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김춘수 시에 나타난 감각의 논리와 만남encounter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5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Chun-su tried to figure out what was inside the state of enlightenment of words, but he ended up experiencing the reification of language, which involves the death and ideation of language. The poet recognized that an effort to make an outside wor...

      Kim Chun-su tried to figure out what was inside the state of enlightenment of words, but he ended up experiencing the reification of language, which involves the death and ideation of language. The poet recognized that an effort to make an outside world(things) his own represented division and severance. He experienced the violence of history and ideology in the situations of his times. After living the times whose goal wa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by the subject of ruling, he started to search for a path to true freedom from anthropocentric and violent language. As a poet, he contemplated over how to begin a poem in his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or others instead of colonizing the world with his internal self-expression.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the world) in his poems with a focus on the "encounter" issue, trying to change the old viewpoint that his poetry moved toward the death of a subject for post-history and post-ideology. In his poetry, subjects are accepting and manifested in relations, and their relations with others become "subjective-subjective relations." The thinking behind an "encounter" are to deny history and ideology that has become violence and, at the same time, accept the reality actively in one's own way rather than escaping from it.
      Kim Chun-su underwent a stepwise process of a poetic experiment to open up a non-objective world through the restriction of consciousness, regarding a language in which a human idea intervened as violence. He converted from his early metaphysical ideas to image-led descriptive poems. Descriptive images represent his attempt at discovering the vivid "state of mind" of the world by excluding the ascription of human significance and depicting things as they were with a phenomenological view. Realistic depictions, however, still made him keep a distance from objects, which was why the poet proposed new descriptive images in which images became objects. The descriptive images that he made an attempt at embody an "encounter,"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born together" based on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logic and free association and in which those who are watching are in mutual coexistence with those who are being watched. Descriptive images appear as the effects of blank space and are created as physical descriptions of the outside get to have psychological(ontological) shadow. That is, the mutual correspondence of blank space, at which the poet made an attempt, forms a space elevated through the relational operation in which the state of silence(suggestion) created by a return back to nothingness and what are made of language meet together. It is manifested in his poems where the visible world of things is in harmony with the invisible world of internal sensitivity inside. Since then, Instead of locking the world up inside images, the poet embraced in a unified manner the "manifestation(apparaîre) itself" of the world that was constantly being created and moving through the rhythms in a moving and flowing form. The poet attempted ontological communication between a subject and the world by moving forward to a moment of sensation in which there was no boundary between a subject and the world(the outside). That represents a dimension of "rhythms" that unifies sensational natural facts living in various forms at a moment of encountering the world or logic of sensation not subjected to consciousness. Kim Chun-su focused on a phenomenological world derived from relations rather than the existence of images or things, thus discovering poetry as a structure of bringing about an "encounter." In other words, his poetic course started at internal poems in a form of self-completion and moved to a world of mutual encounters(relationship) with the outside(others).
      As he tried to move toward the expression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side and a subject, he developed an ambiguous attitude. In his poems, the ambiguous gaze represents a relational gaze beyond the modern gaze of checking the identity of subjects. In his poems, he created a scene in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lived together, stimulating each other, with a poetic moment of "being watched while watching and being watched while watching." The intertwining of what is watching and what is being watched reveals "what is invisible" living and breathing behind "what is visible" in a visual manner, asking and answering the existence of things. It suggests that the entirety of a thing will not be revealed when there is only an operation of watching and that the existence of a thing may be visible in the space of darkness. The poet thus sought after poems in which mutual relations were manifested through the complex nature of light(consciousness) and darkness(reality) instead of orientation of existence based on light or nothingness only with darkness. He pursued equal mutual relationship, abstaining from dichotomous distinction and choice between two things. Poetry or art could not be a writer's intention itself or the existence of the outside itself to the poet, who was thus oriented toward a new direction(prose poetry) that was a mix of realism and anti-realism or the physical world and the mental world. Even though he refused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an internal boundary, the resulting identification with the external reality and society, he tried to transcend a boundary through an encounter. As far as he was concerned, poetry stood between a boundary and openness. There is the coexistence of two opposite concepts, deconstruction and creation, in poems of an open encounter with clearly different and yet equal elements. Poet's ambivalence about history stemmed from the coexistence of creation and deconstruction. This means that history(fiction) and non-history(reality) is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cyclical repetition and movement between creation and deconstruction. It was important to him to turn the violence of history into a practice mode of encounter, and it can be made possible with passive and yet active expressions. The new kind of reason that he tried to reach was, therefore, the logic of accepting others as much as possible and establishing oneself or the open reason of moving forward while accepting the outside. The conclusion of his nonsense poetry was a path toward building a whole by banding together with the world based on the synthesis of "nothingness"(accepting the outside in a state of inattention) and "existence"(constructing the meanings of a poet to the outside) and realizing oneself in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춘수는 말의 피안彼岸에 있는 것을 알고자 하나 언어가 죽어 관념화되는 언어의 사물화事物化를 경험한다. 시인은 외부 세계를 자기화하려는 것이 분열과 단절임을 인식한다. 김춘수는 ...

      김춘수는 말의 피안彼岸에 있는 것을 알고자 하나 언어가 죽어 관념화되는 언어의 사물화事物化를 경험한다. 시인은 외부 세계를 자기화하려는 것이 분열과 단절임을 인식한다. 김춘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역사와 이데올로기의 폭력을 경험한다. 그는 지배 주체에 의한 동일성의 확립이 목적인 시대를 경험하고, 그에 따라 인간중심적이고 폭력적이 된 언어로부터 진정한 자유의 길을 모색한다. 시인으로서 김춘수는 내적인 자기표현으로써 세계를 식민지화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외부나 타자와의 관계성 속에서 시를 개시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남(Encounter)’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김춘수 시의 주체와 타자(세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는 김춘수의 시가 탈역사, 탈이데올로기를 위해 주체의 죽음으로 나아갔다고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을 전환시킨다. 김춘수 시에서 주체는 수용하는 주체, 관계 속에서 발현하는 주체이며, 주체와 타자의 관계가 ‘주관-주관의 관계’가 된다. ‘만남’의 사유는 폭력이 되어 버린 역사와 이데올로기를 부정함과 동시에,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라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김춘수는 인간의 관념이 개입되는 언어를 폭력으로 보고, 이에 따라 의식의 한정을 통해 비대상적인 세계를 열어 보이는 단계적인 시적 실험의 과정을 거친다. 시인은 초기의 형이상학적인 관념에서 이미지 위주의 서술적인 시로 방향을 전환한다. 서술적 이미지는 인간적 의미 부여를 배제하고, 현상학적인 시각을 통하여 사물을 그 자체로 바라보고 묘사함으로써 세계의 생생한 ‘상태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그러나 즉물적인 묘사는 여전히 대상과의 거리를 유지하기에, 시인은 이미지가 곧 대상이 되는 새로운 서술적 이미지를 제시한다. 김춘수가 시도한 서술적 이미지는 논리와 자유연상이 함께 작동함으로써 주체와 대상이 ‘함께-태어나’는, 보는 자와 보이는 자가 상호 공존하는 ‘만남’을 구현한다. 서술적 이미지는 여백의 효과로 나타나는데, 피지컬한 외부묘사가 심리적(존재론적)음영을 갖춤으로써 형성된다. 즉, 김춘수가 시도한 여백의 상호조응은 무無로 돌아감으로써 이루어지는 침묵(암시)의 상태와 언어로 빚은 부분이 서로 만나는 관계 작용을 통해 앙양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후 시인은 이미지 안에 세계를 가두지 않고, 움직이고 흐르는 형태인 리듬을 통해 끊임없이 형성되고 움직이는 세계의 ‘현현(apparaîre) 그 자체’를 통일적으로 끌어안는다. 시인은 주체와 세계(외부)의 경계가 없는 감각적 순간으로 나아감으로써 주체와 세계의 존재론적 소통을 시도한다. 이는 세계와 마주치는 순간의 다양하게 살아있는 감각적 소여들을 통일시키는 ‘리듬’의 차원, 즉 의식에 종속되지 않는 감각의 논리이다. 김춘수는 이미지나 사물의 존재성보다 관계에서 오는 현상학적인 세계에 집중하여 ‘만남’을 불러일으키는 구조로서의 시를 발견하였다. 즉, 김춘수의 시적 도정은 내면적인 자기완결형의 시에서 외부(타他)와의 상호적인 만남의 시(관계성)로 나아간 것이다.
      김춘수는 외부와 주체의 상호적인 관계성의 표현으로 나아가고자 하였기에 양가적인 태도를 갖는다. 김춘수는 시에서 ‘보는 동시에 보이고, 보이는 동시에 보는’ 양의적 시선으로 안과 밖이 서로를 자극하는 살아 있는 광경을 만든다. 보는 것과 보이는 것의 상호엮임은 ‘보이는 것’의 이면에 살아 숨쉬는 ‘보이지 않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면서 사물의 존재에 대해 묻고 대답한다. 이는 보는 작용만 존재할 때 사물의 전부는 드러나지 않으며, 어둠의 공간에서 사물의 현존이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은 빛에 의한 존재의 정위定位나 어둠만 존재하는 무無로서가 아니라, 빛(의식)과 어둠(현실)의 복합성을 통하여 상호적 관계가 발현하는 시를 추구한다. 이처럼 김춘수는 이원적 구분과 양자택일을 지양하고 동등한 상호관련성을 추구한다. 김춘수에게 시, 예술은 작가의 의도 자체나 외부의 실재 그 자체가 될 수 없다. 따라서 그는 리얼리즘과 반리얼리즘, 즉 물리세계와 심리세계의 배합이라는 새로운 방향(산문시)을 지향하게 된다. 김춘수는 내부적 경계의 완전한 사라짐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외부적 현실, 사회와의 동일화를 거부하였지만, 만남을 통해 경계를 초월하고자 한다. 명확히 다르지만, 동등한 요소로서의 열린 만남의 시에는 해체와 형성이라는 대립적 개념이 공존한다. 김춘수의 역사에 대한 양가감정은 해체와 형성의 공존에서 비롯된다. 즉, 역사(허구)와 역사 아닌 것(현실)이 형성과 해체라는 끊임없는 순환적 반복과 운동의 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김춘수에게 중요한 것은 역사의 폭력을 만남의 실천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었고, 이는 수동인 동시에 능동인 표현으로 가능해진다. 그리하여 그가 나아가고자 한 새로운 이성은 타자를 최대한으로 받아들이며 자기를 구축해가는 논리, 즉 외부를 수용하며 나아가는 열린 이성이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의 귀결점은 ‘무無’(방심상태로 외부를 수용)와 ‘유有’(외부에 대한 시인의 의미 구축)의 종합으로 세계와 연대하여 전체를 이루고 그 속에서 자신을 실현하고자 하는 길이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