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급의 올바른 수업 실행 구성요인은 교육과정(구성체제와 운영), 수업(설계와 실행), 진단ㆍ평가 및 중재수업 3개 영역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올바른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관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34030
2011
Korean
379.05
KCI등재
학술저널
221-247(27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특수학급의 올바른 수업 실행 구성요인은 교육과정(구성체제와 운영), 수업(설계와 실행), 진단ㆍ평가 및 중재수업 3개 영역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올바른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관련...
특수학급의 올바른 수업 실행 구성요인은 교육과정(구성체제와 운영), 수업(설계와 실행), 진단ㆍ평가 및 중재수업 3개 영역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올바른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설문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은 구성체제(교육과정 구성 지식, 교육과정 효과) 교육과정운영(교육과정조정, 적용, 연계) 5개 구성요인 22개 문항, 둘째, 수업은 수업설계(수업설계 모듈, 방법) 수업실행(수업실행 과정, 방법, 결과) 5개 구성요인 22개 문항, 셋째, 진단평가 및 중재수업은 진단평가(적용, 지원, 결과활용) 중재수업(모듈, 중재 수업) 5개 구성요인 21개 문항 총 65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설문문항의 신뢰도(Cronbach’s값)는 .61에서 .91로 비교적 높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된 수업실행 구성영역과 문항들은 특수학급 수업실행의 효율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in instructional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instruction itself,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Research Instrument Device structure f...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in instructional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instruction itself,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Research Instrument Device structure factor
in teaching performance at special class. Three questionaries, curriculum with 22
from 24 questions, instruction with 22 from 24 questions, and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with 21 from 24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
90 special class teachers over the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ies of the three questionaries were ensured. The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 Cronbach alpha, Durbin-Watson, t-test, Chi-square, co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follow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dicated the corelation among the curriculum, instruction itself,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in the level of the theoretical knowledge. However the level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theoretical knowledge and performance knowledge were not same.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urrent academic situation, and life function based design were core factors in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structure in special class.
Therefor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utilized in the model of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structure in special cla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수,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49-175, 2006
2 이유훈,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모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9
3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4 최성규, "특수교육적 교육방법에 대한 소고. in: 장애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활동 지원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83-94, 2009
5 오세웅, "특수교육 요구 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의 효율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219-235, 2006
6 이말련, "특수교육 대상자 의뢰 과정에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사정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29-249, 2006
7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8 태원성,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1-281, 2007
9 이유훈,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91-116, 2006
10 조인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81-106, 2007
1 이상수,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49-175, 2006
2 이유훈,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모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9
3 권주석,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5-212, 2008
4 최성규, "특수교육적 교육방법에 대한 소고. in: 장애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활동 지원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83-94, 2009
5 오세웅, "특수교육 요구 아동이 포함된 일반학급의 효율적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219-235, 2006
6 이말련, "특수교육 대상자 의뢰 과정에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사정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29-249, 2006
7 김번영,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49, 2007
8 태원성,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1-281, 2007
9 이유훈,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91-116, 2006
10 조인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81-106, 2007
11 박승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실태:학생 장애정도와 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31-162, 2002
12 김주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교수수행 평가도구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5-23, 2009
13 유장순, "초등학교 통합하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99-123, 2006
14 최세민, "중학교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태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83-302, 2007
15 황정보, "정신지체아 교육에 Dick 과 Carey의 체계적 수업 설계 모형의 활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집 (8집): 93-114, 2006
16 조인수,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17 이은정, "장애 학생의 대규모 일반교육과정 중심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의 현황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45-67, 2009
18 조인수, "자기결정 교수방략"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9
19 최성규, "일상 언어에 기초한 과학적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55-376, 2009
20 강경숙,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07-132, 2007
21 김승호, "수업의 근본구조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93-214, 2007
22 호사라, "미국의 사례가 학업성취도평가 중심의 학력향상 정책 개발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73-100, 2006
23 전주영,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으로서 구조중심 협동학습에 관한 사례 연구" 15 (15): 79-104, 2009
24 황인영, "교수적 수정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도, 문제행동, 학습 목표 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79-199, 2005
25 윤광보, "개별화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개별화 방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87-408, 2008
26 Watson, J, "Working in groups: Social and cognitive effects in a special class" 26 (26): 87-95, 1999
27 Cook-Sather, A, "Translation: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and supporting school reform efforts" 59 (59): 217-231, 2009
28 Mendez, L, "Transcending the zone of learning disability: Learning in contexts for everyday life" 23 (23): 63-73, 2008
29 Sierens, E,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in the predic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79 : 57-68, 2009
30 Pedersen, S, "Teachers’ assessment-local adaptations of a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57 : 229-249, 2007
31 Nagle, K,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ccountability reform" 17 (17): 28-39, 2006
32 Algozzine, R, "Special class exit criteria: A modest beginning" 13 (13): 131-136, 2001
33 Martin, D, "Selection of curriculum: A philosophical position. In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Gallaudet University Press 15-25, 2006
34 Szwed, C, "Reconsidering the role of the primary special education needs co-ordinator: Policy, practice and future priorities" 34 (34): 96-104, 2007
35 Moores, D, "Overview: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general education and in education of deaf learners. In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Gallaudet University Press 3-14, 2006
36 Swanson, E, "Observing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synthesis" 31 : 115-133, 2008
37 Hindin, A, "More than just a group: Teacher collaborat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13 (13): 349-376, 2007
38 Justice, C, "Inquiry in higher education:Reflections and directions on course design and teaching methods" 31 : 201-214, 2007
39 Yell, M. L,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mprovement Act of 2004 and IDEA regulations of 2006: Implications for educators, administrators, and teacher trainers" 39 (39): 1-24, 2006
40 Miller, M, "Individual assessment and educational planning: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viewed through meaningful contexts. In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Gallaudet University Press 161-177, 2006
41 Charlevoix, D,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classroom research"
42 Kimmelman, P. L, "Implementing NCLB: Creating a knowledge framework to support school improvement" Corwin Press 2006
43 Lowrey, A, "Impact of alternate assessment on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32 (32): 244-253, 2007
44 Gartin, B. C, "IDEA 2004: The IEP" 26 (26): 327-331, 2005
45 Barbara, G, "IDEA 2004: The IEP" 26 (26): 327-331, 2005
46 Kanthraj, G, "Group discussion: Prepare, learn, teach and assess" 73 (73): 442-444, 2007
47 Myklebust, J. O, "Diverging paths in upper secondary education: Competence attainment among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11 (11): 215-231, 2007
48 Goldstein, B, "Critical pedagogy in a bilingual special education classroom" 28 (28): 463-475, 1995
49 Wedell, K, "Confusion about inclusion: Patching up or system change" 35 (35): 127-135, 2008
50 Grey, I, "Co-operative learning for children with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ASD) in mainstream and special class settings: An exploratory study" 23 (23): 317-327, 2007
51 Myklebust, J. O, "Class placement and competence attainment among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33 (33): 76-81, 2006
52 Brooker, L, "Children, power and schooling: How childhood is structured in the primary school" 20 (20): 259-265, 2005
53 Bracey, G, "Assesssing NCLB" 89 (89): 781-782, 2008
54 Salvia, J, "Assessment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007
55 Lane, K, "Assessing social validity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s: Evidence for the reliability and structure of the primary intervention rating scale" 38 (38): 135-144, 2009
56 Demsky, J, "Assess. Instruct. Repeat" 36 (36): 30-36, 2009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중심 평가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휠체어테니스 서브동작 수행에 대한 운동과제와 인지기능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