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Prop Pilates Exercise Program)이 여성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25412
충주 :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스포츠과학과 운동생리학 , 2018.2
2018
한국어
충청북도
56 ; 26 cm
지도교수: 차광석
I804:11004-20000000627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Prop Pilates Exercise Program)이 여성노...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Prop Pilates Exercise Program)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20명(연령: 68.87±4.03세, 체중: 55.37±8.06 kg, 신장: 153.56±6.45 cm, 신체질량지수: 23.64±2.52 kg/m2), 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을 주 2회, 60분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유산소 지구력, 근지구력, 그리고 민첩성 및 동적균형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였다. 하체 근지구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측정한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서기는 운동 6주 후, 1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한(F=9.156, p<0.001)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체력의 평가지표로 적용한 2분 제자리걷기도 필라테스 운동 적용 후 유의하게 증가(F=25.931, p<0.001)하는 것을 나타났다. 민첩성 및 동적균형의 평가지표인 3m 왕복걷기의 경우 유의한 변화(F=4.758, p=0.017)가 나타났다.
셋째,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신체균형능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 구성한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여성노인의 유산소체력, 근지구력, 그리고 민첩성 및 동적균형을 포함한 일부 체력요소의 향상을 위한 적절한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 및 낙상과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는 신체조성 및 신체균형능력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운동프로그램의 운동강도, 유형, 그리고 운동빈도의 보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통제하지 못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수정이 동반되어야 신체조성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신체균형능력의 향상을 위해 하체 밸런스 운동을 포함한 근력향상 프로그램을 함께 구성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여성노인을 위한 최적화된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운동 빈도의 증가와 프로그램 구성 수정을 포함한 다각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