • 1.2 연구목적 5
      • 제 2 장 문헌 고찰
      • 2.1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사업 6
      • 2.1.1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사업 배경 6
      • 2.1.2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사업 내용 7
      • 2.1.3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역할 11
      • 2.1.3.1 인증관리요원 위촉절차 11
      • 2.1.3.2 인증관리요원 현황 12
      • 2.2 자원봉사 관리자 14
      • 2.2.1 자원봉사 관리자의 개념 및 필요성 14
      • 2.2.2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할 16
      • 2.3 직무만족도 17
      • 2.3.1 직무만족의 개념 17
      • 2.3.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 20
      • 2.3.2.1 내용이론 20
      • 2.3.2.2 과정이론 27
      • 2.3.3 직무만족의 중요성 31
      • 2.3.3.1 개인적인 측면 32
      • 2.3.3.2 조직적인 측면 33
      • 2.3.4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4
      • 2.3.4.1 개인적 요인 36
      • 2.3.4.2 조직전체 요인 38
      • 2.3.4.3 직무내용 요인 39
      • 2.3.4.4 직무환경 요인 40
      • 2.3.5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 41
      • 제 3 장 연구방법
      • 3.1 연구모형 45
      • 3.2 연구문제 46
      • 3.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46
      • 3.4 측정도구 47
      • 3.4.1 독립변수 47
      • 3.4.1.1 개인요인 47
      • 3.4.1.2 기관요인 47
      • 3.4.1.3 활동특성요인 48
      • 3.4.2 종속변수 50
      • 3.4.3 조사도구의 구성 51
      • 3.4.4 신뢰도 검증 52
      • 3.5 자료분석방법 53
      • 제 4 장 연구결과
      • 4.1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54
      • 4.1.1 조사대상자들의 개인요인 54
      • 4.1.2 조사대상자들의 기관요인 56
      • 4.1.3 조사대상자들의 활동특성요인 59
      • 4.1.4 조사대상자들의 직무만족도 특성 63
      • 4.2 개인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64
      • 4.3 기관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66
      • 4.4 직무만족도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 69
      • 4.5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1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 5.1 연구결과의 요약 73
      • 5.2 제언 75
      • 참고문헌 78
      • 부록(설문지)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